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4 19:34:57

해군주임원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각 군 주임원사
합참주임원사 육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공군주임원사 해병대주임원사
미군에 있는 주임원사
해안경비대주임원사 우주군주임원사 주방위군주임원사

1. 대한민국 해군

파일:external/m1.daumcdn.net/2756E83650E131A8067E81?.jpg
▲해군의 주임원사 휘장.[1]
미군과 달리 계급장으로 일반 원사와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휘장을 패용한다.

1.1. 역대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해군주임원사 소개 홈페이지

해군본부 주임원사 해군 사병 가운데 최선임이 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해군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미합중국 해군

Master Chief Petty Officer of the Navy. 미합중국 해군의 최선임사병으로 해군작전사령관을 보좌한다. 의전 및 각종 대우는 해군 중장에 준한다. 되도록 해군총장의 병과와는 다른 하위 직별 출신을 보임해 다양한 목소리가 담기도록 하려는 편이다.

미 해군의 해군주임원사 직책은 1967년 4월 28일에 생겼으며, 처음 명칭은 해군선임사병자문관(Senior Enlisted Advisor of the Navy)이었다.

원사 계급의 부사관에서 선발하며, 다른 일반 부대의 주임원사들과는 달리 계급장도 주임원사 계급장에 별 하나가 더 붙는 것을 다는 등 별도의 계급장이 부여된다. 또한, 계급장에서 직별 표지가 사라지고 대신 별이 들어간다.

2.1. 역대 해군주임원사

대수 사진 성명 재임기간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Delbert_Black.jpg 델버트 블랙(Delbert Black)[2] 1967-1971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John_Whittet.jpg 존 휘팃(John "Jack" Whittet) 1971-1975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Robert_Walker.jpg 로버트 워커(Robert Walker) 1975-1979
4 파일:external/cd0e39ec6e0d0a9652aaca4ffdab845ef5a70ef9e11e2460975fc3367eacbea1.jpg 토머스 크로(Thomas S. Crow) 1979-1982
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Billy_Sanders.jpg 빌리 샌더스(Billy C. Sanders) 1982-1985
6 파일:100px-MCPON_William_Plackett.jpg 윌리엄 플래킷(William H. Plackett) 1985-1988
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Duane_Bushey.jpg 두에인 부시(Duane R. Bushey) 1988-1992
8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John_Hagan.jpg 존 헤이건(John Hagan)[3] 1992-1998
9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James_Herdt.jpg 제임스 허트(James L. Herdt) 1998-2002
1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US_Navy_020424-N-0000X-001_MCPON_Terry_D._Scott.jpg 테리 스콧(Terry D. Scott) 2002-2006
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Campa_Dec_2007.jpg 존 캠파(Joe R. Campa) 2006-2008
1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Rick_West_def.jpg 릭 웨스트(Rick D. West) 2008-2012
1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MCPON_Stevens.jpg 마이클 스티븐스(Michael D. Stevens) 2012-2016
1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teven_S._Giordano_2016.jpg 스티븐 지오다노(Steven S. Giordano) 2016-2018
대행 파일:Fleet_Master_Chief_Russell_L._Smith.jpg 러셀 스미스(Russell L. Smith) 2018
15 파일:MCPON_Russell_L_Smith.jpg 2018-2022
16 파일:MCPON_James_M._Honea.jpg 제임스 호네아(James M. Honea) 2022-

3. 해상자위대

선임오장(先任伍長)이라고 한다. 육자대 공자대의 주임원사가 준위인 것과 달리 이쪽은 진짜 우리의 해군 원사에 상당하는 계급인 해조장(海曹長)이 해당 직책을 맡는다. 이는 해상자위대의 특성 탓이다. 준사관 부사관의 연장선[4]으로 왜 계급을 두고 있는지 이해가 안 간단 평가를 받는 육자대나 공자대와 달리 해자대는 함정 내에서 부사관 내부의 구분도 확실하고 준사관이 정말 장교에 준하단 얘기를 듣고 있기 때문에 육자나 공자보다 경계가 확실하기 때문이다.[5]

2003년에 사가 이쿠오 조장이 1대 선임오장으로 취임했다가 준해위로 진급했다. 2006년에 시작된 육자나 공자, 2012년에 시작된 통막보다 더 빠르다. 현직인 아즈마 가즈히토 조장은 6대이다.

파일:external/www.mod.go.jp/ph_1001.gif
해상자위대선임오장의 장식.

해상자위대 선임오장 페이지

3.1. 역대 선임오장

파일:attachment/sgtmjrsaga.png
파일:external/8ef99823b79b51de18fef7d989a2e197e205191f95f556b8f78711a96f26db58.jpg
파일:attachment/pettyofficernatsume.png
파일:1515889992362.jpg
파일:external/www.mod.go.jp/p270626.jpg
파일:6대 해상자위대 선임오장.jpg
파일:6대 해상자위대 선임오장(1).jpg
파일:7대 해상자위대 선임오장.jpg

4.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5. 중화민국 해군

사관감독장(士官督導長)이 해당 역할을 맡는다.

웡리쥔(翁林駿) 1등사관장(一等士官長)이 역할을 맡고 있다. 중화민국 해군 페이지

웬리렌

6. 싱가포르 해군

주임준위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파일:external/www.mindef.gov.sg/1450323253627.png
리처드 고 랭 얀 고급준위장(Senior Warrant Officer/Military experts 5)이 해당 역할을 맡고 있다. 싱가포르군 페이지

7. 호주 해군

Warrant Officer of the Navy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파일:external/www.navy.gov.au/20160426ran8094997_018.jpg
2016년부터 게리 와이트(Gary Wight) 준위가 역할을 맡고 있다. 호주 해군 페이지

8. 영국 해군

준사관과 부사관이 연결되는 계급 체계인 영국 해군의 특성상 해군주임준위(Warrant Officer of the Naval Service)가 해당 역할을 맡는다. 이전에는 제2해군위원주임준위(Second Sea Lord's Command Warrant Officer)[6]가 비슷한 역할을 맡았으나 2010년에 해군주임준위가 신설되었다.

파일:3대 해군주임준위 니콜라스 셔랜드.jpg
2010년에 신설된 터라 2017년부터 3대째인 니콜라스 샬랜드(Nicholas Sharland) 1등준위가 맡고 있다.


[1] 부대의 규모에 따라 위쪽의 계급장이 달라진다. 사진은 전대/1급함주임원사 휘장. 해군주임원사 휘장은 위쪽에 별 네개가 있다. [2] 진주만 공습에서 살아남은 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였고, 사후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이름이 붙었다. [3] 제러미 마이클 보더가 자살했을 당시에 해군주임원사였던 탓에 그의 장례식에서 추도문을 낭독하기도 했다. [4] Warrant Officer가 부사관의 확장인 영연방 군대와 비슷하다. [5] 나중에는 준해위 진급 및 준해위로 진급하고 최선임하사관으로 임명한다. 대한민국 공군 준위와 상당히 유사하다. 대한민국 공군의 준위는 원사에서 진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많은 원사들이 준위 진급을 노린다. [6] 제1해군위원이 해군참모총장이다. 제2해군위원(중장)은 해군참모차장이라 생각하면 될듯.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