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07 13:14:32

Plague Inc./치료 모드/정책


Plague Inc. 치료 모드의 시스템
전염병 정책 상태

1. 개요2. 정책 목록
2.1. 격리(Quarantine)2.2. 대응(Response)2.3. 운영(Operation)

1. 개요

Plague Inc./치료 모드의 정책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전염병의 확산과 파괴에 대응하는 핵심 요소.

2. 정책 목록

2.1. 격리(Quarantine)

파일:치료모드격리.jpg

각 지역별로 전체적인 감염 경로를 통제할 수 있는 정책들이 모여있다. 전염병으로 플레이 했을 때 많은 사람들을 뒷목잡게 한 공항이나 항구 폐쇄를 대륙별로 직접 사용할 수 있고, 이 효과들이 전체적으로 매우 강력해 작전 요원과 함께 전염병 초중기 대응의 핵심을 담당한다. 감염된 국가들 내부의 감염력을 대폭 감소시키는 락다운 또한 초중후반 가릴 것 없이 매우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전 국가에 강제적이고 강력한 통제를 거는 만큼 이에 따른 순응 리스크(반발 위험) 또한 매우 크게 발생한다. 사람들의 반발과 불복종을 무마시키지 못하면 시위나 폭동이 발생해 정부 대응능력과 권위가 하락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도 반드시 강구해야 한다. 이 때문인지 여기에 시행되는 모든 폐쇄와 락다운은 한시적으로 적용되거나 아무 페널티 없이 소비했던 자원을 돌려받으면서 통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2.2. 대응(Response)

파일:치료모드대응.jpg
여기에 있는 정책들 또한 감염력을 통제할 수 있는 효과들이 있지만, 여기는 대륙이나 지역 전체에 적용된다기 보다는 국가 개별로 자체적인 감염력/치사율 감소를 시행 하는 효과들이 모여있다. 아무래도 자국 정부들이 알아서 시행하는 만큼 순응 리스크는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5]는 장점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감염력이나 국가 간 전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위의 격리 보다는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도 페널티 없이 점진적으로 전염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격리로 제어를 하면서 여유가 생긴다면 틈틈이 찍어주는 것이 좋다. 단, 생물무기는 난이도를 불문하고 대응은 걸러야한다. 곰팡이 메가 어려움도 마찬가지.

2.3. 운영(Operation)

파일:치료모드운영.jpg

여기는 감염력 감소 보다는 순응 리스크 감소와 작전 요원, 치료제 개발 등 부차적인 효과와 내용을 가진 정책들이 모여있다. 박테리아를 기준으로 몇몇 전염병들은 박테리아에 없는 특수한 정책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1] 그린란드는 아메리카에 속한다. [2] 움직임이나 행동에 직접적인 제한을 거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코로나 19가 터지고 몇몇 국가에서 시행했던 통행금지령이나 유흥업소 금지령, 휴교령 등이 이에 포함된다. [3] 다만 사망률이 약간 증가한다. [4] 처음에는 3$. 한번 더 표적 격리를 사용할 때마다, 1$씩 증가. [5] 사회적 거리두기, 국소 락다운은 불복종이 약간 증가한다. 자세한 것은 밑에서 참고. [6] 곱연산 기준 실적용 -36%. [7] 감염자가 증가하면 그 수에 비례해 권위가 감소하는데 이걸 일정 비율 경감시킨다. [원문] Build new critical care hospitals and external triage centres to increase medical capacity. Reduce fatality rate. Reduce Authority loss caused by high numbers of infected. [9] 예를 들어 불복종 수치 한도가 200이라고 했을 때 이걸 찍으면 기존에 있던 불복종 수치는 낮아지지 않지만 최대 한도가 300으로 늘어나는 식으로 추정된다. [10] 합연산이 아닌 곱연산이다. [11] 가끔 제로 환자(첫 감염자)가 발견되면 백신 개발률이 증가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