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자위대 해상막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해상경비대 총감 야마자키 고고로 |
경비대 제2막료장 야마자키 고고로 |
|||
초대 야마자키 고고로 |
제2대 나가사와 히로시 |
제3대 이하라 미쓰구 |
제4대 나카야마 사다요시 |
제5대 스기에 이치조 |
|
제6대 니시무라 도모하루 |
제7대 이타야 류이치 |
제8대 우치다 가즈토미 |
제9대 이시다 스테오 |
제10대 사메지마 히로이치 |
|
제11대 나카무라 데이지 |
제12대 오가 료헤이 |
제13대 야다 쓰기오 |
제14대 마에다 마사루 |
제15대 요시다 마나부 |
|
제16대 나가타 히로시 |
제17대 히가시야마 슈이치로 |
제18대 사쿠마 마코토 |
제19대 오카베 후미오 |
제20대 하야시자키 지아키 |
|
제21대 후쿠다 다케오 |
제22대 나쓰카와 가즈야 |
제23대 야마모토 야스마사 |
제24대 후지타 고세이 |
제25대 이시카와 도루 |
|
제26대 후루쇼 고이치 |
제27대 사이토 다카시 |
제28대 요시카와 에이지 |
제29대 아카호시 게이지 |
제30대 스기모토 마사히코 |
|
제31대 가와노 가쓰토시 |
제32대 다케이 도모히사 |
제33대 무라카와 유타카 |
제34대 야마무라 히로시 |
제35대 사카이 료 |
|
제36대 사이토 아키라 |
}}}}}}}}} |
일본국 제26대 해상막료장 [ruby(古庄, ruby=ふるしょう)][ruby(幸一, ruby=こういち)] 후루쇼 고이치 | Goichi Furushou |
|
|
|
<colbgcolor=#1a284f><colcolor=#FFF> 출생 | 1946년 5월 13일 ([age(1946-05-13)]세) |
오이타현 | |
재임 | 제26대 해상막료장 |
2003년 1월 28일 ~ 2005년 1월 11일 | |
군사 경력 | |
임관 | 방대 13(해사 23) |
복무 | 해상자위대 |
1969년 ~ 2005년 | |
최종 계급 | 해상막료장 (해상자위대)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해상자위관. 제26대 해상막료장( 해군참모총장)을 지냈다.2. 생애
1946년 5월 13일 오이타에서 태어났다. 해막장 가운데 첫 전후 세대 출신이다. 1965년에 방위대학교 13기( 해군사관학교 23기)로 입학했고 1969년 졸업하여 해자대에 입대했다. 1등해위 시절에 사세보지방대 총감의 부관을 지냈다. 제14소해대 사령, 오미나토지방대 총감부 제3막료실장 등을 거쳐 1989년에 1등해좌로 진급했다. 맡은 자리들을 보면 직별은 항해로 추정.해막 감리부 총무과 광보실장[1], 제39호위대 사령, 해막 인사과장, 제3호위대군 사령 등을 거쳐 1997년에 해장보로 승진했다. 해막 감찰관[2] 등을 거쳐 2001년에 해장으로 승진했다. 해상막료부장, 해상자위대 5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 위원장[3] 등을 거쳐 2003년에 이시카와 도루에 이어 해막장에 오른다. 2005년 퇴임하고 사이토 다카시가 이임한다. 퇴임 후에 대우회 상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3. 여담
정치적으로 극우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문민통제에 부정적이다. 방위참사관[4] 제도 폐지도 요구했고 당시 방위청장관인 이시바 시게루 역시 긍정적으로 검토했으나 내부 부국의 반대로 실패했다. 2007년에 미 하원의 위안부 관련 결의안을 철회하라는 요구서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다만 현역 시절엔 이런 발언을 자제해 다모가미 도시오처럼 중간에 잘리지는 않았다.
2012년에 아베 신조가 자위대의 헌법 표기를 처음엔 국방군으로 바꾸려다가, 자위대를 명기하는 식으로 전환하자 이에 대해 불만을 드러냈다.[5] 자위대가 의도적으로 군사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데도 불만이 컸다. "작전"이라고 할 것을 왜 "운용"이라고 하고 앉았냐고. 그냥 60년 넘게 쓴 표현이면 운용을 작전이란 개념과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 #
[1]
공보실에 상당.
[2]
감찰실장에 상당.
[3]
해자대는 창설 연도를
해상경비대가
해상보안청에서 분리된 1952년으로 잡는다. 기지 등의 창설 연도는
일본군 해군까지 올라간다.
[4]
내부 부국(방위성 관료들) 출신의 국장급 공무원을 방위대신의 보좌로 쓰는 제도인데 문제는 이들이 정치인 즉 문민 출신이 아닌 관료 출신이라 관민통제란 얘기를 들었다. 거기에다 막료장 등 고위 장교 출신들은 보임될 수가 없어 방위성 직원들의 밥그릇이란 얘기를 들었다. 2009년에 폐지하여 방위대신보좌관으로 바뀌었다.
[5]
이는 자위대를 정식 군대로 바꾸는 것보다 리스크가 덜한 자위대 명기 방식으로 선회한 것이라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