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93949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0%><rowbgcolor=#eee>
행정동 ||<-4>
법정동 ||
}}}}}}}}}}}} ||<colbgcolor=#939499> 건입동 | 건입동 | |||||||
노형동 | 노형동 | 해안동 | ||||||
도두동 | 도두일동 | 도두이동 | ||||||
봉개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봉개동 | 용강동 | 회천동 | }}} | |||
삼도1동 | 삼도일동 | |||||||
삼도2동 | 삼도이동 | |||||||
삼양동 | 도련일동 | 도련이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삼양일동 | 삼양이동 | 삼양삼동 | }}} | ||||
아라동 | 아라일동 | 아라이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영평동 | 오등동 | 월평동 | }}} | ||||
연동 | 연동 | |||||||
오라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오라일동 | 오라이동 | 오라삼동 | }}} | |||
내도동 | 도평동 | |||||||
용담일동 | ||||||||
용담이동 | 용담삼동 | |||||||
이도일동 | ||||||||
도남동 |
시청
이도이동
|
|||||||
이호일동 | 이호이동 | |||||||
일도일동 | ||||||||
일도이동 | ||||||||
화북일동 | 화북이동 |
제주시의
행정동 화북동 禾北洞 | Hwabuk-dong |
|||
광역자치단체 | <colbgcolor=white,black> 제주특별자치도 | ||
행정시 | 제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11060000 | ||
하위 행정구역 | 2법정동 35통 204반 | ||
관할 법정동 | 화북일동, 화북이동 | ||
면적 | 8.29㎢ | ||
인구 | 23,142명[1] | ||
인구밀도 | 2,791.55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제주시 을 | |
|
김한규 (재선) | ||
제주특별자치도의원 | 화북동 선거구 | |||
|
강성의 (재선) | }}}}}}}}} | |
주민센터 | 진남로6길 17[2] | ||
화북동 주민센터 |
[clearfix]
1. 개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있는 동으로 화북일동, 화북이동을 관할하는 행정구역이다. 인구는 23,141명.[3] 삼양동과 연결되어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제주에서 보기 드문 공단인 화북공업단지가 작게 조성되어 있다.
[clearfix]
2. 관할 법정동
2.1. 화북일동
제주시의
법정동 화북일동 禾北一洞 | Hwabuk-ildong |
|
광역자치단체 | <colbgcolor=white,black> 제주특별자치도 |
행정시 | 제주시 |
행정표준코드 | 5011011100 |
면적 | 3㎢ |
제주시 동북부 지역의 중심 마을로서 동측으로는 삼양동, 서측으로는 건입동ㆍ일도2동과 경계를 이루며, 법정동 화북1ㆍ2동과 6개의 자연마을, 7개 대단위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진 곳이다.
별도봉이 서쪽에 자리잡아 북쪽으로 기암 괴석을 이루며 바다로 깎아 지른듯한 낭떠러지 절벽이 있고 별도봉 서쪽으로는 별도봉과 사라봉이 나란히 서 있어 마치 부부봉 형상을 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원당봉을 끼고 있다.
별도봉 남쪽 기슭은 화북천이 흘러 내리고 별도봉 동 북측으로 별도천을 건너 화북포구를 중심으로 자연마을을 형성한 전형적인 해변 마을이다.
마을 내에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유적지가 많다. 해신사, 삼사석, 화북진성, 화북동 비석거리 등 화북포구 해안을 끼고 맑은 공기를 마시면서 유적지도 둘러보고 별도봉 산책로를 따라 운동겸 산책 하기에도 아주 좋은 곳이다.
[clearfix]
2.2. 화북이동
제주시의
법정동 화북이동 禾北二洞 | Hwabuk-idong |
|
광역자치단체 | <colbgcolor=white,black> 제주특별자치도 |
행정시 | 제주시 |
행정표준코드 | 5011011200 |
면적 | 5.29㎢ |
거로와 황사평 2개 자연 마을이 법정동(화북2동)으로 형성되었으나 4. 3사건때 마을이 전소되는 불행을 맞아 화북1동과 제주시로 흩어졌다가 4.3 사건이 완전히 끝난후 1954년부터 대부분 복귀하여 현재의 마을 재건, 오늘의 자연 마을을 이루고 있다.
별도천을 끼고 서쪽으로 일주도로 남쪽에서 부터 능동산 기슭까지 형성된 마을이 거로이고 능동산 남쪽 절동산 동쪽에 형성된 마을이 부록 마을이다. 거로와 영평동 사이의 중간지점에 별도천 상류를 끼고 있는 넓은 황토의 벌판에 형성된 마을이 황사평 마을이며 농업 중심의 마을들이다.
한라산에서 해변으로 내려오면서 차츰 지형이 울퉁불퉁하여 그 정도가 심한 편으로 높은 동산이 많아 넓은 평야가 없고 농토가 매우 협소하고 암반이 많은 지역이며, 인근 별도천은 거로마을에 상수도가 공급되기 전까지는 옛부터 거의 모든 생활용수를 공급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clearfix]
3. 지리
서쪽에는 별도봉과 사라봉이 있으며 동을 동서로 관통하는 1132번 지방도 남쪽에는 화북공단과 거로마을이 있다. 동의 중심지는 화북남문이 있는 곳의 마을이다. 참고로 해안가에 있는 마을이라 북쪽에 바다가 있다. 그래서 별도포구가 있는 것이다. 동쪽에는 화북주공아파트[4]와 삼화지구가 들어서 있고 삼양동과 삼수천을 경계로 하고 있다.제주도내 최대 공업지역인 화북공단이 여기에 있는데 제주도가 2차 산업이 그닥 발달하지 못한 곳이라 규모는 그렇게 크지 않다. 공장 몇개와 자동차 공업사가 전부다.
제주대학교 사라캠퍼스[5]가 위치하고 있으며 삼화지구 개발로 아파트 단지들도 많이 들어서 있으며 2020~2025년 중에 화북공단지역이 주거지역 비슷하게 용도가 바뀔 예정이지만, 그에 대한 반발이 꽤 있다. 거기다 삼화지구 바로 옆에 레미콘 공장이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도 주민들이 반대하는 상황이다.[6]
화북1동 화북초등학교 뒤편이자 별도봉 아래쪽에 제주 4.3사건 당시 마을 자체가 사라져버리고 말았다는 일명 '잃어버린 마을' 곤을동 터가 있으며 화북2동에는 황사평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신축민란 당시 처형당한[7] 가톨릭 신자들의 묘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신축민란 참고.
4. 주거
- 동아아파트
- 화북아파트
- 문화아파트
5. 교육기관
- 제주대학교 사라캠퍼스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초등학교
- 화북초등학교(제주)
- 동화초등학교(제주)
- 제주동중학교
- 오현고등학교& 오현중학교(통칭 오현중고교)
- 삼화초등학교(제주)
6. 출신 인물
7. 관련 문서
[1]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2]
화북1동 1976-7
[3]
2024년 8월 주민등록인구
[4]
아파트 길 건너편에
삼사석지가 있다.
[5]
舊 제주교육대학교, 現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6]
전자의 경우는
회천동으로 공업단지를 옮겨갈 예정이라는 현수막이 달렸다.
[7]
육지 상황과는 다르게 포교를 목적으로 순교한 것이 아니라 당시 가톨릭의 위세를 앞세워 제주도민들에게 횡포를 부린 신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