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8:25:00

뱅가드(전함)

HMS 뱅가드에서 넘어옴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000080>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 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갤런트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에레버스급
경순양함 C급( 칼레돈급, 세레스급, 칼라일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엑서터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 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 허미즈급,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급,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 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 SSN-AUKUS}
SSBN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 드레드노트급}
고속정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 대잠 호위함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 26형 시티급}, { 31형 인스퍼레이션급}, { 32형 호위함}
구축함 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 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 뱅가드R
상륙함 LPH 오션급R
LPD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 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무인함 UUV 시캣, { 세투스 XLUUV}
군수지원함RFA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 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함
중간포 폐지/대응방어 및 증기터빈 도입

드레드노트


 
방뢰격벽 추가/부포 구경 강화

벨레로폰급


 
부포 수량 증가

세인트 빈센트급


 
장갑 강화/주포 배치 개선

넵튠급


 
마스트 수량 감소

콜로서스급


 
주포 구경 강화

오라이언급


 
장갑 및 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11)


 

 
주포 구경 증가/속력 강화/중유 보일러 도입

퀸 엘리자베스급


 
아이언 듀크급 기반으로 무장 강화

리벤지급


 
주포 구경 강화/집중방어체계 도입

N3급


 
N3급 기반으로 소형화

넬슨급


 
4연장 주포탑 도입/속력 강화

킹 조지 5세급(1939)


 
신형 주포 도입/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강화

뱅가드

순양전함
드레드노트 기반으로 경량화

인빈시블급


 
항속거리 증가

인디패티거블급


 
주포 구경 및 장갑 및 속력 강화

라이온급


 
속력 및 항속거리 증가

퀸 메리급


 
부포 구경 강화

타이거급


 
주포 구경 및 속력 강화

리나운급


 
포탑 1개 추가/장갑 강화

어드미럴급


 
어드미럴급 기반으로 주포 구경 강화

K2/K3급


 
K3급 기반으로 경량화

J3급


 
M3급 전함의 순양전함 설계

I3급


 
I3급 기반으로 경량화

G3급

기타
라이온급 기반 수출용 전함

에린

/
 
퀸 엘리자베스급 기반 수출용 전함

애진코트

/
 
수출용 전함

캐나다

/
 
수출용 전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이글

/
 
고속 대형 경순양함/항공모함으로 개장

커레이저스급

/
 
1915년 제안된 순양전함

인컴패러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attachment/Vanguard00001.jpg
HMS Vanguard

1. 개요2. 제원3. 함생4. 배경5. 제작사6. 장점7. 문제점8. 평가9. 조용한 퇴역10. 등장 매체11. 둘러보기

1. 개요

영국 해군 전함. 이 이름을 가진 군함으로는 10대째로, 기공 시기만 본다면 세계 최후로 건조된 전함[1]이다.

2. 제원

뱅가드
Vanguard
이전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취소)
다음급 없음
전장 248m
전폭 32.8m
흘수 9.3m
기준배수량[2] 45,200톤
만재배수량 52,250톤
승조원 1,590명
항속거리 15노트 (약 28km/h) 순항 시 15,280km
최고 속력 30노트 (약 56km/h)
동력 기관 어드미럴티 3드럼식 보일러 8기
증기 터빈 4기
추진 4축 프로펠러
출력 기본 130,000SHP
공시 136,000SHP
레이더 조기경보 Type 960
탐색 Type 293
고도탐지 Type 277
주포 통제 Type 274 × 2기
5.25인치 부포 통제 Type 275 × 4기
40mm 부포 통제 Type 262 × 11기
무장 주포 BL 2연장 15인치 Mk.1 함포 × 4기
부포 QF 2연장 5.25인치 Mk.1 양용포 × 8기
보포스 40mm 포 × 73문[3]
장갑 측면 114 ~ 356mm
갑판 64 ~ 152mm
바벳[4] 279 ~ 330mm
주포탑 178 ~ 330mm
장갑함교 51 ~ 76mm
격벽 102 ~ 305mm

3. 함생

함번 함명 진수 취역 퇴역 비고
23 뱅가드
(Vanguard)
1944년 11월 30일 1946년 5월 12일 1960년 6월 7일 왕실 요트로 운용 후 1960년 8월 4일 스크랩을 위해 견인

4. 배경

1944년 뱅가드의 진수식. 축사를 하고 포도주를 던지는 엘리자베스 2세(당시 공주)의 모습이 담겼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의 경제는 상황이 영 좋지 않은 상태였고 해군조약을 통하여 열강들이 다 같이 전함 건조를 중지하면서 한숨을 돌린다. 해군 조약으로 주요 열강이 전함 건조를 중지하였지만 조약이 영국에게 16인치급 전함 2척을 건조할 수 있게 해주었으므로 16인치 주포를 가진 넬슨급 전함 2척을 보유하여 여전히 해군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게 된다.[5]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다가오면서 각 열강들이 속속 신규 전함을 건조하게 되는데 여기서 영국은 조약의 한계로 인하여 킹 조지 5세급이라는, 화력에 문제가 많은 전함을 건조하고 있었다.[6]

물론 라이온급 전함 같은 제대로 된 전함도 기획하고 있긴 했지만 2차대전이 발발하면서 다른 부분에도 자금과 자재가 필요하였기에 눈물을 머금고 포기해야 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영국 해군은 비스마르크급 전함이나 리토리오급 전함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전함이 없어서 곤란한 상황이 되어 버린다. 게다가 15인치 주포와 30노트에 달하는 속력을 가진 순양전함 후드도 비스마르크에게 격침당해 그 대용 전함도 필요했다.[7]

이 때문에 해군경 시절부터 적어도 1척이라도 강력한 신규 전함이 필요하다는 윈스턴 처칠의 주장에 의해 1940년도 신조계획(New Construction Programme 1940) 총액 6,312만 파운드 중, 전함 1척 850만 파운드가 배정되어 뱅가드의 건조가 시작되었고 리벤지급 전함의 주포를 유용하여 뱅가드급 4척[8]을 더 건조할 계획을 수립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5. 제작사

막상 건조하기로 결정은 했으면서도 당시 영국은 시간도, 돈도, 자재도, 시설도 하나같이 부족한 상태였다. 하지만 주포와 엔진의 여분이 남아있고 포기한 계획의 설계도도 있으므로 끝까지 건조하기로 하긴 했다. 여기까지만 보면 다행이지만 문제는 다른 데에 있었다.

한마디로 말해 거의 온갖 예비부품과 스크랩을 짜깁기해서 만들어졌다고 할 수준, 게다가 기존 군함들이 전선에서 피해를 입고 수리를 위해 입항하는 경우까지 발생하여 안 그래도 전함 주포 포신 1기를 신규 제작할 여유도 없는 영국에게는 압박이 가중되었다. 결국 기공은 1941년에 했으나 예정으로 잡혀 있던 1944년을 넘겨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인 1946년에야 취역했다. 다시 말해 태어나자마자 원래 쓰일 곳은 이미 사라진 상태.

6. 장점

}}} ||
1950년 뱅가드에서의 함상 생활이 담긴 영상
* 속력과 안정성: 29.75노트의 속력에다가 선수부를 크게 상승시키고(플레어), 선형을 다듬어 안정성이 매우 뛰어났다. 영•미 연합훈련 중 악천후를 만나 아이오와급 전함이 종이배처럼 흔들리는 상황에서도 뱅가드는 아주 멀쩡했을 정도.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는데* 배수량에 비해서 가벼운 무장: 배수량은 아이오와와 비슷하면서 무장은 퀸 엘리자베스급 전함과 비슷한 수준으로 가볍게 했으니 항해 안정성이 향상될 수밖에 없다. 특히 미국의 경우 파나마 운하로 인해 선폭이 좁은데 비해 무장은 많음으로 배의 안정성에서 차이가 크다.* A포탑 영거리 사격 가능삭제: 기존의 조지 5세급 전함등 영국의 대부분 전함들은 근접전을 선호하는 특성상 전방 A포탑이 앙각 0도에서도 사격할 수 있도록 함수를 낮춰야 했지만 그런 요구사항이 사라진 뱅가드는 함수에 큰 플레어를 줄 수 있었다. 뱅가드의 함형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

7. 문제점

파일:/mypi/gup/a/189/20/o/19362034592.jpg }}} ||
파일:/mypi/gup/a/189/20/m/19362034590.jpg }}} ||
파일:/mypi/gup/a/189/20/o/19362034591.jpg }}} ||
뱅가드 장갑 구조

8. 평가

종합하자면 순양전함 후드를 대체하기에는 충분하지만 그게 전부이며 태평양의 전함들은[12] 커녕 리슐리외급 전함과 비교해도 우세를 장담할 수 없는 전함이다. 물론 어차피 뱅가드는 후드를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함이고. 그만큼의 성능은 어찌 맞추었으니 그럭저럭 목표치는 달성한 셈이다.

만일 뱅가드가 넬슨급 전함에 탑재되었고 라이온급 전함에도 탑재 예정이었던 16인치 3연장 포탑 3기 혹은 미국제 16인치 3연장 포탑 3기로 무장할 수 있었다면 그럭저럭 우수한 전함이 나왔겠지만 그럴바에는 그냥 처음부터 라이온급을 건조하고 말았을 것이다. 애초에 뱅가드의 콘셉트는 재고로 남은 부품과 설계도를 짜깁기해서 후드의 대체함을 만드는 게 목적이었다. 그리고 라이온급을 버리고 뱅가드를 택하는 식의 결정은 이것뿐만이 아니었다. 오히려 이 결정은 영국이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부터 재정난에 시달리며 차선책을 고르던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13] 영국의 전시 내각과 처칠이 라이온급 전함을 건조하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은 애초에 없었으며, 후드나 프린스 오브 웨일즈를 잃지 않았다면 뱅가드조차도 건조되지 않았을 거라 보는게 타당하다.

9. 조용한 퇴역

취역하고나니 전쟁은 이미 끝난데다 영국은 군자금으로 쓴 빚에 전쟁피해까지 입고 배급제를 1958년까지 유지할 정도로 경제가 엉망이라 연습전함이 되었다.

뱅가드의 짧은 함생에서 그나마 의미가 있는 일을 한 것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첫번째는 약 3년간 영국 왕실의 요트가 된 것이다. 정말로 왕족들의 유람을 위한 요트가 된 것은 아니고 전후 2차대전에서 영국을 적극 지원해준 영연방 국가들에게 감사의 의미를 포함해 영국 왕실(국왕 부부와 두 공주)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방문하기로 했는데, 당시엔 지금처럼 장거리 여객기같은 게 있었던 시절이 아니었고 결국 배로 가야 했다.

전쟁 이전의 왕실 요트였던 리나운은 1차 대전 말에 건조된 구형 순양전함이어서 함령이 오래되었는데다가, 2차 세계 대전의 아수라장을 거치면서 그냥 보기에도 엄청 촌스러운 위장도색을 하고 오리콘 대공포를 도배하면서 예전보다 볼품이 없어졌다. 따라서 전쟁 후의 영국은 실제로도 사정이 썩 좋진 않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형 전함인 리나운을 그대로 내보내는 것은 영국의 쇠락을 스스로 고백하는 모양새가 되어서, 왕실은 물론 영국 자신의 위신에도 손상을 줄 것이었다.

고민에 빠진 관계자들이 궁리 끝에, 대외적으로는 최신예 전함이어서 허우대는 끝내주지만 실제로는 할 일 없이 항구에서 놀고 있는 전함 뱅가드를 보내기로 결정하고는, 왕실 일가가 머물 선실을 개조[14]해서 왕실 일가를 태우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보낸다.[15] 그리고 왕실 일가가 육지에서 각종 일정을 소화하는 동안 뱅가드는 해상훈련을 실시했었고 아직 영국이 살아있다는 메시지를 몸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나서는 두 번째로 의미있는 일을 하게 되는데, 최신 주력함으로서 기함 노릇을 하게 된다. 우선 1951년에 간신히 영국 함대의 기함이 되었으나 1954년에 퇴역한다. 퇴역한 이후로는 군항에서 단 한번도 출항하지 않은 채로 NATO 해군의 총 기함이 된다. 그러나 배는 항구에 매여있는 것만으로도 돈이 나가는 존재였고, 결국 1959년에 매각후 1960년에 해체가 완료되었다. 세계 역사상 최후로 건조된 전함(아마도)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서 박물관함으로 보존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박살난 경제상황에서 2차 대전에서 가장 활약한 무훈함인 HMS 워스파이트나 심지어는 나폴레옹 전쟁 때 노획 전열함인 HMS 임플라커블까지 폭파돼서 가라앉는 상황이었으니 뭐…

한마디로 말해서 전함시대의 막을 쓸쓸하게 닫은 마지막 배우. 물론 최후에 퇴역한 전함은 아이오와급 전함이지만 그쪽은 미 해군&해병대라는 특이케이스라서...

파일:b25lY21zOjg5NjZjY2U0LWE4NGUtNDFhMi1iZjE4LTBmODJhYTYyYzg1OTpkYjA5MjI1NS02NWVhLTQzMDctOTExNy05ZTRhMGM3NGM0MzE=.jpg
여담으로 퇴역후 스크랩이 결정되고, 정박중이던 포츠머스에서 스크랩 장소로 이동하던 중 항로를 벗어나면서, 마치 마지막 가기 전 술이라도 한잔 하려는 듯이 포츠머스 항구의 "still & west"라는 앞에 좌초되었다.[16] 예인선 다섯대가 한시간 이상 달라붙어 빼냈다고 한다. # 사진을 잘 보면 항구에 수많은 구경꾼들의 인파가 모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 등장 매체

Naval Front-Line 영국 해군 트리의 마지막을 라이온급 전함과 함께 장식[17]하며, 레벨55급 전함이다.

네이비필드, 네이비필드2에서 등장한다.
네이비필드에선 꽤나 괜찮은 성능의 기동력 위주의 전함으로 구현되었다. #
파일:external/navyfield.co.kr/Vanguard.gif

문제는 네이비필드2. 고증대로라면 모든 국가의 최고 티어 전함들 중 가장 약하고, 제대로 맞붙을 수조차 없으니 게임 내에서 성능에 버프를 줘야 했는데...

버프를 너무 심하게 받았다. 간단하게 말해서, 완전체. 농담이 아니라 정말로 공격력, 방어력, 체력, 속도, 선회력, 피격면적, 연사력, 정확도에서 공격력 빼고 전부 1위다. 그리고 유일하게 1위가 아닌 공격력도 2위인데다, 15인치면서도 16인치 포보다 더 강하다.
다행히 지금은 여러차례의 패치로 그럭저럭(?) 밸런스가 맞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그 때 그 시절의 황제의 위엄이 나타날 지경이니...


월드 오브 워쉽에서 영국의 8티어 프리미엄쉽으로 공개되었다.

월드 오브 워쉽의 모바일 버전인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에서도 8티어 프리미엄쉽으로 등장한다. 평가는 최악인데, 일단 포문도 적고 펀치력도 별로라서 8티를 지배하고 있는 희대의 사기배 로마 리슐리외에게 두들겨 맞는게 일상이다. 그나마 사거리는 길고 좋은 사격통제장치를 고증해 집탄은 최강이며 프리미엄이라 정규트리 전함들 보다 강하기는 하지만 돈주고 살 가치는 도저히 없는 배.

모바일 게임 워쉽배틀:2차세계대전에서는 비스마르크급 전함 다음 전함으로 등장한다. 성능은 비교적 나쁜 편.

전함소녀에서 5성급 전함으로 등장한다. 장갑과 대공이 훌륭하지만 화력이 아쉬운 1.5선급 장비셔틀. 자세한 것은 뱅가드(전함소녀) 문서를 참조.

어비스 호라이즌에 등장한다.

벽람항로에서 UR 등급 전함으로 등장한다. 뱅가드(벽람항로) 문서를 참조.

11.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 이래 최후 세대의 전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취역함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비스마르크급 전함, 파일:미국 국기.svg 아이오와급 전함, 파일:영국 국기.svg 뱅가드급 전함, 파일:소련 국기.svg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전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리토리오급 전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슐리외급 전함,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토급 전함
설계함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자스급 전함, 파일:미국 국기.svg 몬태나급 전함, 파일:일본 국기.svg A-150급 전함,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H급 전함, 파일:영국 국기.svg 라이온급 전함,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각국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가장 최후로 완공된 전함은 1955년에 완공된 프랑스 리슐리외급 전함 2번함 장 바르함이다. 다만 장 바르는 이미 2차 세계대전 전부터 건조되고 있다가 도중에 중단되어 방치된 것을 나중에 다시 건조를 재개해 완성시킨 것이므로 기공 시기는 뱅가드보다 훨씬 앞선다. [2] 표준배수량이라는 말은 각국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뜻이 다름 [3] 6연장형 10기 + 2연장형 1기 + 단열형 11기 [4] 포곽은 케이스메이트 형식의 부포곽 같은 것을 말함. 주포탑 바벳은 그냥 바벳으로 부름 [5] 이는 일본이 무츠를 살리겠다고 고집을 부린 결과로 영국과 미국은 각각 16인치 주포를 탑재한 전함을 2척씩 건조할 수 있게 되었다. [6] 동시기 동급함이랄 수 있는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급은 14인치 4연장 포탑 3기에서 16인치 3연장 포탑 3기로 변경해 화력을 강화했으나 14인치 대응방어급이라 장갑이 상대적으로 약했고 KGV급은 방어력은 16인치 대응방어급이지만 조약의 제약으로 인해 14인치를 장착했으며, 그나마 4연장 포탑 3기를 장착해 화력을 보충하려 했으나 사격시 안정성 및 1번포탑과의 간섭문제로 2번포탑은 2연장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7] 물론 공방능력만 따진다면 16인치를 장착한 넬슨이 있지만 비스마르크가 30노트에 달하는 속력을 가진 반면 넬슨의 속력은 고작 23노트. 비스마르크가 넬슨과 교전을 회피하고 영국의 수송선단이나 순양함을 잡으러 가버리면 넬슨이 추격할 방법이 없다. 비스마르크 추격전처럼 항공모함과 연계하지 않는 이상은. [8] 뱅가드급의 주포탑은 리벤지급 전함 리나운급 순양전함에 쓰인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들 중 전후까지 살아남은 함선을 해체하면 총 19개의 포탑을 확보할 수 있기에 그 수량에 맞춰 건조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9] 파일:external/navalhistory.flixco.info/GUN%20BR%2040mm%20STAAG%2001.jpg [10] 본래 킹 조지 5세급 전함에 사용하려고 했던 15인치 Mk-II는 개발이 취소되어 버린 탓에 신형 15인치 주포를 나중에라도 장착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조차 없었다.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물건을 가져와 달 수는 없으니. [11] 리슐리외급 전함에 탑재된 바로 그 주포이다. 참고로 리슐리외급의 주포는 15인치급 함포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성능을 가진다는 평이 있을 만큼 대단히 우수한 주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대신 그 반대급부로 수명을 깎아먹긴 했다. [12] 야마토급 전함, 아이오와급 전함, 사우스다코타급 전함,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 [13] 심지어는 습득하여 실전에서 굴려본 기술도 비용 절약을 위해 제거한 것들도 많다. [14] 리나운이 평시에 사용하던 가구와 시설을 옮겼다. [15] 도중에 적도를 지나면서 행해진 적도제에 두 공주(장녀는 엘리자베스 2세다.)도 참여했다. 단 공주들이라 아주 살짝 맛보기 정도 수준이었다고. [16] 이 문서의 이전 버전에는 “뱅가드의 승조원들이 마지막인데 펍에서 술이나 마시고 가자고 포츠머스 인근 해안가에 있는 펍 앞에 멋대로 냅다 정박해서 술을 마시러 갔다.”고 되어 있었지만 사실이 아니다. 이 일은 사고였을 뿐이며, 어디를 찾아봐도 승조원들이 일부러 배를 꼬라 박았다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졌다면 승조원들이 군법회의에 오르는 정도로도 끝나지 않았을지 모른다. [17] 에메랄드급 라인을 타지 않을 경우 뱅가드급을 탈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