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MO Maschinen Karabiner Militär Oben 기관기병총, 군용, 상부배출식 |
|||
|
|||
MKMO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기관단총 | ||
원산지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4년~ 1960년대 | ||
개발 |
고타드 엔드 야콥 가에치 팔 키랄리 |
||
개발년도 | 1933년 | ||
생산 | SIG | ||
생산년도 | 1934년~ 1941년 | ||
생산수 | 1,228정 | ||
사용국 |
[[스위스| ]][[틀:국기| ]][[틀:국기| ]] [[바티칸| ]][[틀:국기| ]][[틀:국기| ]]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몽강연합자치정부|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계속전쟁 국공내전 |
||
기종 | |||
파생형 |
MKPO MKMS MKPS |
||
세부사항 | |||
탄약 |
9×25mm 마우저[A][B] 7.63×25mm 마우저[A][B] 7.65×21mm 파라벨룸[A][B][C][D] 9×19mm 파라벨룸[C][D] |
||
급탄 | 30[B][D]/40[A][C]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페더슨 헤지테이션 락[A][B] 스트레이트 블로우백[C][D] |
||
총열길이 |
500mm[A] 300mm[B][D] 489mm[C] |
||
전장 |
1,025mm[A] 831mm[B] 1,022mm[C] 820mm[D] |
||
중량 |
4.25kg[A] 4.04kg[B] 4.45kg[C] 3.7kg[D] |
||
발사속도 | 900RPM | ||
탄속 |
490m/s[A] 400m/s[B] 380m/s[C] 365m/s[D] |
||
유효사거리 | 300m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MKPS 리뷰 및 사격 영상 |
2. 상세
SIG는 1920년대부터 MP18을 기반으로 라이센스형인 M1920을 생산했으며, 1930년에 자체적으로 개량한 M1930도 내놓았으나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SIG는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기관단총을 개발 및 생산했는데, MKMO 기관단총도 그 중 하나이다. SIG 소속 엔지니어였던 고타드 엔드와 야코프 가에치가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헝가리 출신의 팔 키랄리가 해당 프로젝트에 간접적으로 참여했다.[35]MKMO 기관단총은 세계 최초로 탄창 삽입구를 접을 수 있게 설계하여 운반 및 비전투 이동 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였다.[36] 원본인 MKMO와 경찰용 파생형인 MKPO[P]는 레밍턴 모델 51에 적용된 페더슨 헤지테이션 락 방식 구조를 사용했는데, 총열 내부의 압력이 안전한 수준으로 감소할 때까지 탄약을 약실 내부에 오래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해당 구조는 지나치게 복잡하여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기 때문에[38] 1935년에 더욱 단순한 스트레이트 블로우백 구조로 바꾸어 MKMS[S]와 MKPS를 출시했다. 경찰용인 MKPO 및 MKPS는 총열길이가 300mm로 짧아 40발들이 긴 탄창을 삽입한 상태로는 삽입구를 접을 수 없었기 때문에 대신 상대적으로 짧은 30발들이 탄창을 사용해야 했다.
1933년에 개발이 완료된 MKMO 기관단총은 이듬해인 1934년에 시장에 출시되어 군경용으로 판매되었으나 비싼 가격으로 인해 많이 팔리지 못했으며, 후술할 4가지 파생형 모두 합쳐서 1,228정밖에 생산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스위스군이 신규 기관단총을 채택하고자 할 때 후보군으로 출품되었으나 MP 41/44에 밀려 고배를 마셔야 했다. 일부 물량은 스위스 경찰 및 바티칸의 스위스 근위대가 채용했는데, 이 중 스위스 근위대는 1960년대까지 해당 기관단총을 계속 운용했다고 전해진다. 가장 많은 수량을 도입한 곳은 겨울전쟁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은 핀란드였다. 자체 기관단총이었던 KP/-31만으로는 수량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핀란드군은 282정의 MKMO를 구매했으며, 이후 발발한 계속전쟁 중에는 핀란드군 후방에서 사용되었다. 한편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몽강연합자치정부에서도 SIG M1930에 이어 소량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공내전에서도 일부 물량이 계속 사용되었다.
3. 대중매체
4. 참고자료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93, K11, M1911, K31 | ||
반자동 소총 | AK44 | |||
기관단총 | MP18.1, M1920, MP 41/44, MP 43/44, MKMO, MKPS, MP41 | |||
권총 | M1882/29, P06/29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11, Lmg 25, S2-200, M1935 | ||
대전차화기 | Tb 40, Tb 41 | |||
수류탄 | HG 4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위스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31 | |||
자동소총 |
|
|||||
기관단총 | MKMO, MKPS, MP41, MP 41/44, MP 43/44 | |||||
권총 | P06/29, P49, P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 11,
Lmg 25,
S2-200,
Mg 51, Mg 51/71,
|
||||
대전차화기 | Tb 40, Tb 41, Rr 58, Rr 80, PAL Bb 77 | |||||
박격포 | 6cm Werfer 87, 12cm Minenwerfer 74 | |||||
유탄 | HG 43, HG 85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 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 ||
반자동소총 | M/38, M/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 ||||
기관단총 | KP/-31, M/20, MKMO, MP28, M/41, M/42, M/43, M/44 | ||||
권총 |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26, M/21, M/15, M/20, DP-28 | |||
중기관총 |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 ||||
대전차화기 |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 ||||
화염방사기 | M/40, M/41-R | ||||
유탄 | M24, 몰로토프 칵테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강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몽강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 |||
기관단총 | MP18, M1920, MKMO | ||||
권총 | 26년식 권총, 마우저 C96, 남부 권총, 루거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Vz.26, 92식 중기관총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몽강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SIG Sauer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1d1d1b> SIG Sauer의 제품 라인업 | ||
자동권총 | P210 · P220 · P226 · P228 ( M11) · P229 ( P229R DAK) · P230 · P239 · P250 · P320 ( M17 · M18) · P365 · Pro | ||
기관단총 | M1920 · MKMO · MPX | ||
소총 | <colbgcolor=#1d1d1b> 볼트액션 | 베테를리 소총 · M1893 · SSG 2000 · SAN 511 | |
반자동 | M1908 · M400 | ||
자동 | AK53 · SG510 · SG540 · SG550 ( SIG556) · SIG516 ( SIG716) · MCX ( XM7) | ||
기관총 | KE7 · MG710 · MG338 ( XM250) | ||
탄환 | .277 퓨리 |
[A]
MKMO
[B]
MKPO
[A]
[B]
[A]
[B]
[C]
MKMS
[D]
MKPS
[C]
[D]
[B]
[D]
[A]
[C]
[A]
[B]
[C]
[D]
[A]
[B]
[D]
[C]
[A]
[B]
[C]
[D]
[A]
[B]
[C]
[D]
[A]
[B]
[C]
[D]
[35]
이후 팔 키랄리와 고타드 엔드는
SIG KE7 경기관총 개발에도 공동 참여했다.
[36]
해당 설계는 후일 팔 키랄리가 개발에 참여한
39M 기관단총에도 적용되었다.
[P]
Polizei, 경찰의 약어
[38]
헤지테이션 락 구조는 레밍턴 모델 51과 개량형인
레밍턴 R51, 그리고 MKMO/MKPO만이 사용하고 있다.
[S]
Seitlich, 측면배출식의 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