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8:48:28

Fnatic/오버워치 2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natic
파일:오버워치 2 프로그램 아이콘.svg
대한민국 오버워치 2 프로게임단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2px"
{{{#!wiki style="color: #000"
파일:Team_Falcons.png 파일:Crazy Raccoon 로고.svg 파일:ZETA DIVISION.svg 파일:ZETA DIVISION_white.svg 파일:Fnatic 로고.svg
Team Falcons Crazy Raccoon ZETA DIVISION Fnatic
파일:Poker Face 2023 notext lightmode.svg 파일:Poker Face 2023 notext darkmode3.svg 파일:Runawaylogo.png 파일:VEC_24_lightmode.png 파일:VEC_24_darkmode.png
Poker Face RunAway VEC
<rowcolor=#000,#ddd> {{{#!folding 【 활동 중단 또는 해체 】 Dizziness resunz.crew OPPA.DANAWA Rhinos Gaming
Titan
Sin Prisa Gaming Dark Wolves MiraGe Gaming BK Stars
Rhinos Gaming
Wings
Genesis wNv.KR Afreeca Freecs
Red
Ehome.Shield Ehome.Spear MVP Infinity Bucheon Nplus
PANTHERA ROX Orcas KONGDOO
UNCIA
LW Blue
KNC Vmax Afreeca Freecs Flash Lux CONBOX
Lunatic-Hai CHG E-Stadium EXL-LOSSOM
Bon's Spirit
Gaming
Requiem Six EXL-CLEA DeToNator
KOREA
GoinWaterS EXL-Esports Frecia Meta Bellum
Seven GC Busan Lucia Team MVP StormQuake
X6-Gaming ARMAMENT Griffin White Whale
Incheon eSports
Meta Athena BATTLICA Top Honor Electric Gaming
Lucky Future Korea UNDEFINED BlossoM Element Mystic
OZ Gaming RunAway INTRO WAVE Gen.G Esports
tiger nation Team BM Talon Esports T1/오버워치
WGS Phoenix WildFlame SLT Team Diamond
AN ELITE NT O2 Blast Dreamers
Team Xero JNGK
}}} ||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태평양
파일:오버워치 2 프로그램 아이콘.svg
기타 국가
}}}}}}}}}}}}}}}
파일:Fnatic 로고.svg
<colbgcolor=#ff5900><colcolor=#fff> 프나틱
Fnatic
창단 2024년 2월 24일
팀명 Yeti(2024.02.24.~2024.06.13.)
Fnatic(2024.06.13.~)
소속 리그 OWCS KOREA
오너
[[영국|]][[틀:국기|]][[틀:국기|]]새뮤얼 매튜스
Sam


[[영국|]][[틀:국기|]][[틀:국기|]]앤 매튜스
Anne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요한
nuGget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판승
Fate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병선
Fleta
약칭 FNC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color=#fff><colbgcolor=#ff5900>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선우(2004)|이선우
KNIFE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웅(프로게이머)|이정웅
Vip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백승훈(프로게이머)|백승훈
Checkmate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성(2005)|김민성
D0NGHAK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화|김준화
Attack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곤(프로게이머)|이재곤
LeeJaeGon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철(2000)|김민철
IZaYaKI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명|김소명
Blis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형우|김형우
irony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파일:Fnatic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Counter-Strike_2_default_darkmode.png Fnatic
파일:포트나이트 아이콘white.png Fnatic
파일:league-of-legends.png Fnatic
파일:r6s logo_13510798887991451.png Fnatic
파일:valorantlogo.png Fnatic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화이트.svg Fnatic }}}}}}}}}

1. 개요

Fnatic
파일:2024아시아예티.webp
#ALWAYSFNATIC

영국의 프로게임단 Fnatic 오버워치 2 팀.

2024년 2월 24일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에 참가하기 위해 결성된 Team Yeti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1] Esports World Cup 2024 오버워치 부문 시드권을 취득한 뒤, 2024년 6월 13일 Fnatic에 인수되었다. #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유럽과 북미를 기반으로 오버워치 팀을 운영해왔던만큼 Fnatic 자체는 해외의 게임단이지만, 선수단 전원 한국인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OWCS 지역락 규정에 따라 한국 지역에서 활동한다.

프나틱이 오버워치 1 시절 운영했던 팀에 대해서는 Fnatic 문서의 오버워치 1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2. 대회 기록

파일:Fnatic 로고.svg
<rowcolor=#fff> 날짜 순위 대회 결과 상대 상금
2024년 4월 7일 4위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 스테이지 1 0:3 FTG $4,000
2024년 4월 27일 4위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 0:3 FTG $5,000

2.1. 2024년

2.1.1.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코리아 스테이지 1

정규시즌에서 4승 4패로 4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고, 시드 결정전에서 3시드를 확보하였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SPG를 꺾었으나, 2라운드에서 팔콘에게 패하였다. 이날 경기에서 유니폼을 입고 나왔는데, 팀에서 제작한 것이 아닌 팬이 제작해준 유니폼이라고 한다. #

이후 이어진 3위 결정전에서 FTG에게 패하면서 2024 OWCS 아시아 본선 직행에는 실패, 와일드카드 매치를 치르게 되었다.

2.1.2. 2024 오버워치 챔피언스 시리즈 아시아 스테이지 1

와일드카드 매치에서 일본의 식스블로우, 퍼시픽의 321 다이빙을 꺾으며 본선 막차를 타는데 성공했다. 본선에서 퍼시픽과 재팬의 1등팀인 바렐과 허니팟을 3-0으로 꺾으며 승승장구했으나, 코리아 팀들과의 경기에서 모두 패하며 최종 4위로 스테이지 1을 마무리했다.

2.1.3. Esports World Cup 2024

아시아 스테이지 1 최종 4위로 시드권을 취득하여 오버워치 2 부문에 출전한다. 대회를 앞두고 Fnatic에 인수되며 Attack, Checkmate, IZaYaKI, LeeJaeGon을 영입하였다. 기존 힐러진인 Bliss와 Irony는 비활성화 명단에 들어갔다.

3. 구성원

3.1. 로스터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D0NGHAK 김민성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2024년 2월 13일
Bliss 김소명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irony 김형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Xero_logo_lightmode.png 파일:Xero_logo_darkmode.png Xero
KNIFE 이선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Xero_logo_lightmode.png 파일:Xero_logo_darkmode.png Xero
Viper 이정웅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Attack 김준화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파일:Xero_logo_lightmode.png 파일:Xero_logo_darkmode.png Xero 2024년 6월 13일
Checkmate 백승훈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파일:ROC Esports 2024.png ROC Esports
IZaYaKI 김민철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LeeJaeGon 이재곤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파일:Runawaylogo.png RunAway

3.2. 스태프 연혁

로스터 연혁
<rowcolor=#fff> ID 이름 역할 이전 소속 입단 탈퇴 이적
Fate 구판승 감독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2024년 2월 24일
Fleta 김병선 코치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nuGget 김요한 단장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단장 2024년 6월 13일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Yeti Fnatic
파일:yeti_yeti.png 파일:Yeti_logo.png 파일:Fnatic 로고.svg
2024.02.06.~
2024.02.23
2024.02.24.~
2024.06.13.
2024.06.13.~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