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SSG | 그레이백급R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 SSN(X)}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 컬럼비아급} | ||||
고속정(PC)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호위함(FF)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컨스텔레이션급} | ||||
구축함 | 구축함(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방공구축함(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 DDG(X)} | ||||
순양함 | 순양함(CL, CA) |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 |||
방공순양함(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
||||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전함 (BB)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LPH | 이오지마급R |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LSD |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 ||||
LST | 뉴포트급R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EPF | 스피어헤드급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원정이동기지선 (ESB) |
루이스 B. 풀러급 | ||||
항공모함 | 재래식(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핵추진(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잠수함모함 (AS)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구축함모함 (AD)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 LUSV} | |||
UUV | 오르카 XLUUV, { 후긴 AUV} | ||||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ESB-5 USS 미구엘 키스(Miguel Keith) |
1. 개요
원정이동기지선(Expeditionary Mobile Base, ESB)차량 및 장비 등 대규모 물류 이동 능력을 갖춘, 미 해군에 4척밖에 없는 특수선박이다.
미합중국 해군은 2015년 9월 4일부터 원정 지원을 위한 새로운 함정에 "E"를 사용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합동 고속 수송선 (JHSV)은 EPF(Expeditionary Fast Transport)로 변경됐고, 몬트포드 포인트급(Montford Point class) 등 이동착륙기지(Mobile Landing Platform)는 원정 환적 도크(Expeditionary Transfer Dock)로 분류되었다. 부유식 해상기지(Afloat Forward Staging Base)는 원정이동기지(Expeditionary Mobile Base)로 분류되었다.
2. 구조와 담당 임무, 배치 현황
원정이동기지선(EMB : Expeditionary Mobile Base)은 쉽게 말해 비행갑판을 가진 대형 화물선이다. 직접 해안가로 접근하여 장비와 물자들을 하역시키는 상륙함과는 달리 목표 지역에 항구가 없거나 상륙함이 정박하기에는 항구가 작을 경우, 해상사전배치선단이 적재한 물자를 받은 뒤 상륙작전에 투입될 전략물자들을 수송하는 선단의 모선으로 활동하면서 공기부양정이나 비행갑판에 있는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목표 지역에 상륙할 미합중국 육군과 미합중국 해병대의 기동전력과 전략물자 등을 해상에서 상륙지로 빠르게 배송해 상륙작전에 투입된 군대가 목표 지역을 신속하고 원활히 상륙·점령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2022년 기준으로 루이스 B. 풀러( USS Lewis B. Puller ESB-3)와 허셜 "우디" 윌리엄스( USS Hershel "Woody" Williams ESB-4), 미겔 키스( USS Miguel Keith ESB-5), 존 L. 캔리( USS John L. Canley ESB-6) 4척이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시에 있는 제너럴 다이내믹스 산하의 NASSCO 조선소에서 건조 완료되어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고 2019년 8월부터 5번째 함인 로버트 E. 시마넥( USS Robert E. Simanek ESB-7)이 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다.[1]
[1]
공교롭게도
미합중국 해군의 함임에도 불구하고 함들의 이름에는
미합중국 해병대에서 복무한 군인들의 이름이 수여되었으며, 첫 번째 함인 루이스 B. 풀러를 제외하면 나머지 함들에는
미합중국 해병대에서의 활약으로
명예 훈장을 받은 군인들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