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1:24:20

44번 국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국도에 대한 내용은 일본 44번 국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orea_National_Route_logo.png [[국도|{{{#000 대한민국의 국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종축 <colbgcolor=#fff,#1f2023> 1 · 3 · 5 · 7 · 13 · 15 · 17 · 19 · 21 · 23 · 25 · 27 · 29 · 31 · 33 · 35 · 37 · 39 · 43 · 45 · 47 · 59 · 67 · 75 · 77 · 79 · 87
횡축 2 · 4 · 6 · 12 · 14 · 18 · 20 · 22 · 24 · 26 · 28 · 30 · 32 · 34 · 36 · 38 · 40 · 42 · 44 · 46 · 48 · 56 · 58 · 82 · 88
고속도로 | 국도 | 국도(북한)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시도 | 군도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44bd><tablewidth=300px>
44
국도 44호선
National Route 44

}}}
파일:국도 44호선.png
시점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교차로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교차로
총 구간 137.2km
경유지 경기도 양평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인제군, 양양군

1. 개요2. 개통 연혁3. 도로 현황
3.1. 양평~홍천 구간3.2. 홍천~인제 구간3.3. 인제~양양 구간
4. 차로 현황5. 고속도로 접속6. 휴게소7. 그 외8. 도로명9. 경유지 및 노선

[clearfix]

1. 개요

파일:attachment/NR44_1.jpg
44번 국도의 모습 4일런트 힐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중 하나로,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서 시작하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인제군을 지나가고, 설악산 한계령을 넘어 양양군 양양읍까지 이어지는 국도이다. 총길이는 137.2km. 도로명주소는 전 구간이 설악로로 통일되어 있었지만, 용문면까지 연장이 되어 6번 국도와 중첩이 되면서 경강로 일부분도 포함되어 있다.

46번 국도와 함께 강원특별자치도 북부의 간선국도 역할을 하는 도로로,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38번 국도, 중부에 6번 국도가 있다면 북부에는 바로 이 44번 국도가 있다. 한계령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왕복 4차로로, 인접한 동서간 국도인 46번 국도보다 여러모로 이용하기에 편리한 도로이다. 44번 국도가 먼저 포장이 된데다가 46번 국도 건설로 인해 도로의 선형이 나빠졌기 때문에[1] 수도권에서 속초시, 양양군, 설악산 방향으로 가는 차량으로 항상 북적였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관통하는 일반 국도 답지 않게 고속도로급 선형과 포장 상태에 신호등도 적은 편이기 때문에 온갖 레이서들이 다 모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2] 38번 국도 음성- 정선구간같이 속도가 엄청나다. 왕복 4차로로 확장되기 전에는 주말-휴일이나 휴가철, 명절 등에 말 그대로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였지만 2006년 12월경 44번 국도 홍천군부터 인제군 구간까지 확장 및 개량 완료되었고, 46번 국도와 갈라지는 구간인 한계삼거리 ~ 용대교차로까지도 2010년경 확장 및 개량이 완료되면서 심한 지ㆍ정체는 없어졌다.

비슷한 시기에 대체 도로인 서울양양고속도로 강일IC ~ 동홍천IC 구간까지 개통되면서 양평 ~ 동홍천 구간의 교통량은 더욱 줄어서 이 구간에 있던 휴게소들이 개점휴업 또는 폐업하는 경우가 속출하게 되었다.

2017년 6월 30일 서울양양고속도로 전구간이 개통된 이후로는 인제군 등 특정 구간이나 수도권 차량의 주말 나들이 복귀 시간대에 잠깐 막히는 것 외에는 차가 정말 없어졌다. 작정하고 미친 듯이 밟아도 차를 구경하기 힘들고, 발견한 차도 미친 듯이 밟고 있을 정도다.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양양 구간의 계속되는 터널 구간이 지루하다면 톨게이트 비용 덜 겸 해서 이 구간 국도로 통행해도 괜찮다.

현재의 44번 국도 홍천-양양구간(G1) 현재의 44번 국도 홍천-양양구간(YTN)

홍천군 두촌면 구간에 있는 이정표는 속초 인제 신남 짤방으로 유명하다. 2020년 초 도로의 종착점인 양양이 속초 대신 표기되었다.

2. 개통 연혁

3. 도로 현황

3.1. 양평~홍천 구간

상평 교차로에서 37번 국도 98번 지방도에서 분기되어 시작한다. 기점 부터 양평교차로 까지는 6번 국도 37번 국도와 중첩되며 용두 교차로 까지 6번 국도와 중첩된다. 중간에 마룡 교차로에서 341번 지방도와 만나며 신흥육교를 건너면 용문면에 진입한다. 그리고 금곡교차로와 봉상삼거리를 지나면 단월면에 진입한다. 봉상삼거리에서 70번 지방도와 만나 중첩된다. 삼가 교차로에서는 345번 지방도와도 만나 중첩된다. 보룡 교차로에서 70번 지방도 345번 지방도와 헤어진다. 단월면을 지나 청운면에 진입하면 용두 교차로에서도 6번 국도와 헤어지면서 드디어 단독 구간이 시작된다. 단독 구간에는 휴게소가 많다. 단, 이 휴게소들은 대부분 폐업한 휴게소다. 특히 클린턴휴게소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란다. 암튼 신당고개를 넘으면서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을 벗어나고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남면에 진입한다. 강원생활과학고등학교를 지나며, 양덕원 교차로에서 494번 지방도와 만난다. 월천리삼거리를 지나고 며느리고개를 터널로 통과하면 홍천읍에 진입한다. 그리고 홍천IC를 통해 중앙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둔지교 남단에서 5번 국도랑 만난다.

3.2. 홍천~인제 구간

연봉2교에서 무궁화공원 주차장을 통해 하행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갈마곡1교 및 2교 에서는 444번 지방도 죽음의 지방도와 만난다. 그리고 와동 교차로를 지나면 홍천읍을 벗어나 화촌면에 진입한다. 구성포 교차로에서는 56번 국도 56번 지방도와 만나고, 동홍천IC를 통해 서울양양고속도로로도 진입이 가능하다. 말고개 교차로를[3] 지나면 철정터널을 통과하며 두촌면에 진입한다. 철정 교차로에서 451번 지방도와 만난다. 그리고 쭉 가다가 원동 교차로에서 408번 지방도랑 만나고, 인제터널을 통과하면 다시 남면에 진입과 함께 어론초등학교를 지난다. 그리고 다물 교차로에서 446번 지방도와 만난다. 중간에 신풍 교차로를 지나면 신남 교차로에서 46번 국도와도 만나고, 신남대교를 지나 유목 교차로에서 또 다시 46번 국도와 만나 중첩된다. 부평교와 매고개 등을 지나 홍천군을 벗어난다. 남전교를 지나 인제대교와 인제터널을 통과하면 홍천군 구간은 끝나고 인제군에 진입하며 곧바로 인제읍이다(...) 합강교차로에서 31번 국도와 만나 중첩된다. 그리고 북면교차로에서 31번 국도랑 헤어지고 453번 지방도와 만난다. 그리고 서호교를 통과하면 오히려 원통으로 유명한 북면을 지나게 된다. 중간에 원통교차로라고 떡 하니 있으니 말 다했다(...)

3.3. 인제~양양 구간

길이 험하다. 초보 운전자들은 멀더라도 원통에서 46번 국도- 56번 지방도 미시령터널로 가는 것을 추천한다.돈도 없다면 돌아가자[4] 한계령은 길이 굉장히 험한데, 옥녀1교와 옥녀2교를 통과하면 한계령 구간이 시작되며, 중간에 장수대휴게소가 있다. 진정한 험함은 장수대휴게소에서 시작된다. 꼬불꼬불 한계령을 넘는다. 인제 구간은 길이 별로 험하지 않으나, 양양 구간은 U자 급커브도 몇 번있고 헤어핀도 몇 번 정도 보인다. 중간에 오색버스터미널을 지나며 오색을 지나면 이제 고비는 끝난다. 가라피리에선 더 험한 고개가 나올 것으로 연상되지만 실상은 남설악터널로 그냥 통과해 버린다.[5] 이렇게 한계령-오색리 구간이 설악산 산줄기를 가로지르는 도로이기 때문에, 길이 험한만큼 주변 풍경은 굉장히 웅장하고 아름다워서 드라이빙 코스로 자주 추천된다.

남설악터널을 지나면 이제 그냥 일반 구간이다. 논화 교차로에서 다시 56번 국도 56번 지방도랑 만나고 중첩된다. 양양IC를 통해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그 이후 청곡 교차로에서 7번 국도랑 만나고 56번 지방도랑 계속 중첩된 상태로 가면서 44번 국도는 끝난다.

4. 차로 현황

양평부터 인제군의 한계삼거리까지는 왕복 4차로 도로이기 때문에[6] 운전에 어려움이 없다.[7] 그러나 한계삼거리부터 양양까지는 왕복 2차로(한계령) 구간이고 굴곡 및 경사가 많기 때문에[8], 운전에 자신이 없다면 한계삼거리에서 46번 국도로 나간 후 56번 지방도를 타고 미시령 터널을 통과해 속초시로 가는 길을 추천한다. 다만 한계령 구간은 설악산 국립공원을 통과하므로, 경관이 매우 좋다. 설악산을 관광하고자 할 때 참고하면 좋다.

5. 고속도로 접속

홍천군에서 중앙고속도로 ( 홍천IC)와 서울양양고속도로 ( 동홍천IC), 양양군에서 동해고속도로 ( 양양IC)와 만난다.

6. 휴게소

수도권 방면에서 영동지방으로 가기 위해 거치는 주요 도로 중 하나다. 도로를 따라 수많은 휴게소가 존재하지만 영업시간과 공휴일(명절 포함)에 운영여부는 알기가 어렵다. 이 도로를 지나는 시외버스 중 다수는 화양강랜드휴게소(한계삼거리 방향)나 철정휴게소( 서울양양고속도로 방향)에 정차한 뒤 휴식을 취하고 다시 출발하는 편이다. 물론 위에 언급된 휴게소가 아닌 다른 휴게소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한 이후로 차량 통행이 감소하여 폐업한 휴게소가 많다고 한다. 특히 뉴스에 보도된 휴게소 중 하나인 클린턴휴게소는 분위기가 상당히 으스스하고, 휴게소임을 알리는 간판마저 거의 다 사라진데다가[9], 내부도 옛날 휴게소인지 만들다가 만 휴게소인지 분간이 안갈 정도이다. 심지어 천장이 무너지고 철골이 드러나 있으며, 벽에 새빨간 락카로 쓴 '나가라고 했지'라는 낙서와 공포의 눈이 찢어친 채 웃는 그림도 있으며, 심지어는 변사체(!)까지 발견되어 인근 주민들은 근처에 갈 엄두도 못낸다고 한다. 안에는 유모차나 불에 탄 아기 인형, 컵라면 용기가 버려진 것을 보아 누군가 이곳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유모차와 불에 탄 아기 인형은 치워졌으며, 낙서는 지워졌고, 안은 꽤나 깔끔하게 세팅해놨다. 알고보니 콜럼버스 스튜디오에서 촬영장으로 대관하기 위해 재정비를 했다고 하는데, 정작 나서는 사람이 없다(...) # 단, 악명높은 공포의 눈은 지워지지 않고 오히려 검은 락카로 덧칠을 해 더욱 공포스럽게 바꾸었다. 2022년 7월 '몬스터 에너지 제로 슈거' 광고를 여기서 찍었다. 밤에 공포물 촬영하러 가기 좋다 #

7. 그 외

8. 도로명

설악로, 경강로[12]

9. 경유지 및 노선

※ : '∥'표시는 왕복 4차로, '|'표시는 왕복 2차로를 뜻한다.
경기도 양평군 청운면 용두리 [[6번 국도|
6
]]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중앙고속도로 홍천IC, ← [[5번 국도|
5
]]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구성포리 ← [[56번 국도|
56
]]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서울양양고속도로 동홍천IC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남면 신남리 ← [[46번 국도|
46
]]
[[46번 국도|
46
]]와 동일 구간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 [[31번 국도|
31
]] →
[[46번 국도|
46
]]와 동일 구간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북면 한계삼거리 ← [[46번 국도|
46
]]
한계령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56번 국도|
56
]] →, ← [[7번 국도|
7
]] →
44번 국도 직행 시외버스 정류소 목록
지역 정류장
경기도 양평군 양평시외버스터미널, 용문터미널, 광탄리, 단월, 용두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양덕원리, 홍천종합버스터미널
인제군 신남, 인제터미널, 원통
양양군 한계령, 오색, 양양고속시외버스터미널


[1] 지금은 터널을 뚫는 등 어느 정도 개선되긴 했으나 신남 방면으로 내려오는 길이 워낙 극악이다. 속초시 쪽으로 간다면 양구군에서 31번 국도 광치령로로 갈아타자. [2] 2차로에서 얌전하게 80km로 주행하면 1차로에 매우 빠르게 사라지는 차들이 한두대가 아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터줏대감이신 모 시외버스도 마찬가지다. 흐름에 맞추면 140km도 밟는다. [3] 자전거 드라이버 사이에서는 속초로 갈 때 유명한 드라이브 구간이다. [4] 미시령터널 구간은 요금을 받는다. [5] 장마, 태풍시즌만 되면 산사태가 수시로 발생했었는데 2006년에 산사태가 크게 일어나서 도로자체가 유실되었었다. 그 이후로 가설한 곳이 남설악터널이다. 이에 국도도 기존 고갯길에서 터널로 이설 된 것. [6] 44번 국도 구간이 아닌 속초 방향으로는 계속해서 4차로 구간이다. [7] 그만큼 관광철에 교통정체가 심하다. [8] 그렇다 하더라도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인근에 건설되므로 터널로 개량할 일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 [9] 심지어 폐업한 다른 휴게소도 최소 휴게소임을 알리는 스티커가 있는데, 클린턴휴게소는 스티커조차 없어 이것이 옛 휴게소였는지, 아니면 만들다가 만 건물인지 분간이 안 갈 정도다. [10] 이순원의 단편소설, 은비령에서 이름을 따온 그 고개 맞다. [11] 예전에 상봉 ~ 속초간 완행이 44번 국도를 1번에 전 구간 지났으나 2018년 5월 1일 부로 폐지되었다. [12] 모든 구간 6번 국도와 중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