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 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SSG | 그레이백급R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 SSN(X)}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 컬럼비아급} | ||||
고속정(PC)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호위함(FF)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컨스텔레이션급} | ||||
구축함 | 구축함(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방공구축함(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 DDG(X)} | ||||
순양함 | 순양함(CL, CA) |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 |||
방공순양함(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
||||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전함 (BB)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LPH | 이오지마급R |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LSD |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 ||||
LST | 뉴포트급R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EPF | 스피어헤드급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원정이동기지선 (ESB) |
루이스 B. 풀러급 | ||||
항공모함 | 재래식(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핵추진(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잠수함모함 (AS)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구축함모함 (AD)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 LUSV} | |||
UUV | 오르카 XLUUV, { 후긴 AUV} | ||||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말엽에 건조된 미 해군의 재래식 잠수함. 기존 가토급 잠수함과 발라오급 잠수함의 단점을 보완한 2차대전기 미국 잠수함의 정점이었으나 시기의 문제로 큰 활약을 하진 못했다. 텐치는 유럽산 잉어과 민물고기의 일종을 뜻한다.2. 제원
텐치급 잠수함 Tench-class submarines |
||
이전급 | 발라오급 | |
다음급 | 바라쿠다급 | |
배수량 | 1,570톤[수상] | |
2,416 ~ 2,429톤[수중] | ||
전장 | 95m | |
전폭 | 8.3m | |
흘수 | 최대 5.2m | |
작전 수행 | 75일 | |
잠항심도 | 120m | |
출력 | 5,400SHP[수상] | |
2,740SHP[수중] | ||
최고 속력 | 20.25노트 (약 38km/h)[수상] | |
8.75노트 (약 16km/h)[수중] | ||
항속거리 |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30,000km | |
동력 | 기관 | 페어뱅크스-모스제 디젤 엔진 × 4기[7] |
126셀 배터리 × 2기 | ||
추진 | 2축 프로펠러 | |
승조원 | 장교 | 10명 |
수병 | 71명 | |
무장 | 어뢰 발사관 | 21인치급 × 10문[8] |
어뢰 | Mk.27 × 28발 | |
기타 | 5인치 25구경장 갑판포 × 1문 | |
보포스 40mm 포 및 오리콘 20mm 기관포 × ?문 |
3. 설계
텐치급은 기존 가토급과 발라오급의 운용 과정에서 지적되던 항속력과 어뢰 적재량을 대폭 강화했다. 내압 선체의 개장 과정에서 내부 용적이 증가했고 이로 인해 기존 발라오급의 24발보다 많은 28발의 어뢰를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발라오급의 설계에서 존재했던 밸러스트 탱크의 일부를 연료 저장고로 사용해 항속거리도 20,000km에서 30,000km로 크게 증가했으며, 추가 밸러스트 탱크의 증가로 잠항성도 개선되었다.텐치급은 총 80척이 건조될 계획이었으나 1944년부터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자 대거 취소되어 결국 29척만이 건조되었고, 2차대전에 참전한 자매함은 텐치를 포함해 11척뿐이었다. 전후 텐치급은 GUPPY라고 불리는 본격적인 헌터 킬러형 공격잠수함 개장을 받았고, 일부 함은 서방 진영 해군에 공여되어 비교적 근래까지 운용되었다. 개장후의 텐치급은 거피급 혹은 구피급으로 불리기도 한다.
특이하게도 대만 해군은 지금도 훈련함으로 발라오급 및 텐치급을 개장한 구피급 2척을 사용중인데 잠수함 부족으로 인해 마지못해 노인학대를 하는 실정이다. 일단 2026년까지 어떻게든 운용하고 퇴역시킬 계획이라고 하는데 이 때가 되면 이미 함력이 80세가 넘는다.
4. 자매함 목록[9]
미국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SS-417 | 텐치 (Tench) | 1944년 4월 1일 | 1944년 7월 7일 | 1944년 10월 6일 | 1970년 5월 8일 |
SS-418 | 쏜백 (Thornback) | 1944년 4월 5일 | 1944년 10월 13일 | 1971년 7월 1일 | |
SS-419 | 타이그론 (Tigrone) | 1944년 5월 8일 | 1944년 7월 20일 | 1944년 10월 25일 | 1975년 6월 27일 |
SS-420 | 티란테 (Tirante) | 1944년 4월 28일 | 1944년 8월 9일 | 1944년 11월 6일 | 1973년 10월 1일 |
SS-421 | 트루타 (Trutta) | 1944년 5월 22일 | 1944년 8월 18일 | 1944년 11월 16일 | 1972년 7월 1일 |
SS-422 | 토로 (Toro) | 1944년 5월 27일 | 1944년 8월 23일 | 1944년 12월 8일 | 1963년 3월 11일 |
SS-423 | 토스크 (Torsk) | 1944년 6월 7일 | 1944년 9월 6일 | 1944년 12월 16일 | 1971년 12월 15일 |
SS-424 | 퀼백 (Quillback) | 1944년 6월 27일 | 1944년 10월 1일 | 1944년 12월 29일 | 1973년 3월 23일 |
SS-435 | 커세어 (Corsair) | 1945년 3월 1일 | 1946년 5월 3일 | 1946년 11월 8일 | 1963년 2월 1일 |
SS-436 | 유니콘 (Unicorn) | 1945년 6월 21일 | 1946년 8월 1일 | 1946년 1월 7일 취소 | |
SS-437 | 왈러스 (Walrus) | 1946년 9월 20일 | |||
SS-475 | 아르거넛 (Argonaut) | 1944년 6월 28일 | 1944년 10월 1일 | 1945년 1월 15일 | 1968년 12월 2일 |
SS-476 | 러너 (Runner) | 1945년 7월 10일 | 1944년 10월 17일 | 1945년 2월 6일 | 1971년 12월 15일 |
SS-477 | 콩거 (Conger) | 1944년 7월 11일 | 1945년 2월 14일 | 1963년 7월 29일 | |
SS-478 | 커틀러스 (Cutlass) | 1944년 7월 22일 | 1944년 11월 5일 | 1945년 3월 17일 | 1973년 4월 12일 |
SS-479 | 디아블로 (Diablo) | 1944년 8월 11일 | 1944년 12월 1일 | 1945년 3월 31일 | 1964년 6월 1일 |
SS-480 | 메드리걸 (Medregal) | 1944년 8월 21일 | 1944년 12월 15일 | 1945년 4월 14일 | 1970년 8월 1일 |
SS-481 | 레퀸 (Requin) | 1944년 8월 24일 | 1945년 1월 1일 | 1945년 4월 28일 | 1971년 12월 20일 |
SS-482 | 이렉스 (Irex) | 1944년 10월 2일 | 1945년 1월 26일 | 1945년 5월 14일 | 1969년 11월 17일 |
SS-483 | 시 레오파드 (Sea Leopard) | 1944년 11월 7일 | 1945년 3월 2일 | 1945년 6월 11일 | 1973년 3월 27일 |
SS-484 | 오닥스 (Odax) | 1944년 12월 4일 | 1945년 4월 10일 | 1945년 7월 11일 | 1972년 7월 8일 |
SS-485 | 시라고 (Sirago) | 1945년 1월 3일 | 1945년 5월 11일 | 1945년 8월 13일 | 1972년 6월 1일 |
SS-486 | 포모돈 (Pomodon) | 1945년 1월 29일 | 1945년 6월 12일 | 1945년 9월 11일 | 1970년 8월 1일 |
SS-487 | 리모라 (Remora) | 1945년 3월 5일 | 1945년 7월 12일 | 1946년 1월 3일 | 1973년 10월 29일 |
SS-488 | 사르다 (Sarda) | 1945년 4월 12일 | 1945년 8월 24일 | 1946년 4월 19일 | 1964년 6월 1일 |
SS-489 | 스피낙스 (Spinax) | 1945년 5월 14일 | 1945년 11월 20일 | 1946년 9월 20일 | 1969년 10월 11일 |
SS-490 | 볼라도르 (Volador) | 1945년 6월 15일 | 1948년 5월 21일 | 1948년 10월 1일 | 1972년 8월 18일 |
SS-491 | 폼파노 (Pompano) | 1945년 7월 16일 | 1945년 8월 12일 취소 | ||
SS-492 | 그레일링 (Grayling) | 1945년 8월 12일 취소 | |||
SS-493 | 니들피시 (Needlefish) | ||||
SS-494 | 스컬핀 (Sculpin) | ||||
SS-495 ~ SS-515 | - | 1944년 7월 29일 취소 | |||
SS-516 | 와후 (Wahoo) | 1944년 5월 15일 | 1946년 1월 7일 취소 | ||
SS-517 | - | 1944년 6월 29일 | 1944년 7월 29일 취소 | ||
SS-518 | 1944년 7월 29일 취소 | ||||
SS-519 ~ SS-521 | |||||
SS-522 | 앰버잭 (Amberjack) | 1944년 2월 8일 | 1944년 12월 15일 | 1946년 3월 4일 | 1973년 10월 17일 |
SS-523 | 그램퍼스 (Grampus) | 1949년 10월 26일 | 1972년 5월 13일 | ||
SS-524 | 피커렐 (Pickerel) | 1949년 4월 4일 | 1972년 8월 18일 | ||
SS-525 | 그레나디어 (Grenadier) | 1951년 2월 10일 | 1973년 5월 15일 | ||
SS-526 | 도라도 (Dorado) | 1944년 7월 29일 취소 | |||
SS-527 | 컴버 (Comber) | ||||
SS-528 | 시 팬서 (Sea Panther) | ||||
SS-529 | 티뷰론 (Tiburon) | ||||
SS-537 ~ SS-544 | - | ||||
SS-545 ~ SS-547 | 1945년 3월 28일 취소 | ||||
SS-548 ~ SS-550 | 1945년 3월 27일 취소 |
5. 유명한 자매함
-
USS 토스크((USS Torsk, SS-423)
1945년 8월 14일 일본 해군의 제47호 해방함, 제13호 해방함을 격침시켰다. 이는 2차대전 최후의 격침 기록으로 남아 있다.
-
USS 티란테(USS Tirante, SS-420)
군함도를 전함으로 오인해 공격했다고 잘못 알려진 잠수함. 실제로는 군함도 인근에서 상선을 공격한 적이 있는데 이게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티란테의 부장으로 근무했던 에드워드 L. 비치는 전역후 작가가 되어 '조용하고 깊게 출항하라(Run Silent Run Deep)'라는 잠수함 소설을 썼고, 클라크 게이블과 버트 랭카스터 주연의 동명의 영화로 제작되었다. 함장과 부장의 갈등을 다루는 크림슨 타이드식 작품의 원조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초계 과정에서 제주도 근해로 잠입하여 비양도 근해에서 해방함 2척(노우미, 제31호 해방함)을 격침시키기도 했다.
-
USS 커틀러스 (USS Cutlass, SS-478)
1944년 11월에 진수, 1945년 3월 취역했고, 1973년 대만 해군에 공여되어 커틀러스는 하이신(海獅. Hai Shih, SS-791)로 개명되어 지금까지 훈련함으로 운용중이다. 80년대에 하이룽급 잠수함 2척 도입 이후 잠수함 부족에 시달리고 있고,[10] 상황이 이렇다 보니 80세를 앞둔 텐치급을 어거지로라도 굴릴 수밖에 없다. 일단 2026년까지는 운용계획이 잡혀 있으니 노인학대도 이런 노인학대가 없다.[11]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SS) |
<colbgcolor=#fefefe,#191919> 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 |||
구잠함 |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 ||||
고속정 (PC) |
PCA급, PCL급 | ||||
미사일 고속정 (PG) |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 ||||
초계함 (FF) |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 ||||
호위구축함 (DE) |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 ||||
호위함 (FF) |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 ||||
구축함 |
구축함 (DD) |
|
|||
방공 구축함 (DDG) |
지룽급 | ||||
상륙정 |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 ||||
상륙함 | LPD | 위산급 | |||
LSD |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 ||||
LST |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 ||||
LSM | 메이전급R | ||||
LSSL | 리안지급R | ||||
소해함 |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 ||||
수송함 | 윈펑급 | ||||
군수지원함 | 우이급, 판시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수상]
[수중]
[수상]
[수중]
[수상]
[수중]
[7]
SS-435 커세어는
제너럴 모터스제
[8]
함수에 6문, 함미에 4문
[9]
비교적 운용 기간이 긴 자매함들이 있는데, 퇴역 후 재취역됐기 때문이다.
[10]
네덜란드에서 도입했는데 이마저도
중국의 압력으로 인해 추가 도입이 좌절되었다.
[11]
실제로 안정성 문제로 잠항훈련을 해도 최고 20m까지만 잠수를 한다고 한다. 평상시엔 육상에서 훈련용으로 쓰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