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0:05:58

LH아파트/목록/대구광역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H아파트/목록

1. 목차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중구
남산휴먼시아 1단지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604세대 2008년 10월
청라센트럴파크[2]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575세대 2008년 10월
동구
효목주공[3]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1,241세대 1973년 2월
신천LH[4]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917세대 1989년 7월
신천주공 2단지 609세대 1998년 9월
신천역더뷰파크[5] 174세대 2002년 10월
안심주공 1단지[영구임대][7]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 864세대 1994년 7월
율하 뜨란채 2단지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 340세대 1997년 7월
안심주공 3단지[영구임대] 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 984세대 1994년 7월
안심주공 4단지 대구광역시 동구 율하동 194세대 2003년 8월
율하 휴먼시아 5단지 860세대 2008년 10월
율하 휴먼시아 6단지 808세대 2008년 12월
율하 휴먼시아 7단지 712세대 2008년 11월
율하센트럴파크 8단지[9] 253세대 2009년 2월
율하센트럴파크 9단지[10] 332세대 2009년 2월
율하 휴먼시아 10단지 976세대 2010년 5월
율하리버파크[11] 486세대 2009년 2월
율하리버파크뷰[12] 442세대 2010년 8월
율하 휴먼시아 15단지 457세대 2009년 9월
신암 뜨란채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828세대 2005년 9월
신천역 센트럴리버파크[13]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785세대 2011년 3월
신천 휴먼시아 6단지 550세대 2011년 1월
대구혁신 3단지 천년나무[14] 대구광역시 동구 각산동 448세대 2014년 9월
대구혁신 4단지 572세대 2017년 9월
대구혁신 5단지 에듀포레 350세대 2013년 12월
대구혁신 6단지 천년나무 1,208세대 2016년 2월
대구혁신 8단지 이노힐즈 대구광역시 동구 사복동 487세대 2015년 12월
대구혁신 10단지 1,088세대 2017년 1월
대구혁신 13단지 천년나무 대구광역시 동구 숙천동 340세대 2016년 10월
대구혁신 14단지 천년나무 178세대 2016년 10월
LH뉴웰시티 디어포레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1,812세대 2021년 2월
연경LH천년나무 2단지 916세대 2020년 1월
서구
중리주공[15]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 1,720세대 1979년 3월
신평리주공[16]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 1,730세대 1979년 5월
남구
이천주공 1단지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576세대 1999년 6월
이천주공 2단지 320세대 2002년 11월
이천 뜨란채 3단지 238세대 2006년 7월
이천 뜨란채 4단지 193세대 2006년 7월
북구
복현주공 1단지[17] 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 ?세대 1984년 ?월
복현주공 2단지[18] 250세대 1985년 4월
복현주공 3단지[19] ?세대 1984년 11월
복현주공 4단지[20] 1,98?세대 1984년 ?월
산격주공[영구임대]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862세대 1991년 12월
칠곡그린빌 1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876세대 1999년 10월
칠곡그린빌 2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 656세대 2001년 5월
칠곡그린빌 3단지 1,389세대 2000년 8월
칠곡그린빌 4단지 900세대 2001년 12월
칠곡그린빌 5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국우동 714세대 2002년 10월
칠곡그린빌 6단지 852세대 2002년 10월
칠곡그린빌 7단지 295세대 2007년 10월
대구동서변그린빌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1,282세대 2002년 5월
대현 뜨란채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 736세대 2006년 5월
대현 한신휴플러스[22] 751세대 2010년 9월
센트럴파크 대현[23] 1,106세대 2016년 4월
매천 휴먼시아 1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1,937세대 2008년 9월
매천센트럴파크[24] 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 928세대 2008년 1월
대구역 서희스타힐스[25]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 1,250세대 2012년 1월
금호LH천년나무 1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관문동 1,088세대 2014년 9월
금호LH천년나무 5단지 1,252세대 2016년 12월
금호LH천년나무 8단지 1,022세대 2016년 4월
연경LH천년나무 1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600세대 2019년 4월
대구도남 LH1단지 대구광역시 북구 도남동 820세대 2023년 2월
대구도남 LH2단지 1,200세대
달서구
내당주공[26]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 1,199세대 1979년 5월
성당주공 1단지[27] 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리동 2,103세대 1982년 6월
성당주공 2단지[28]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 650세대 1983년 12월
성당주공 3단지[29]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 420세대 1983년 12월
송현주공 1단지[30]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세대 1985년 10월
송현주공 2단지[31] ?세대 1985년 10월
송현주공3단지[32] 1,080세대 1986년 11월
본동주공[영구임대]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1,234세대 1992년 12월
월성주공 1단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1,234세대 1991년 8월
월성주공 2단지[영구임대] 2,364세대 1991년 9월
월성주공 3단지[영구임대] 1,482세대 1991년 12월
월성센트로파크[36] 1,840세대 1992년 3월
월성주공 5단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동 1,740세대 1992년 8월
성서주공 1단지 은하수마을[영구임대]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877세대 1995년 5월
성서주공 2단지 신당타운 1,412세대 1995년 5월
성서주공 3단지[영구임대][39] 835세대 1995년 5월
성서주공 3단지 한빛마을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1,461세대 1998년 4월
성서주공 4단지 성서타운 570세대 1996년 11월
성서주공 5단지 성산타운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891세대 1997년 2월
성서주공 6단지 금빛마을 1,034세대 1998년 1월
성서주공 7단지 세븐하이츠 794세대 1997년 11월
성서주공 8단지 성지타운 693세대 1997년 10월
대곡주공 1단지 가람마을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1,446세대 1997년 3월
대곡주공 2단지 미리샘마을 1,120세대 1998년 3월
대곡주공 5단지 한실들마을 1,653세대 1996년 12월
대곡주공 6단지 별메마을 1,594세대 1996년 8월
대곡주공 7단지 산새마을 1,302세대 1996년 8월
대곡주공 8단지 나래마을 1,060세대 1997년 4월
대곡주공 9단지 아람마을 1,348세대 1997년 4월
장기주공 대구광역시 달서구 장기동 750세대 2005년 4월
대곡LH 천년나무 1단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810세대 2019년 3월
수성구
황금주공 1단지[40]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세대 1981년 5월
황금주공 2단지[41] ?세대 1981년 5월
황금주공 3차[영구임대] 978세대 1992년 9월
달성군
현풍주공 대구광역시 현풍읍 230세대 1985년 12월
논공주공 대구광역시 논공읍 360세대 1997년 7월
용계주공 대구광역시 가창면 302세대 2005년 4월
다사주공 1단지 대구광역시 다사읍 439세대 2006년 8월
다사주공 2단지 308세대 2006년 8월
죽곡 휴먼시아 1단지 594세대 2008년 6월
서재 휴먼시아 757세대 2010년 7월
명곡미래빌 주공 1단지 대구광역시 화원읍 976세대 2000년 3월
명곡미래빌 주공 2단지 1,032세대 2000년 3월
명곡미래빌 주공 3단지 716세대 2000년 3월
서한 미래빌[43] 800세대 2000년 5월
명곡역 미래빌 5단지[44] 762세대 2001년 10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1단지 대구광역시 현풍읍 1,390세대 2016년 2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2단지 1,126세대 2016년 3월
대구테크노폴리스LH 3단지 1,020세대 2017년 4월
옥포 LH천년나무 2단지 대구광역시 옥포읍 1,366세대 2015년 2월
대구옥포 LH 천년나무 3단지 791세대 2016년 3월
옥포 LH허브시티 815세대 2015년 4월
군위군
군위LH 천년나무 군위군 군위읍 408세대 2015년 4월


[1] 재건축 중인 아파트도 포함 [2] 본래 남산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3] 태왕메트로시티로 재건축되었다. [4] 신천주공 1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5] 신천주공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영구임대] 영구임대아파트. [7] 1·3~4단지는 안심주공이라고 부르지만 나머지 단지들은 율하뜨란채, 율하휴먼시아라고 부른다. 2단지는 뜨란채 브랜드, 5~12, 15단지는 휴먼시아 브랜드. [영구임대] [9] 율하휴먼시아 8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10] 율하휴먼시아 9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11] 율하휴먼시아 11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12] 율하휴먼시아 1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13] 신천휴먼시아 5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14] 3단지, 6단지, 13단지, 14단지는 천년나무 브랜드이다. [15] 중리 롯데캐슬로 재건축되었다. [16] 평리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 [17] 복현 푸르지오로 재건축되었다. [18] 복현자이로 재건축되었다. [19] 복현 태왕아너스로 재건축되었다. [20] 복현 블루밍 브라운스톤 명문세가로 재건축되었다. [영구임대] [22] 대현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23] 대현LH 3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24] 매천휴먼시아 2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25] 칠성휴먼시아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26] 두류삼정그린빌로 재건축되었다. 이름과 달리 행정구역상 두류동에 있는데 달구벌대로 건너편이 진짜 내당동이다. 다만, 두류동 자체도 달서구로 분구하기 전에는 내당동이긴 하였다. [27] 성당 래미안 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 [28] 1단지와 마찬가지로 성당 래미안 e편한세상으로 재건축되었다. [29] 성당 코오롱하늘채로 재건축되었다. [30] 상인화성파크드림으로 재건축되었다. [31] 1단지와 마찬가지로 상인화성파크드림으로 재건축되었다. [32] 상인센트럴자이로 재건축 예정이다. 철거는 완료되었으나 2년 가까이 방치되고있다. [영구임대] [영구임대] [영구임대] [36] 월성주공 4단지였으나 이름이 변경되었다. [영구임대] [영구임대] [39] 바로 밑에 성서주공 3단지와는 다른 단지이다. [40]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되었다. [41] 1단지와 마찬가지로 캐슬골드파크로 재건축되었다. [영구임대] [43] 원래 명칭은 명곡미래빌 주공 4단지 [44] 원래 명칭은 명곡미래빌 주공 5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