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독 있는 동식물 | |
장르 | 학습만화 |
작가 |
스토리: 정수은 작화: 송회석 |
출판사 | 예림당 |
단행본 권수 | 1권 (2006. 06. 30.) |
1. 개요
Why? 시리즈의 26번째 작품. 독이 있는 동물과 식물에[1] 대해 알려준다.2. 등장인물
-
꼼지
엄지의 친구, 잠결에 엄지 전화로 독있는 동식물을 보러가자고 하는 걸 가겠다고 약속하는 바람에 팔라팔라 섬에 끌려간다. 사이몽과 사이가 매우 나쁘다.[2] 겁쟁이 주제에 심보는 고약해서 사이몽에게 까불다가 괜히 한 대 맞아 뻗어버리고, 퉁쏠치에게 못생겼다며 놀리다가 퉁쏠치의 분노를 유발시키고,[3] 바닷속에서 배고프다며 뭔지도 모르는 청자고둥을 먹으려다[4] 사이몽이 집어가니 사이몽이 자기 먹을 걸 가로채갔다며 울면서 박사에게 이르기도 했다. 사이몽이 독 있는 것들을 즐겨먹는다는 걸 뻔히 알면서 사이몽에게 '그게 구해준 거냐! 못 먹게 한 거지!'라며 화를 내기까지.[5] 정말 취급이 안 좋은 게 코브라를 만나 물릴 뻔하고, 타란툴라에게 물릴 뻔하고, 헤엄치다 복어를 발로 차서 복어에게 쫓기기도 하고, 해파리에 쏘여 기절해 익사할 뻔하기도 하고, 벨라도나 열매를 먹을 뻔하고, 옻 독도 오르고,[6] 침노린재한테 물릴 뻔하고,[7] 독나방에 닿을 뻔하기 까지 해서 독 있는 것들은 왜 나만 좋아하냐며 신세를 한탄하며 엉엉 운다. 사이몽은 혀를 찬 뒤 심보가 고약하니까 그렇다며 사이다를 날렸다.[8]
-
천엄지
꼼지의 친구이자 천 박사의 딸, 2등신 작화라 부각되지 않을 뿐 대부분의 Why? 시리즈 엄지가 그렇듯 똑똑하고 예쁘다는 설정이 있다. 아빠 친구 아들인 바루를 처음엔 남들과 다른 차림새에 경계하다가 어느새 점점 짝사랑하게 된다.
-
천 박사
엄지의 아빠이자 바로나 박사의 친구, 한국에서 동물의 독을 치료제로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10년 전 바로나 박사와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팔라팔라섬으로 향한다.
-
사이몽
천 박사가 개발한 로봇, 형태는 몽구스이며, 독 있는 동식물을 섭취할 수 있다.[9] 다만 로봇인데도 죽지 않을 뿐 독의 효과는 적용되는 모양이다.[10] 꼼지와 사이가 매우 나쁘다.[11] 기본적으로 보디가드 목적으로 제작된 로봇이라 힘도 세서 까불던 꼼지를 주먹 한 방으로 얌전하게 만들었으며,[12] 그 외에도 싸우던 왜문어와 매가오리를[13] 얌전하게 만들기도 했다. 덤으로 독 있는 동물들도 부르면 소환이 가능한 모양. 꼼지 한정이지만 장난도 잘 치는 편인데 쐐기풀을 들이대거나[14]두꺼비와 친하게 지내는 걸 보고 심통이 난 꼼지에게 노래기를 성의라고 건넨다던지 침노린재 중에선 사람 피를 빨아먹는 놈도 있는데 너 줄까며 들이대[15] 꼼지가 줄행랑치게 만드는 등, 은근 악동스러운 면모도 있다. 마지막엔 엄지 지키겠다고 꼼지랑 대판 싸우다 엄지에 의해 강제 중단.
-
바루
바로나 박사의 아들, 천 박사에게는 어렸을 때부터 안면이 튼 사이, 조카같은 친구 아들이다. 꼼지와 엄지보다는 3살 연상.[16] 원주민 같은 차림새를 하고 있다. 문명이 단절된 팔라팔라 섬에서 오래 산 탓인지 컴퓨터와 아이스크림, 게임방을 모른다고 한다. 작중에서 천 박사 일행을 팔라팔라 섬으로 인도하는 인도자 역할을 하고 있다. 덤으로 학구열도 높아서 독동물에 대해 배우기 위해 천 박사를 직접 찾아왔다고.
꼼지에겐 질투의 대상이지만 바루는 그런 꼼지에게 친절히 대해줘서 꼼지도 독 있는 동식물이 나타날 때마다 매달릴 정도다. 해파리에 쏘여 바다에서 기절한 꼼지를 구해주고 치료해주기도 했으며 꼼지도 바루에게 고맙다고 울기도 했다.[17]
-
바로나 박사
바루의 아버지이자 천 박사의 친구. 만화 속 가상의 섬 팔라팔라 섬에서 식물의 독을 치료제로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쪽 역시 외국인으로 추정. 힘이 상당히 센지 서로 싸우는 사이몽과 꼼지를 동시에 번쩍 들어 올리기도 했다.[18] 그만하라고 너희들 때문에 내 연구 자료들이 다 밟혀 죽겠다고 말한 것은 덤.[19]
3. 등장 생물
3.1. 등장 동물[20]
- 인도코브라
- 전갈
- 사막여우[21]
- 사막뿔살무사
- 검은맘바
- 뿔방울뱀
- 다이아몬드방울뱀
- 아메리카독도마뱀
- 안경카이만
- 타란툴라
- 화살촉독개구리
- 상어[22]
- 말미잘
- 흰동가리
- 게[23]
- 복어[24]
- 쏠배감펭
- 퉁쏠치
- 쑤기미
- 쏠종개
- 매가오리
- 왜문어
- 청자고둥
- 바다뱀
- 해파리
- 무당개구리
- 까치살무사
- 두꺼비
- 노래기
- 지네
- 침노린재
- 장수말벌
- 독나방
3.2. 등장 식물
4. 줄거리
5. 기타
- 해파리 독 치료 과정이 잘못 되어서[25] 훗날 수정되어 재출간되었다.
- 팔라팔라 섬이라는 가상의 지명이 등장한다.
- 이곳에서의 엄지와 꼼지 캐릭터 디자인이 Why? 외계인과 UFO 편에서의 엄지와 꼼지 디자인과 유사하다.
[1]
균류인 독버섯 포함.
[2]
나방에게 닿을 뻔한 순간에 왜 독있는 것들이 자기만 좋아하냐고 한탄할때는 사이몽에게 심보가 고약해서 그렇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3]
이 와중에 퉁쏠치와 자신 중 누가 더 못생겼냐는 말을 한다(...).
[4]
청자고둥은 찔리면 5분 안에 죽을 수도 있는 독침을 갖고 있고 이 독은 먹어도 중독되는 독이다.
[5]
정작 바루에게는 안기며 자신을 살려줘서 무지무지 고맙다며 운다.
[6]
정작 엄지도 옻이 묻었는데 이쪽은 증상이 없었다. 천 박사 왈, 옻이 오르는 사람은 열 명 중 한 명 꼴이라고.
[7]
사실 이쪽은 사이몽이 장난친거다.
[8]
사실 이것은 읽는 사람 기준에서는 심보가 고약하니까 운이 나빠서 그렇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9]
중반에서 마전과
벨라돈나를 먹는 것을 시작해서 여러 독초를 먹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만
아까시나무는 이상한 맛 때문에 먹지 못했고, 박주가리의 경우 박주가리가 날 먹으면 심장이 터질 것 같은 느낌이 들거라고 하자 치사해서 안 먹는다고 했다. 그 외에 독사도 여러 번 잡았지만, 먹지는 않았다.
[10]
애기똥풀을 많이 먹고 어지럼증을 느끼거나, 꼼지에게 쐐기풀로 장난을 치려다가 넘어지는 바람에 되려 자기 얼굴이 찔리자 신음소리를 낸다. 실제 몽구스 역시 독사를 잡아먹는걸로 유명하나, 독에 어느정도 면역이 있을뿐 완전면역이 아니다. 위의 독 섭취와 함께 몽구스에 대한 고증을 어느정도 잘 반영한 요소.
[11]
게다가 꼼지가 왜 자기가 독있는 것들한테 인기가 많냐고 한탄할때는 심보가 고약해서라며 사이다를 날렸다.
[12]
작중에서 멧돼지도 주먹 한 방에 죽이는(또는 기절시킨) 모습을 보인 걸 보면 이것도 약하게 때린 것으로 보인다. 이런 작중 위력을 보아 사이몽이 꼼지를 전력으로 다해 때렸으면 꼼지는 그대로 즉사했을 것이다. 천 박사 설명에 의하면 사이몽은 위협받으면 공격하게끔 프로그래밍 해놨다고 한다. 이 때문에 꼼지와는 앙숙이 된다.
[13]
둘 다 성격이 나쁜데, 왜문어가 조개를 먹는 매가오리를 살짝 건드린 걸로 매가오리가 꼬리로 왜문어를 때렸고, 왜문어도 이에 화가 나 싸우게 된 것이다.
[14]
아예 꼼지에게 맛 보여준다며 쫒아가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져 자기가 당했다. 엄지도 장난 좀 치지 말라고 한소리 할 정도.
[15]
실제로 침노린재는 사람의 피를 빨아먹어
병을 옮기기도 한다.
[16]
10년 전에 헤어진 바로나 박사가 엄지의 존재를 아는 걸 보면 바루는 중학생 정도로 추정된다. Why? 시리즈에서 엄지와 꼼지는 보통 4~5학년(11살~12살)으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17]
정작 똑같이 목숨을 구해준 사이몽에게는 툴툴거리기만 했다.
[18]
사이몽과 꼼지가 싸우게 된 이유는 사이몽이
벨라돈나를 먹는 거을 보고 꼼지가 먹을려고 하다가 바루와 바로나의 제지로 말렸으나 꼼지가 자신을 해칠려고 착각을 해서 이렇게 된거다.
[19]
땅에 있던 독초들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20]
작중 캐릭터들이 직접 만난 종들만 서술.
[21]
당연히 독이 있는 동물은 아니고, 사막뿔살무사와 만나기만 한다.
[22]
정확한 종은 불명이나 악상어류나 흉상어류로 추정된다. 꼼지가 이놈을 보고 놀라자 오히려 상어가 놀라 도망간다(...).
[23]
흰동가리의 꼬임에 넘어가 말미잘에게 사냥당한다.
[24]
종 불명의 파란색 복어와
거북복,
가시복이 등장한다.
[25]
대표적으로 얼음찜질. 얼음주머니를 갖다대는 건 오히려 독침이 더 깊게 박힐 수 있는 위험한 행위다. 심지어 상처 부위에 암모니아수를 바르라는 잘못된 치료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