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7:29:16

해군참모차장

해상막료부장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 군 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 육군참모차장 해군참모차장 공군참모차장
海軍參謨次長
Vice Chief of the Naval Staff

[clearfix]

1. 개요

해군의 고위급 장교로 해군본부에서 해군참모총장 다음의 최선임 군인으로 참모장 역할을 하며 부재시에 총장을 대리한다. 의전상으로도 다른 제독들보다 우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2. 대한민국 해군

2.1. 역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참모차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미국 해군

미국 해군의 경우에는 참모총장과 마찬가지로 해군 대장이 임명된다.[1] 이 자리를 거쳐간 경우에는 바로 참모총장에 오르기 보다는 미국 통합전투사령관이나 각종 바다이름 함대[2] 등으로 영전한다. 하지만 때에 따라 바로 참모총장으로 영전하기도 한다. 현임 해군참모총장의 출신 병과에 따라 인사의 방향이 달라지기도 한다. 참모총장이 잠수함 출신일 때는 수상함이나 항공 출신이 참모차장( Vice Chief of Naval Operations)에 내정되고 항공 출신일 때는 수상함이나 잠수함 출신이 내정되는 식.[3] 항해장교라고 똑같은 뱃놈이 아니며 각각 직별마다 고도의 전문성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참모총장이 모든 것을 홀로 관장하기 어려워서라고 풀이하면 된다. 상식적으로 구축함 지휘하던 사람을 해군핵추진프로그램국장에 앉혀놓는다거나 하면 정말 듣도보도 못한 발상이니까(...)[4]

4. 해상자위대

일본 해상자위대에서는 해상막료부장( 海上 幕僚副長)이라 하며 중장이 임명된다.

5. 인민해방군 해군

6. 중화민국 해군

중화민국 해군에서는 해군부사령( 海軍 副司令)이라 하며 중장이 임명된다.[5]

7. 싱가포르 해군

8. 호주 해군

9. 영국 해군

10. 관련 문서



[1] 미합중국군의 경우 육군, 해군, 공군참모차장 및 우주군참모차장, 해병대 부사령관 모두 대장이 보임한다. [2] 미국 태평양함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미국 유럽-아프리카해군 등이 해당되는데 해군 대장이 사령관으로 보임된다. 숫자 함대의 경우엔 중장이나 소장. [3] 예를 들면 잠수함 출신 조너선 그리너트는 수상함 출신 게리 러프헤드가 참모총장에 재임할 때 참모차장으로 재임했고, 그리너트가 참모총장에 오른 뒤에는 수상함 출신의 마크 퍼거슨 3세, 미셸 하워드가 참모차장에 올랐다. [4] 핵추진프로그램국장은 참모차장과 마찬가지로 해군청 직속의 4성보직이긴 한데, 흔히 상상하기 쉬운 싸움꾼 제독의 자리가 아니라 공돌이의 자리다. 거기다 말 그대로 핵추진, 즉 원자력 동력 추진에 관한 부서라 잠수함 출신 제독 중에서도 '핵무기'보다는 '원자력'에 정통한 공돌이가 보임된다. 때문에 잠수함 출신 4성이라고 아무나 보임되지도 못하는 자리라서 한번 임명되면 참모총장보다도 오래 재임한다. [5] 단 해군부사령(해군참모차장)은 해군중장 1명 해군육전대(해병)중장 1명씩 임명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