到 이를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刀,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いた-る
|
||||||
-
|
|||||||
표준 중국어
|
d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이를 도(到). '이르다', '도달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이르다 |
음 | 도 | |
중국어 | 표준어 | dào |
광동어 | dou3 | |
객가어 | to | |
민동어 | dó̤ | |
민남어 | tò[文] / tàu[白] | |
오어 | tau (T2) | |
일본어 | 음독 | トウ |
훈독 | いた-る | |
베트남어 | đáo |
유니코드에는 U+523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LN(一土中弓)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至(이를 지)와 소리를 나타내는 刀(칼 도)가 합쳐진 형성자다. 형성자에서 음을 나타내는 한자가 부수인 특이한 케이스이다.
3. 용례
3.1. 단어
- 내도( 來到)
- 당도( 當到)
- 도달(到 達)
- 도래(到 來)
- 도임(到 任)
- 도저(到 底)
- 도착(到 着)
- 도처(到 處)
- 도피안(到 彼 岸)
- 쇄도( 殺到)
- 주도( 周到)
- 행도소( 行到 所)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중국어
동사 뒤에 쓰여 목적에 이르렀거나 이루어졌을 때를 나타내는 결과보어로 쓰인다.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䶍(재채기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