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2:28:49

홈 앤드 어웨이

홈 앤 어웨이에서 넘어옴
1. 개요2. 장점3. 단점4. 채택 종목5. 원정 다득점 원칙6. 기타

[clearfix]

1. 개요

Home and Away
Two-legged tie[1]

스포츠 경기의 한 방식. 한 측의 연고지에서 상대를 맞아 경기하고 반대로 상대 연고지에 가서 경기하는 방식이다. 정착해 있는 연고지를 홈 그라운드[2], 줄여서 홈이라고 부르며[3] 한국에서는 비유적으로 안방이라는 표현도 자주 사용한다. 반대로 상대 연고지에서 경기하는 것은 어웨이(Away), 로드(Road), 또는 원정 경기(방문 경기), 줄여서 원정(Visitor)이라고 한다.

2. 장점

3. 단점

4. 채택 종목

축구, 야구, 농구, 배구 등등 거의 모든 팀 단위 구기 종목 스포츠는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도 K리그, WK리그, KBO 리그, KBL, WKBL, V-리그에서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FIFA 월드컵 지역예선도 역시 이렇게 치른다. 다만 FIFA 월드컵은 빠르게 수 많은 시합을 치러야 하는 특성상 중립 구장 경기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NFL에서는 같은 콘퍼런스, 같은 디비전 팀끼리만 한다.

그러나 개인 종목은 대회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역연고제나 홈 앤드 어웨이 방식보다는, 한 나라 안에서 대회를 진행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게 보통이다. 국내 프로 스포츠 중에서는 한국프로골프투어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국내 단체 종목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는 연고지가 없는데, 이렇게 연고지가 없는 팀이 참가할 경우 중립구장 여러군데에서 대결하는 전국 순회 방식을 대신 사용한다.

테니스 대회인 데이비스 컵(남자단체전만 한다)에서는 변형된 홈 앤드 어웨이를 실시한다. 리그전(약체들의 초반 경기에서 주로)에서는 경기를 치르는 나라 중 어느 한 곳을 개최국으로 정하며 토너먼트는 두 팀 중 어느 한 팀의 홈에서 한다. 두 팀의 역대 전적이 없는 경우는 추첨으로 홈 팀을 정하며, 있는 경우는 직전 경기의 원정 팀이 홈 팀이 된다.[6]

연고지 밀착성이 강조되는 방식이므로, 이런 방식을 사용하는 리그 팀에는 대부분 지역명이 붙는 경우가 많다. 허나 홈 앤드 어웨이를 하면서도 한국, 대만, 일본[7] 프로야구,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같이 없는 경우도 적지 않고, 반대로 투어 리그인 핸드볼에도 지역 내거는 팀들도 있는 것처럼 예외가 많아 홈 앤드 어웨이 제도 자체와 지역명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고 봐도 된다.

축구의 경우 유럽 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 거의 대부분의 경우 원정팀 유니폼을 입고 일반석( 원정석이 아닌 모든 구역)에 들어오면 즉시 강제 퇴장시키는 경우가 많다.[8] 말 그대로 원정팬 전용 구역에서만 들어가 응원하라는 것. 섞여있으면 충돌 가능성이 크고 사태가 겉잡을 수 없이 커질 가능성이 농후하기에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원정석 구역에서 KBO 리그에서 나왔던 삼태 유니폼이나 남자친구는 창원 NC, 여자친구는 부산 롯데 등의 사례는 축구 경기장에선 웬만해서는 하지 않아야 강퇴 안 당한다. 애초에 강퇴 당하기 전에 99% 시비가 붙을 수 있으니 그냥 처음부터 원정팀 응원구역으로 가는게 좋다.

5. 원정 다득점 원칙

축구에서만 사용하는 규칙. AFC 챔피언스리그, FIFA 월드컵 예선 등의 경기는 승패를 가릴때 홈 앤드 어웨이로 한번씩 치른 다음 합산 스코어를 계산하는데, 합산 결과 동점일 경우 원정 경기에서 득점을 얼마나 넣었는가를 통해 결정한다. 자세한 사항은 원정 다득점 원칙 항목 참조.

6. 기타



[1] 축구에서 홈 앤 어웨이를 한 후 해당 두 경기의 점수를 합산해 승부를 결정하는 경기에서 사용하는 용어. [2] 야구의 경우 홈 필드라고도 한다. 농구나 배구처럼 필드나 그라운드가 없는 실내 경기는 홈 코트라고 한다. [3] 북한식 문화어로는 홈이라는 용어 대신 '본거지'라고 한다. [4] 단, 구단이 구장을 직접 소유하거나 구장 장기 임대 및 운영 계약을 맺었다면 상당히 절감된다. 서울 삼형제: 엉엉엉... [5] 당장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돈바스 전쟁이후 연고지를 잃어 버리고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경기를 하고,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들도 장장 9년간 이어진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선수 안전을 위하여 제3국에서 경기하며.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같은 경우 20년 동안의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끝에 나라가 탈레반에게 먹히면서 연고지고 뭐고 없이 그냥 유랑 국대팀이 되어버렸다(...) [6] 이 방식 때문에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포츠 교류에서 이 대회 이야기가 꼭 나온다. 양국은 이 대회에서 1984년 3월에 처음으로 맞붙었다(동부지역 8강전). 이때 홈팀으로 결정된 것이 중화인민공화국이었는데 한국 선수단의 입국을 원치 않아서 중립경기를 제안했으나, 국제 테니스 연맹이 허용하지 않아서 홈 경기를 치르되, 베이징과 아주 먼 쿤밍으로 경기장을 잡았다. 한국 운동선수가 중화인민공화국에 입국한 최초의 사례이다. 참고로 당시 국기게양과 국가연주는 생략하기로 쌍방이 합의했다. [7] 80년대까지는 얼추 맞는 말인데 점차 연고지 지역명을 팀명에 붙이는 팀이 많아지면서 2000년대 들어서는 지역명 포함한 구단이 3배나 더 많아졌다. [8] 물론 홈팀의 원정 유니폼을 입고 들어오는 것이나 경기하지 않는 제3팀 유니폼은 허용된다. 동해안 더비 때 포항 응원석에 파란 유니폼 들어와서 퇴장시키려 했는데, 알고 봤더니 포항 시안 블루더라... [9]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흰색 바탕+검은색 줄무늬.),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노란색),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흰색+하늘색), KBO 리그(흰색. 단, LG 트윈스의 경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처럼 흰색 바탕+검은색 줄무늬 유니폼을 홈 유니폼으로 입고 주일 홈경기 한정으로 흰색 바탕+빨간색 보조 바탕+검은색 줄무늬 유니폼을 입으며, 한화 이글스의 경우 주말 한정으로 주황색 유니폼을 홈 유니폼으로 입는다.)가 대표적이다. [10] 이 경우의 원흉(?)은 크로아티아로, 크로아티아는 빨강-흰색 체크무늬라는 유니크한 홈 컬러를 쓰고 있는데 다른 팀이 하필 홈 빨강 / 어웨이 흰색을 쓰고 있었기 때문. 결국 크로아티아는 1~2차전에서 홈 유니폼을 입고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