哥 성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うた, うた-う
|
||||||
-
|
|||||||
표준 중국어
|
gē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哥는 성 가라는 한자로, '성씨', '노래하다' 등을 뜻한다. 다만 중국에서는 '형(兄)'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성 |
음 | 가 | |
중국어 | 표준어 | gē |
광동어 | go1 | |
객가어 | kô | |
민북어 | gó̤ | |
민동어 | gŏ̤ | |
민남어 | ko | |
오어 | ku (T1) | |
일본어 | 음독 | カ |
훈독 | - | |
베트남어 | ca, kha |
유니코드에는 U+54E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NR(一口弓口)로 입력한다.
소리를 나타내는 可(옳을 가) 자 두 개를 합친 글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歌/ 謌(노래 가)의 본자로, '노래하다', '목소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선비어로 아버지나 형을 뜻하는 *aka를 중국어에서 음차한 아가(阿哥)로 받아들여, 당(唐)대 이후로는 이 글자가 兄(형 형) 자를 대체하여 '형'이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지금도 '형'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ex: 다거의 “거”)
이외에도 여러 외국어의 음차에 쓰였는데, 그 중에서는 투르크계 성씨인 가서(哥舒)도 있어 고유명사로서의 성씨로도 활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 ~가(哥) : 성씨 뒤에 붙여서 어떠한 성씨를 지님 또는 그 집안, 가문(家門)에 속해 있음을 뜻한다. 이 때문에 가( 家)와 혼용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哥가 옳다. 예를 들어 자신의 성씨가 안동 김씨라면 '저는 안동 김씨(金氏)입니다.'가 아니라 '저는 안동 김가(金哥)입니다.'라고 해야 옳다. 마찬가지로 '김가네'가 '김씨네 집안', '김씨네 가문'을 뜻하는 게 아니라면, 한자로 쓸 때에는 '金家네'가 아니라 '金哥네'로 써야 옳다. 해당 표현에서 파생된 속어가 바로 ~가놈이다. 또한 구소련권의 고려인 중에 '~가이(гай)'라는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이 단어에서 유래된 것이다.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가서한(哥 舒 翰)
- 동맹가첩목아( 童 猛哥 帖 木 兒)
- 망가태( 忙哥 台): 창길의 아내
- 야율상가( 耶 律 常哥)
- 야율유가( 耶 律 留哥)
- 야율팔가( 耶 律 八哥)
- 야율화가( 耶 律 化哥)
- 야율휴가( 耶 律 休哥)
- 전서소가(滇 西 小哥)
- 우왁굳( 嗚 哇哥)[1]
- 허가이( 許哥 而)
3.4. 지명
4. 유의자
[1]
중국어 현지화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