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4 10:20:08

티그라네스 6세

파일:티그라네스 6세.jpg
왕호 티그라네스 6세
( 그리스어: Τιγράνης, 아르메니아어: Տիգրան)
출생 미상
사망 미상
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
어머니 미상
재위 기간 58년 ~ 61년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아르메니아의 군주. 헤로데 왕조의 왕족으로, 58~61년까지 로마 제국의 속국인 아르메니아를 다스렸다.

2. 생애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귀족 여성 사이에서 출생했다. 조부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 알렉산데르였다. 또한 삼촌은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기간 동안 아르메니아 왕위를 잠시 맡았던 티그라네스 5세였다. 그는 로마에서 자랐고, 중앙 아나톨리아 출신의 여성과 결혼했다. 이 여자는 기념 주화에서 '옵갈리(Opgalli)'라는 명칭으로 일컬어졌는데, 이는 그리스어로 '여왕/왕비'를 의미한다. 그는 옵갈리와의 사이에서 아들 가이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드라와 딸 율리아를 낳았다.

52년, 파르티아 샤한샤 볼로가세스 1세가 아르메니아를 전격 침공하여 아르탁사타와 티그라노케르타를 점령하고 동생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웠다. 그러나 혹독한 겨울과 식량 부족에 시달리다가, 메디아와 히르카니아에서 아들 바르다네스 2세가 반란을 일으키자 어쩔 수 없이 본국으로 돌아갔다. 파르티아의 침공을 피해 이베리아로 망명했던 라다미스투스 왕은 다시 아르메니아로 돌아와서 많은 이들을 파트리아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처형했다.

55년 라다미스투스의 숙청을 견디지 못한 아르메니아인들이 반란을 일으켜 라다미스투스를 축출하고 티리다테스 1세를 왕으로 옹립했다. 그러나 로마는 파르티아가 아르메니아를 이대로 장악하는 걸 원하지 않았다. 55년 초, 시리아 총독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는 10군단 프레텐시스와 12군단 풀미나타를 편성했다. 여기에 카파도키아 사령관 코르불로 3군단 갈리카 6군단 페라타를 재편성했다. 두 지휘관 모두 볼로가세스 1세에게 사절을 보내 외교적 해결을 모색했다. 아들 바르다네스 2세의 반란 진압에 몰두하고 있었던 볼로가세스 1세는 이에 응해 움미디우스에게 인질을 보냈다. 그러나 티리다테스가 아르메니아의 왕이 되기를 고수했고, 58년 기병대를 보내 시리아 속주를 급습하면서 전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58~63년 파르티아-로마 전쟁)

아르메니아와 로마군 사이의 전초전이 벌어진 후, 코르불로는 아르메니아의 수도 아르탁사타로 진격했다. 파르티아-아르메니아 연합군은 로마군의 침략에 맞섰지만 코르불로의 탁월한 지휘로 인해 연이어 패배했고, 티리다테스 1세는 59년 파르티아로 망명했다. 로마군은 아르메니아의 새 왕으로 티그라네스 6세를 선임했다. 이때 아르메니아의 몇몇 지역은 로마를 도운 속국들의 영토로 귀속되었다. 그는 로마의 지원에 힘입어 61년 볼로가세스 1세의 동생인 파코로스가 다스리던 메디아 아트로파테네를 습격했다.

동방에서 일어난 바르다네스 2세의 반란을 진압하느라 아르메니아 문제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던 볼로가세스 1세였지만, 이제는 더 이상 좌시할 수가 없었다. 그는 귀족회의를 소집하여 형제 티리다테스가 아르메니아의 정당한 왕임을 선언하고, 바르다네스 2세와 휴전 협약을 맺은 뒤 아르메니아로 향한 반격을 개시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모나세스(Monaeses) 장군을 파르티아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메디아 아트로파테네의 군대와 합세하여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가도록 했다. 티그라네스 6세는 티그라노케르타로 이동한 뒤 그곳에서 농성했고, 파르티아군은 성의 보급로를 차단한 뒤 포위 공격을 가했다. 하지만 티그라노케르타는 좀처럼 함락되지 않았고, 코르불로는 유프라테스 강변에 군대를 집결하며, 여차하면 메소포타미아를 직접 치려고 했다. 그러자 볼로가세스 1세는 코르불로에게 사절을 보내 평화 협상을 제안했다. 이때 코르불로는
"티리다테스가 아르메니아 왕으로 세우는 걸 인정하겠지만, 즉위식을 로마에서 하는 게 어떠냐"
라고 권유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이를 호의적으로 받아들여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로마에 사절단을 보내는 한편 모나세스에게 포위망을 푼 후 철수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카이세니우스 파에투스 장군이 마케도니아 제5군단, 스키티카 제3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을 이끌고 북방 전선에 도착했다. 그는 코르불로와 파르티아 간에 평화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공적을 세우고 싶은 마음에 이를 무시하고 스키티카 제3군단과 풀미나타 제12군단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갔다. 그들은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티리다테스에게 충성했던 아르메니아의 여러 요새를 공략했다. 그러나 볼로가세스 1세는 즉각 반격을 가하여 파에투스를 격파하고, 아르사모사타 인근 란데이아에서 그들을 포위했다. 코르불로는 아군을 구하고자 달려갔으나, 그가 도착하기 전에 파에투스가 항복하면서 무위로 그쳤다. 볼로가세스 1세는 로마와 평화 협상을 하고 싶었기 때문에 2개 군단을 무장해제시킨 뒤 고향으로 돌려보내는 관대한 조치를 내렸다. 이후 62년/63년 겨울에 다시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다. 볼로가세스 1세는 코르불로의 제안대로 하자고 권했지만, 로마 당국은 패배한 뒤 협정을 맺는 걸 굴욕으로 여겨 거부하고 또다시 전쟁을 준비했다.

63년 봄, 코르불로는 4개 군단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진군했다. 하지만 그는 이 산악 지형에서 버틴다면 공략하기 매우 어렵고, 아르메니아인들이 티그라네스 6세보다는 티리다테스 1세를 지지한다는 걸 알고 있었기에 이 이상 전쟁을 벌이는 건 무익하다고 판단했다. 결국 양자는 전쟁을 멈추고 평화 협약을 맺기로 합의했다. 그 결과 로마는 티리다테스 1세를 아르메니아 왕으로 인정하는 대신 로마 수비대를 소펜에 영구적으로 주둔하도록 했고, 티리다테스는 로마로 찾아가서 네로에게 경의를 표하기로 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네로는 티그라네스를 아르메니아 왕위에 복귀시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66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발발하면서 계획은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