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3:12:59

Why? 독 있는 동식물

Why? 독 있는 동식물
장르 학습만화
작가 스토리: 정수은
작화: 송회석
출판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림당
단행본 권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권 (2006. 06. 30.)
1. 개요2. 등장인물3. 등장 생물
3.1. 등장 동물3.2. 등장 식물
4. 줄거리5. 기타

1. 개요

Why? 시리즈의 26번째 작품. 독이 있는 동물과 식물에[1] 대해 알려준다.

2. 등장인물

3. 등장 생물

3.1. 등장 동물[20]

3.2. 등장 식물

4. 줄거리

5. 기타


[1] 균류인 독버섯 포함. [2] 나방에게 닿을 뻔한 순간에 왜 독있는 것들이 자기만 좋아하냐고 한탄할때는 사이몽에게 심보가 고약해서 그렇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3] 이 와중에 퉁쏠치와 자신 중 누가 더 못생겼냐는 말을 한다(...). [4] 청자고둥은 찔리면 5분 안에 죽을 수도 있는 독침을 갖고 있고 이 독은 먹어도 중독되는 독이다. [5] 정작 바루에게는 안기며 자신을 살려줘서 무지무지 고맙다며 운다. [6] 정작 엄지도 옻이 묻었는데 이쪽은 증상이 없었다. 천 박사 왈, 옻이 오르는 사람은 열 명 중 한 명 꼴이라고. [7] 사실 이쪽은 사이몽이 장난친거다. [8] 사실 이것은 읽는 사람 기준에서는 심보가 고약하니까 운이 나빠서 그렇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9] 중반에서 마전과 벨라돈나를 먹는 것을 시작해서 여러 독초를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아까시나무는 이상한 맛 때문에 먹지 못했고, 박주가리의 경우 박주가리가 날 먹으면 심장이 터질 것 같은 느낌이 들거라고 하자 치사해서 안 먹는다고 했다. 그 외에 독사도 여러 번 잡았지만, 먹지는 않았다. [10] 애기똥풀을 많이 먹고 어지럼증을 느끼거나, 꼼지에게 쐐기풀로 장난을 치려다가 넘어지는 바람에 되려 자기 얼굴이 찔리자 신음소리를 낸다. 실제 몽구스 역시 독사를 잡아먹는걸로 유명하나, 독에 어느정도 면역이 있을뿐 완전면역이 아니다. 위의 독 섭취와 함께 몽구스에 대한 고증을 어느정도 잘 반영한 요소. [11] 게다가 꼼지가 왜 자기가 독있는 것들한테 인기가 많냐고 한탄할때는 심보가 고약해서라며 사이다를 날렸다. [12] 작중에서 멧돼지도 주먹 한 방에 죽이는(또는 기절시킨) 모습을 보인 걸 보면 이것도 약하게 때린 것으로 보인다. 이런 작중 위력을 보아 사이몽이 꼼지를 전력으로 다해 때렸으면 꼼지는 그대로 즉사했을 것이다. 천 박사 설명에 의하면 사이몽은 위협받으면 공격하게끔 프로그래밍 해놨다고 한다. 이 때문에 꼼지와는 앙숙이 된다. [13] 둘 다 성격이 나쁜데, 왜문어가 조개를 먹는 매가오리를 살짝 건드린 걸로 매가오리가 꼬리로 왜문어를 때렸고, 왜문어도 이에 화가 나 싸우게 된 것이다. [14] 아예 꼼지에게 맛 보여준다며 쫒아가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져 자기가 당했다. 엄지도 장난 좀 치지 말라고 한소리 할 정도. [15] 실제로 침노린재는 사람의 피를 빨아먹어 을 옮기기도 한다. [16] 10년 전에 헤어진 바로나 박사가 엄지의 존재를 아는 걸 보면 바루는 중학생 정도로 추정된다. Why? 시리즈에서 엄지와 꼼지는 보통 4~5학년(11살~12살)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17] 정작 똑같이 목숨을 구해준 사이몽에게는 툴툴거리기만 했다. [18] 사이몽과 꼼지가 싸우게 된 이유는 사이몽이 벨라돈나를 먹는 거을 보고 꼼지가 먹을려고 하다가 바루와 바로나의 제지로 말렸으나 꼼지가 자신을 해칠려고 착각을 해서 이렇게 된거다. [19] 땅에 있던 독초들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20] 작중 캐릭터들이 직접 만난 종들만 서술. [21] 당연히 독이 있는 동물은 아니고, 사막뿔살무사와 만나기만 한다. [22] 정확한 종은 불명이나 악상어류나 흉상어류로 추정된다. 꼼지가 이놈을 보고 놀라자 오히려 상어가 놀라 도망간다(...). [23] 흰동가리의 꼬임에 넘어가 말미잘에게 사냥당한다. [24] 종 불명의 파란색 복어와 거북복, 가시복이 등장한다. [25] 대표적으로 얼음찜질. 얼음주머니를 갖다대는 건 오히려 독침이 더 깊게 박힐 수 있는 위험한 행위다. 심지어 상처 부위에 암모니아수를 바르라는 잘못된 치료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