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1:24:40

크리스탈 드래곤(유희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6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10
파란 눈의 무녀
VJMP-JP111
푸른 눈의 쌍폭렬룡
VJMP-JP112
문라이트 크림즌 폭스
VJMP-JP113
창세의 용기사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14
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
VJMP-JP115
초코 매지션 걸
VJMP-JP116
오시리스의 천공룡
VJMP-JP117
침묵의 마도검사-사일런트 파라딘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20
크리스탈 드래곤
VJMP-JP121
마그넷 워리어 δ
VJMP-JP122
환상의 견습 마도사
VJMP-JP123
SR 패싱글라이더
정기구독 특전
VJMP-JP118 EM 핸사무라이거
VJMP-JP119 패치워크 퍼니멀
}}}}}}}}} ||
← 2015년 2017년 →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서치 가능한 몬스터 일람2.2.2.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KrystalDragon-JP-Anime-MOV3-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크리스탈 드래곤,
일어판 명칭=クリスタル・ドラゴン,
영어판 명칭=Krystal Dragon,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5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공격한 턴에\,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나와라 크리스탈 드래곤!" (소환시)

"해치워라 크리스탈 드래곤! 녀석을 없애버리는거다!" (공격시)

"이 녀석이 배틀을 벌였기 때문에! 난 이 카드를 덱에서 손에 넣는다!" (효과 발동시)
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 카이바 세토 아이가미와의 듀얼 중 사용. 통상 소환에 릴리스가 필요없는 차원 영역 듀얼 룰 덕분에 선공 첫 턴에 바로 이 카드를, 다음 턴에 또 1장을 차원 소환했다. 방계윤 비잠을 공격했다가 2장 모두 언디멘션화 되어버렸지만, 카이바가 발동한 드래곤즈 오브 덕분에 일시적으로 구속이 풀려서 각자의 효과로 푸른 눈의 백룡을 총 2장 서치했다. 다음 아이가미의 턴에 방계초수 버스터 간다일의 공격에 전부 파괴된 후, 다음 카이바의 턴에 아이가미가 발동한 방계만다라의 효과로 다시 카이바의 필드에 불러내면서 카이바가 발동한 카운터 게이트를 무용지물로 만들려 했으나, 이내 카이바는 땅에서 드로우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불러낸 뒤 효과로 이 카드 2장을 릴리스해 '갓 핸드 임팩트'로 7000의 데미지를 주며[1] 아이가미에게 판정승을 거둔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card10014488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크리스탈 드래곤,
일어판 명칭=クリスタル・ドラゴン,
영어판 명칭=Krystal Dragon,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500, 수비력=1000,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자신 턴의 배틀 스텝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족 / 레벨 8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콜라보 카페 홍보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무비팩에 수록되지는 않았으나 V점프 동봉으로 후속 발매되었다. 전투를 실행한 자신의 배틀 스텝시에 레벨 8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서치하는 유발 효과를 가졌다.

특수 소환 제한이 없는 레벨 8 드래곤족 몬스터는 드래고닉 택틱스로 리크루트가 가능한데다, 묘지로 보낸 다음에 부활의 복음 등으로 되살리는 식의 전개 수단이 이미 존재한다. 이클립스 와이반이 금지 카드가 되면서 대신 특수 소환 몬스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가 생겼지만, 이들은 대부분 드래곤 자각의 선율에 대응하는 경우도 많다.

그에 비해 이 카드는 다른 소환 수단을 통해 따로 필드에 꺼내야 되는데다, 전투시에도 보통은 별도의 서포트가 필요해지기 마련이고, 서치 효과 역시 배틀 페이즈 중에 치뤄지기 때문에 활용해 보려면 여러 연구가 필요해진다. 상기한 카드들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찾아보자면 드래곤메이드 플란메, 드래곤메이드 루프트, 몽타주 드래곤 정도 뿐. 이 카드 자신을 필드에 쉽게 세울 수단도 딱히 없고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한 것도 아니라서, 이 카드를 서치할 바에 그냥 원하는 최상급 드래곤족 몬스터를 서치할 수단을 찾으면 된다. 통틀어 보자면 서치할 수 있는 카드들에게 다른 서포트 수단이 너무 많은데다, 이 카드를 쓰는 것부터가 덱 회전보다는 말림이나 초래할 위험성이 따른다. 결정적으로 레벨, 종족, 공격력이 모두 같은데다 마찬가지로 드래곤족 서치 효과가 있고,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있어 써먹기가 훨씬 쉬운 비스테드 마그나무트가 존재한다. 드래곤족 몬스터를 서치할 수단이 늘면 늘 수록 발동이 까다로운 이 카드가 나설 자리는 그만큼 위축되어버린다는 것이 현 실정.

그래도 마그나무트와는 달리 서치 효과에 턴 제약이 없는데다 메인 페이즈 2에 가져온 몬스터를 써먹어볼 수 있다는 차별점은 있지만, 상술했듯 배틀 스텝시에 발동하느라 가져온 드래곤족 몬스터로 전투시에 당장 뭘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속공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마찬가지이며, 체인 수단이 극히 한정된 데미지 스텝에 발동하는 것도 아니라서 하루 우라라에게 평범하게 막힌다는 것도 단점이다. 당연하게도 필드에 남아야 발동하는 효과이므로 전투로 파괴되면 말짱 손해로 끝나게 되고, 배틀 페이즈가 없는 선공 첫 턴에는 완전히 호감패 신세가 되어버린다.

서치 가능한 몬스터는 상술했듯 서포트 카드도 풍부하고 이런저런 덱의 키 카드가 되는 경우도 많아서 이들을 서포트한다는 것만으로도 웬만한 역할을 기대할 수는 있다. 쓰겠다면 펜듈럼 소환 등으로 릴리스없이 꺼내서 펜듈럼 효과로 서포트해보도록 하자. 이 카드의 효과로 서치 가능한 진룡검사 마스터P를 쓰는 덱이라면 필연적으로 펜듈럼 소환을 실행하는 구축이 될 테니 상성은 좋다.

데미지 스텝 종료 후에는 반드시 배틀 스텝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다른 공격할 수 있는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2.2.1. 서치 가능한 몬스터 일람

2.2.2.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6-07-21 |
[[일본|]][[틀:국기|]][[틀:국기|]] VJMP-JP120 | Vジャンプ 2016年 9月号 付録カード
2019-02-09 |
[[일본|]][[틀:국기|]][[틀:국기|]] 20TH-JPC66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2017-01-13 |
[[미국|]][[틀:국기|]][[틀:국기|]] MVP1-ENGV2 | Yu-Gi-Oh!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GOLD EDITION
2020-01-23 |
[[미국|]][[틀:국기|]][[틀:국기|]] MVP1-ENSV2 | Yu-Gi-Oh!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SECRET EDITION Variant Cards
2018-08-13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P13-KR038 | 프리미엄 팩 Vol.13
2019-05-1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LEC1-KR066 | 레전드 컬렉션

[1] 갓 핸드 임팩트의 원래 효과 데미지 4000 + 차원 영역 듀얼 룰에 의해 차원 특수 소환으로 나온 방계초수 버스터 간다일의 공격력 만큼의 데미지 30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