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21:44:33

DiSRX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 메카닉
DiSRX
파일:디스알엑스.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0080><colcolor=#ffffff> 형식번호 -
분류 인형 기동병기
소속 지구연방군・SRX팀
전고 55.4m
중량 -
MMI T-LINK 시스템
동력원 트로니움 엔진
디스 레브
장갑 재질 졸 오리할코니움
즈필드 크리스탈
파일럿 류세이 다테
라이디스 F. 브란슈타인
아야 코바야시
※ 카탈로그 스펙은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 기준
}}}}}}}}} ||
1. 개요2. 설정3. 무장4. 기술5. 관련 기체6. 기타

1. 개요

<nopad>
Emmissary From the Void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등장 기체. 《 슈퍼로봇대전 OG 디바인 워즈》에서 데뷔하였다.

2. 설정

파일:디쓰알엑스.png
DiSRX
SRX-00 SRX 디스 아스트라나간이 융합하여 탄생한 기체. ' SRX팀'이 유제스 곳초가 조종하는 세프타긴에 의해 궁지에 몰리자, 이들을 구원하고자 하는 잉그램 프리스켄의 뜻을 이루어주기 위해 '인과율의 파수꾼'인 쿼브레 고든이 도움을 준 것으로, 이 형태로 전환할 수 있었다. 이때 융합은 SRX의 메인 파일럿인 류세이 다테가 '테트라크튀스 그라마톤(Tetractys grammaton)'이라는 영창을 외움으로써 실시되며, 결손된 SRX의 사지가 새로운 형태로 돋아나고, 대파된 기체의 상태도 완전 수복된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융합원인 디스 아스트라나간보다는 평행세계에서 잉그램의 탑승기였던 아스트라나간에 준한 모습이지만, 머리와 사지, 날개는 모두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되어 있으며, 흉부나 허리 등, 일부 파트에는 여전히 SRX의 의장이 남아있다. 성능적으로도 월등히 향상되어 통상의 SRX에 비해 약 170% 이상 상승한 출력을 자랑하며, 일격만으로 세프타긴의 성체를 날려버릴 정도의 위력을 발휘했다. 다만 어디까지나 빙의에 가까운 무리한 융합체이기 때문에, 본 모습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은 극히 단시간이며, 최종결전에서는 '아인 서프 아우르'를 사용한 직후에 곧바로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또한 융합시 실시되었던 기체의 수복도 원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수복 이전의 대파 상태로 돌아갔다.

3. 무장

4. 기술

5. 관련 기체

6. 기타



[1] 즉, '성스러운 네 글자'라는 의미의 ' YHWH'를 가리키는 '테트라 그라마톤'을 약간 변형한 것이다. [2] 'OG 시리즈'는 《제2차 슈퍼로봇대전 OG》부터 애니메이션판 설정을 상당히 많이 역수입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