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3:11:34

이화학당

학교법인 이화학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643E,#00472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캠퍼스 학부 대학원 학교 법인
역대 총장 상징 교환 학생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00643E>
기타 정보
||
사회 진출 출신 인물 사건 사고
의료원
부속 병원
의료원 보구녀관 목동병원 서울병원
}}}}}}}}}}}} ||


1. 개요2. 학교재단
2.1. 학교법인 이화학당2.2. 학교법인 이화학원

[clearfix]

1. 개요

梨花學堂

1886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 오늘날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이다.

1885년 미국인 감리회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부인은 북감리회의 선교 정책에 따라 조선에 발령받았고 긴 항해 끝에 조선 땅을 밟았다. 그녀는 52세의 과부였으며, 자신의 아들인 의사 윌리엄 스크랜튼과 함께 조선에 왔다. 독실한 크리스천이자 교육자였던 그녀는 조선에 하나님의 말씀과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육을 통해 조선인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했다.

스크랜튼 부인은 조선 소녀들과 여성들의 지위가 매우 열악하여 교육조차 받지 못하는 걸 안타깝게 여겨 이때까지 조선에 없었던 여학교를 세우고자 했다. 의사인 아들이 세울 병원 부지까지 합쳐 서울 정동에 몇 채의 집을 사들였고, 여학교를 세울 준비를 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서구개방이 이루어진지 얼마 되지 않아 서양식 교육과 문물이 낯설게 받아들여지던 시기였던 데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의 경험이나 서방국가들이 타국가들을 식민지배한다는 소식이 널리 번졌던 이유도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들은 낯선 서양인을 몹시 경계했고[1] 여자아이들이 학교에 다니며 공부한다는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던 시대였기 때문에 쉽지 않았다.[2] 처음에는 단 1명의 여학생으로 학교를 시작했을 정도로 여학생을 모으는 일은 어려웠으며 학교는 몇 년간 재정난에 시달리기도 했다. 이후 길에 버려진 여자아이, 기를 형편이 되지 않아 부모가 맡기고 간 여자아이, 학교 일꾼의 딸[3] 등이 스크랜튼 부인의 학생이 되었고 학교는 어느 정도 틀을 잡을 수 있었다.

이화학당은 멀리 떨어져 사는 소녀들을 위해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었고 소녀들은 학교에서 먹고, 자고, 공부하며 모든 생활을 다 했다. 과목은 한글, 영어, 한문, 성경 등을 배웠다. 특히 이화학당의 영어교육은 이전까지 조선에서 한 번도 시도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실 영어교육은 스크렌튼 부인이 한국어를 거의 못했기 때문에[4]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해서 의사소통을 위해 이는 꼭 필요한 교육이었다. 성경교육은 한국 최초의 채플 클래스이기도 하다. 초창기에는 빨간 옷감으로 지은 한복 교복으로 입었다.[5] 점차 과목, 학제, 교사 등이 정비되고 학교는 점점 발전했으며 처음에는 여학생들을 보내기 꺼렸던 조선인들도 점차 여자아이들을 이곳에 보내게 되면서 규모가 커졌다. 고종황제 명성황후는 스크랜튼 부인의 노고를 치하하여 친히 '이화학당'이라는 교명과 내탕금을 하사했다. '이화'라는 교명은 당시 학교 주변에 흐드러지게 피어나던 하얀 배꽃에서 따 온 것으로, 배꽃처럼 희고 맑고 깨끗하라는 의미라고 전해진다.

이듬해인 1887년에는 의료선교를 위하여 조선 여성들을 위한 병원을 세웠는데 이는 보구녀관이라는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이다. 스크랜튼 부인의 아들도 의사였지만 남녀의 구별이 엄격한 당시 조선의 풍속 때문에 스크랜튼 부인은 미국에 여의사 파견을 요청했다. 이후 미국인 여의사들이 와서 조선 여성들을 치료했다. 이 병원은 일반 교육기관에서 전문학교와 대학교로 승격을 거쳐 바로 오늘날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의 전신이다. 이 후 최초의 한국인 여의사 박에스더를 시작으로 조선인 여자 의사들도 많이 생겨나며 이 역할을 대체되었다.

1918년 보통과와 중등과/고등과를 이화여자보통학교와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신설하였고, 1925년 대학과를 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시켜 신설하였으며, 1946년 대학교로 승격시켜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를 만들었다.

이화학당의 후신은 이화여자고등학교보다는 엄밀히 말하면 이화여자대학교에 가깝다. 이화학당에서 이화학원이 갈라져 나올 때 이화여고도 함께 갈라져 나왔기 때문이다. 현재 법인 이화학당에 속한 학교는 이화여대와 이화여대 사범대학 부속학교들뿐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화학당 소속인 이화여자대학교는 신촌으로 이사했고 이화학원 소속인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만이 정동에서 원래의 이화학당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유관순 열사가 이곳 출신으로, 이화여고는 1996년 유관순 열사에게 명예졸업장을 주었으며 2019년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이화학당 만세 운동을 재현하고 유관순 열사 99주기 추도예배를 진행했다.

미스터 션샤인에서 나오는 목화학당의 모델이 이화학당으로 보인다.

2. 학교재단

이화학당의 중고교 과정이 1915년에 분리되고, 1925년에 대학과가 구제전문학교 이화여자전문학교로 격상되며 분리되었고, 마지막까지 이화학당으로 남아 있던 유치원 사범과[6]가 1928년에 이화보육학교로 개칭되었다. 1943년에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이화보육학교가 재단법인 이화학당을 구성하였고,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는 따로 재단을 세워 두 학교가 분리되었다.

2.1. 학교법인 이화학당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bottom: -15px;"
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중학교
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유치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유치원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

2.2. 학교법인 이화학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ffd0af>
 '''[[틀:이화학원|{{{#white {{{+1 학교법인 이화학원}}}}}}]]'''
팔렬중학교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고등학교

예술학교인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도 본래 이화학원 소속이었으나, 두 학교는 이화학원에서 분리되어 따로 재단을 설립했다.

팔렬중고등학교는 대안학교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서양인들이 조선 아이들을 잡아간다는 소문도 있었을 정도였다. [2] 엄밀히 말하자면 여성을 위한 서당이 아주 없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 수는 매우 드물었다. 당시엔 양반가에서도 여자에겐 아예 가사 외에는 안 가르치는 경우도 많았고 상대적으로 여성교육에 호의적인 서인 계열 당파에서도 보통 집에서 아들을 가르치면서 같이 옆에서 배우게 하는 정도였다. [3] 한국 최초의 여 의사 박에스더. [4] 간단한 인사말이나 행정용어 정도는 할 줄 알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수업을 진행할 만큼의 실력은 안 돼서 초반에는 몸짓 발짓으로 수업을 진행해 어떤 이들은 '무용수업' 이라고 별명을 붙여줄 정도였다. [5] 이후 일명 유관순 교복이라고 불리는 흰 저고리에 검정 치마를 입게 되었고 몇 차례의 변천을 거쳐 오늘날의 교복에 이른다. [6]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 오늘날의 유아교육과라 할 수 있다. 당시 사범학교는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가는 중등교육기관이었는데 이 사범학교에 유치원 교육은 사실 없었다. 당시에 유일하게 유아교사 교육과정이라 봐도 무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