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N135
N 천체[1] | ||||
N16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70 황새치자리의 초거품 |
→ |
N171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MC-2 Supergiant Shell LMC-2 초거품 |
||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초거품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명칭 | ||
LMC-2 초거품 |
1. 개요
LMC-2 초거품/LMC-2 Supergiant ShellLMC-2 초거품은 N135 성운의 동쪽 끝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초거품 구조로 크기가 대략 3,000 광년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 상세
|
LMC-2 초거품의 사진 |
- THE SUPERGIANT SHELL LMC 2. I. THE KINEMATICS AND PHYSICAL STRUCTURE # - S. D. POINTS
- The Supergiant Shell LMC 2. II. Physical Properties of the 106 K Gas # - S. D. POINTS
- The Kinematic Map of the Ionized Gas of the Supergiant Shell LMC SGS 2 # - P. AMBROCIO-CRUZ
3,000 광년이라는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한 초거품중에서 가장 밝아 초거품 구조를 장노출 사진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초거품이며 LMC-3과 함께 N135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두 초거품중 하나이다.
초거품이 보통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 또는 타원 모양으로 관측되는 것과는 다르게 LMC-2 초거품의 경우 동쪽 벽면을 확인할 수 없는 반구 모양이며, 확실하게 초거품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초거품의 서쪽 측면에서는 북쪽에 위치한 N164 정도를 제외하고는 눈에 띄는 성운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앞서 상술했듯이 LMC-2 초거품의 존재가 대마젤란은하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중 하나인 것의 까닭은 서쪽 측면에서의 소규모 성운의 형성 뿐만 아니라 초거품의 구조를 식별할 수 없는 초거품의 동쪽 측면에 타란툴라 성운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타란툴라 성운 복합체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성운의 형성과정은 LMC-2 초거품이 현재의 NGC 2100 근처에서 발생한 연쇄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처음 형성된 이후 가스들을 밀어내면서 현재의 동쪽-남쪽부근에 위치해 있는 여러 별 형성지역을 형성하였고 특히, R136 소속 고질량 항성들의 항성풍과 LMC-2 초거품의 팽창에 의해 북쪽에 위치한 별 형성지역인 N164와 남쪽에 위치한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등이 항성 생성 활동을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
현재 LMC-2 초거품의 필라멘트에 대한 이온화는 LMC-2 초거품 내부 별 형성지역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들에서 기원한 자외선과 성운들의 가스 유출 및 최근의 초신성 폭발에 의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논문에 따르면 LMC-3 초거품은 LMC-2 초거품과 충돌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타란툴라 성운의 3세대 항성인 R136 및 기타 항성들의 별 형성이 촉진되었다고 한다. 이는 초거품의 충돌, 붕괴과정이 성간물질간 직접충돌, 고질량 항성의 항성풍과 함께 분자운을 형성하는 기초적 원인중 하나라는 것을 방증하는 단편적인 예시이기도 하다.
3. 구성 천체
<nopad> |
LMC-2 초거품 지역의 H-α 사진 |
3.1. NGC 2100
NGC 천체 | ||||
NGC 2099 마차부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00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01 화가자리의 불규칙은하 |
LH 천체 | ||||
LH 110 테이블산자리의 OB 성협 |
← |
LH 111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LH 112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NGC 2100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08s |
적위 | -69°11'44.9"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9.56 | |
규모 | ||
크기 | 4' | |
명칭 | ||
NGC 2100, LH 111, ESO 57-25, KMHK 1257 |
NGC 2100
NGC 2100은 LMC-2 초거품의 중심에서 북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으로 항성이 구형으로 모여있어 구상성단으로 오해받기 쉽지만 현재는 단순히 질량이 많은 산개성단으로 알려져 있다.
1826년 9월 25일 제임스 던롭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나이는 대략 1,000만년에서 3,000만년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타란툴라 성운의 1세대 항성 또는 2세대 항성일 것으로 추측되며 더 나아가 NGC 2100에서 형성된 고질량 항성들의 연속적인 초신성 폭발이 LMC-2 초거품을 형성했을 가능성 역시 여러 논문에서 제기되어 오고 있다. 다만, 성단을 세부적으로 관측한 최근의 논문이 1984년의 논문이기 때문에 정확한 성단의 질량, 규모, 소속 항성들의 목록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TYC 9163-761-1으로 명명된 항성은 거리가 약 10,000 광년 정도로 측정되어 성단에 위치해 있지 않고 우리은하 내부에 위치한 항성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NGC 2100의 상당한 질량과 NGC 2100 내부에서 관찰된 초신성잔해등은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켜 가스가 타란툴라 성운을 거쳐 LMC-3 초거품쪽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2. N163
N 천체[A] | ||||
N162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HA 120-N 163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55.1s |
적위 | -69° 45' 17.5"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6' X 6' | |
명칭 | ||
LHA 120-N 163, MCELS L-372, DEM L 300 |
N163
N 163은 LMC-2 초거품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이다.
LMC-2 초거품 내부에서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N164 다음으로 거대한 발광성운이지만, 해당 성운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단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중심에 KMHK 1284 산개성단과 TIC 389327812 O형 초거성, 장주기 변광성등의 변광성 몇개가 식별되었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성운 내부에서 전파원, YSO 천체, 적외선원들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점을 보아 성운 내부에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사실은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3.3. N164
N 천체[A] | ||||
N16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5 황새치자리의 초신성잔해 |
LHA 120-N 164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27.6s |
적위 | -69° 04' 13.8"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6' X 3' | |
명칭 | ||
LHA 120-N 164, MCELS L-369, DEM L 298 |
N164
N 164는 LMC-2 초거품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으로, LMC-2 초거품 전체[5]에서 가장 활발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LH 113 또는 HS 397A로 알려져 있는 OB 성협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으며 해당 성협 내부에서는 미라형 변광성인 적색 초거성, OGLE LMC LPV 80606, SK-69 287으로 알려져 있는 O8V 청색 초거성 및 20개 내외의 변광성이 식별되었다.
성운은 앞서 상술한 LH 113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성운에 대한 운동학적 관측에서 성운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NE Knot(북동쪽 밧줄)와 성운 중간에서 위 사진의 오른쪽으로 뻗어 있는 Tail(꼬리) 구조가 본 성운인 N164와 운동학적으로 구별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3.4. N165
N 천체[A] | ||||
N16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6 황새치자리의 초신성잔해 |
LHA 120-N 165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27.6s |
적위 | -69° 04' 13.8"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초거품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6' X 3' | |
명칭 | ||
LHA 120-N 165, CAL 82, DEM L 299, MCELS L-371, SNR B0543-68.9 |
N165
N165는 LMC-2 초거품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초거품 및 발광성운이다.
N165 내부에서는 SNR B0543-68.9으로 명명된 초신성잔해가 식별되었는데, 이는 광학적으로 확인 가능한 초거품 구조와 별개의 구조이다. # 또한, 초거품 구조는 대략 4~12개의 연쇄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되었으며 약 2,800만년에서 3,500만년 이하의 나이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에 위치한 공동을 둘러싸고 있는 초거품의 모습이 특징인 성운으로, 특히 성운의 북서쪽에는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이 확인된다. 해당 부분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성운 정중앙에 SK-68 155로 명명된 B1V 청색 초거성이 떡하니 위치해 있기 때문에 아마도 이 초거성에 의해 성간가스가 이온화된 결과로 성운이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초거품의 남쪽에는 잔해의 필라멘트를 따라 왼쪽부터 H88 325, H88 324, BSDL 2862가 식별되는데 이중 H88 324는 N165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언급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pAGB인 HD 270047, SK-68 157와 청색 초거성으로 추정되는 CPD-69 513등이 초거품 구조 내부에 위치해 있다.
3.5. DEM L 297
DEM L 천체 | ||||
DEM L 29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9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29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DEM L 297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04.1s |
적위 | -68°57' 35.9"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2' X 1' | |
명칭 | ||
DEM L 297, MCELS L-368 |
DEM L 297
DEM L 297은 N164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이다.
해당 성운에 대한 어떠한 학술지에서의 언급은 존재하지 않지만, 성운 중심에 pAGB 후보별인 SSTISAGEMC J054212.76-685803.6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아마도 해당 별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는 성운으로 추정된다. 또한, 성운의 남쪽 부근에서는 LISC 3701으로 명명된 산개성단이 식별되었다.
3.6. DEM L 304
DEM L 천체 | ||||
DEM L 30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30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DEM L 30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DEM L 304 | ||
<nopad>
오른쪽 위의 성운: DEM L 304 사진 중앙의 밝은 성운: N167 N167 아래의 작은 성운: N166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3m 39.572s |
적위 | -69° 16' 4.08"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10' X 6' | |
명칭 | ||
DEM L 304 |
DEM L 304
DEM L 304는 LMC-2 초거품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 성운으로, 상대적으로 밝고 큰 성운이 식별됨에도 불구하고 헤나이즈 목록에 등재되지 못한 비운의 성운이다.
시각적으로는 성운이 서로 이어져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DEM L 304는 북쪽과 서쪽, 남쪽에 해당하는 부분의 시선속도가 다르게 관찰되어 총 3개의 필라멘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필라멘트군 성운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N167 및 N166 성운과 필라멘트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성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은 DEML L 304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구형의 성운으로 KMHK 1295으로 명명된 산개성단이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BSDL 2898 산개성단이 KMHK 1295의 북서쪽에서 식별된다. 또한, 성운의 외곽지역에서는 HD 270046으로 명명된 G5V형 적색 초거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성운의 전경에는 NGC 2100 방향으로 연결되는 고속 성분이 관찰되었다.
이외에도 HD 270046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성운과 N 167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는 성운에 대한 시선속도가 일반적인 대마젤란은하의 시선속도인 200 Km/s ~ 400 Km/s보다 무려 약 2배나 높은 600 Km/s으로 측정되면서 대마젤란은하의 후경에 위치해 있는 성운으로 추정되었다.[7]
3.7. N166-N167
N 천체[A] | ||||
N16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N16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LHA 120-N 166/LHA 120-N 167 | ||
<nopad>
오른쪽 위의 성운: DEM L 304 사진 중앙의 밝은 성운: N167 N167 아래의 작은 성운: N166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N166: 05h 44m 15.0s N167: 05h 44m 16.4s |
적위 |
N166: -69° 24' 17.5" N167: -69° 22' 06.5"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발광성운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N166: 0.5' X 0.5' N167: 2' X 2' |
|
명칭 | ||
LHA 120-N 166 | ||
LHA 120-N 167: MCELS L-377, DEM L 307 |
N166/N167
N166에 대한 학술지에서의 언급과 소속 천체에 대한 정보가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N167과 통합하여 같은 문단에서 서술하겠다.
먼저 N166은 N167 남쪽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암흑성운[9] 중앙에 위치해 있는 성운으로 상술했듯이 너무 성운의 규모가 작고 협소하기 때문에 학술지에서의 언급과 소속 천체에 대한 정보가 말 그대로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스텔라리움에서 성운 내부에 위치해 있는 Gaia DR2 4657616128141670784 항성이 식별되지만, SIMBAD에서는 해당 항성이 식별되지 않는다.
N167은 N166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 상대적으로 크고 밝은 구형 성운으로 내부에서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점과 아치형 구조가 발달하고 있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성운 북쪽에 KMHK 1313으로 명명된 가로로 길쭉한 산개성단이 확인되는데 성운과 물리적으로 연관이 있는지는 미지수다.
3.8. N168(NGC 2113)
NGC 천체 | ||||
NGC 2112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13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1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 천체[A] | ||||
N16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NGC 2113 N168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04.6s |
적위 | +69° 22′ 42″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2.3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1.1' X 1.1' | |
명칭 | ||
NGC 2113: HD 270077, KMHK 1342, IRAS 05458-6947 | ||
LHA 120-N 168: DEM L 311, MCELS L-380 |
NGC 2113/N168
NGC 2113 또는 N168은 LMC-2 초거품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으로 존 허셜이 1834년 11월 3일에 처음 발견하였다.
NGC 2113은 N168 발광성운 내부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으로, O9V의 O형 주계열성인 MCPS 086.34782-69.77278와 2MASS J05452775-6946224등의 YSO 천체가 포함된다.
번외로 성운의 남쪽 부근에는 특이하게 밝은 성운(N168B)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를 논문에서는 매듭(Knot) 구조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성운 내부에는 2MASS J05452006-6946448으로 명명된 YSO 천체와 [IJC2004] B0545-6947으로 알려진 적외선원이 확인된다.
3.9. N169
N 천체[A] | ||||
N16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6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
→ |
N170 황새치자리의 초거품 |
LHA 120-N 166/LHA 120-N 167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6m 19s |
적위 | -69° 33' 50"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C:
발광성운 B: 은하 |
|
거리 |
16만
광년 49,000 파섹 |
|
규모 | ||
크기 |
A: 0.8' X 0.8' B: 0.2' X 0.1' C: 3' X 3' |
|
명칭 | ||
LHA 120-N 169A: DEL M 314, MCELS L-385 | ||
LHA 120-N 169B: DEL M 313, MCELS L-384 | ||
LHA 120-N 169C: DEL M 312, MCELS L-383 |
|
N169 성운의 사진 |
N169
N169는 LMC-2 초거품의 동쪽 부근에 위치해 있는 성운으로 총 3개의 하위 천체로 나누어져 있다.
N169A(DEM L 314)는 0.8'의 겉보기크기를 가지고 있는 작은 구형 발광성운으로 이온화 소스가 무엇인지는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문헌에서 O7.5V의 O형 주계열성이 이온화 소스라는 언급이 존재한다.
N169B(DEM L 313)은 0.2'의 겉보기크기를 가지고 있는 극히 작은 발광성운으로 성운 목록인 헤나이즈 목록과 DEM 목록에서 목록의 일부로 등재되었으며 여러 문헌과 학술지에서도 응축된 발광성운의 일종으로 보고되었었다. 그러나, 2MASX을 비롯한 여러 은하 목록에서 해당 성운이 은하로 등재되었고 남쪽 하늘에 대한 활동 은하핵 목록 #에 등재됨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AGN 은하로 분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12]
N169C(DEM L 312)는 3'의 겉보기크기를 가지고 있는 상대적으로 거대한 구형 전리수소영역으로 O7.5 V의 O형 주계열성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다는 문헌의 언급이 존재하나, 해당 범위에서 확인된 항성중에서 그정도로 밝은 항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성운 벽면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UCAC4 103-018291가 해당 항성일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정확한 분광형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었다.
3.10. NGC 2091
NGC 천체 | ||||
NGC 2090 비둘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NGC 2091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9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2091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0m 46s |
적위 | -69° 25’ 32”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2.1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겉보기 크기 | 1.2' | |
명칭 | ||
NGC 2091, KMHK 1229 |
NGC 2091
NGC 2091은 N158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소규모 산개성단이다.
1826년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LMC-2 초거품에서도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에서 살짝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하고 있다. 아쉽게도 NGC 2091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단 내부에서 [W60] A90으로 명명된 적색 초거성이 확인되었다는 것 외의 구성 항성의 정보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지만, #에서 나이가 대략 1,000만년에서 3,000만년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타란툴라 성운의 1세대 내지 2세대에 형성된 산개성단일 가능성이 높다.
3.11. NGC 2092
NGC 천체 | ||||
NGC 2091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9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93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2092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1m 11s |
적위 | -69° 12’ 46”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겉보기 크기 | 1' | |
명칭 | ||
NGC 2092, KMHK 1235 |
NGC 2092
NGC 2092는 N158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소규모 산개성단이다.
존 허셜이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발견 시점에 대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존 허셜이 1836년 11월 2일과 1837년 3월 26일 사이에 발견한 천체들과 그 이전에 발견한 천체들까지를 모두 목록화한 문헌에서 NGC 2092의 존재가 확인되기 때문에 아마도 대마젤란은하에 대한 관측을 시작한 1834년 3월 5일과 1836년 11월 2일 사이에 발견되었다는 점은 확실하다고 한다.
#에서 나이가 대략 1,000만년에서 3,000만년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타란툴라 성운의 1세대 내지 2세대에 형성된 산개성단일 가능성이 높으며 NGC 2100의 서쪽에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어 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아쉽게도 이 성단 역시 문헌에서의 자세한 특성에 대한 언급이 존재하지 않아 자세한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3.12. NGC 2093
NGC 천체 | ||||
NGC 209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93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NGC 209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2093 | ||
<nopad>
오른쪽의 OB 성협: NGC 2093 왼쪽의 가로로 길쭉한 산개성단: NGC 2094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1m 40s |
적위 | -68° 54’ 37”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1.57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겉보기 크기 | 1.5' | |
명칭 | ||
NGC 2093, LH 109, KMHK 1245 |
NGC 2093
NGC 2093은 N164 성운의 서쪽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으로 존 허셜에 의해 1836년 12월 20일 또는 30일에 발견되었다.
B형 주계열성인 MCPS 085.45371-68.91458, 적색 초거성으로 추정되는 HD 270007을 포함해 분광형이 확인되지 않는 [MG73] 167, LHA 120-S 139, [MG73] 172등이 성협 범위에 확인된다. 해당 성단 역시 문헌에서의 언급이나 분광 관측기록이 존재하지 않아 자세한 특성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많지 않지만, #에서 나이가 대략 1,000만년에서 3,000만년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타란툴라 성운의 1세대 내지 2세대에 형성된 산개성단일 가능성이 높다.
3.13. NGC 2094
NGC 천체 | ||||
NGC 2093 황새치자리의 OB 성협 |
← |
NGC 209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095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NGC 2094 | ||
<nopad>
오른쪽의 OB 성협: NGC 2093 왼쪽의 가로로 길쭉한 산개성단: NGC 2094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03s |
적위 | -68° 54’ 27”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겉보기 크기 | 0.9' X 0.5' | |
명칭 | ||
NGC 2094, KMHK 1260 |
NGC 2094
NGC 2094는 NGC 2093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작은 산개성단으로 1835년 1월 31일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일식 쌍성인 OGLE LMC-ECL-22878, OGLE LMC-ECL-22868와 장주기 변광성인 OGLE LMC-LPV-80593이 성단 내부에서 확인된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으며 옆에 위치한 NGC 2093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아마도 대마젤란은하 내부에서도 NGC 2093의 전경 또는 후경에 위치해 있는 별개의 산개성단일 가능성이 높다.
3.14. NGC 2102
NGC 천체 | ||||
NGC 2101 화가자리의 불규칙은하 |
← |
NGC 210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2103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
NGC 2102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2m 07s |
적위 | -69° 28’ 35” | |
별자리 | 황새치자리 | |
겉보기 등급 | 11.44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산개성단 | |
거리 |
160,000
광년 49,000 파섹 |
|
겉보기 크기 | 0.85' | |
명칭 | ||
NGC 2094, KMHK 1264 |
NGC 2102
NGC 2102는 NGC 2091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작은 산개성단으로 1830년대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청색 초거성들로 추정되는 CPD-69 512, MCPS 085.58691-69.48781, SOI 662가 산개성단 반경에서 식별되며 10개 내외의 장주기 변광성, 일식 쌍성등의 변광성 또한 확인된다. #에서 나이가 대략 0 ~ 1,000만년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LMC-2 초거품의 확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산개성단으로 보인다.
4. 관련 문서
[1]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2]
위 사진에서 N158-N159-N160이 N164보다 더 바깥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점에서 두 성운이 같은 형성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의문을 표할 수도 있으나, 남쪽에 위치한 N159, N160 성운은 N158의 고질량 항성의 항성풍과 LMC-2 초거품이 충돌하면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차적인 별 형성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타란툴라 성운에서의 항성풍과 LMC-2 초거품의 충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간접적인 영향만을 받았다. 실제로 타란툴라 성운에서 N158과 N164간의 거리는 거의 일치하며 상단 표 사진에서도 타란툴라 성운에서의 항성풍으로 인해 형성된 옅은 성운이 N164와 N158의 범위까지 퍼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A]
[5]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는 제외
[A]
[7]
해당 천체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은 논문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A]
[9]
이 암흑성운에서는 수십개의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YSO 천체들이 식별된다.
[A]
[A]
[12]
다만, 측정된 시선속도는 대마젤란은하와 비슷한 300 Km/s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과 그전까지 BOV의
B형 주계열성이 N169B에서 식별되었다는 점은 생각해볼 여지가 존재한다. N169B에 대한 문헌에서의 언급이 모두 N169B가 은하라는 점이 밝혀지기 전의 언급이기 때문에 정확한 특성은 확인할 수 없지만, 발광성운과 활동은하가 중첩된 채로 위치해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