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00:34:51

카복실기

카르복시기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탄화수소와 유도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탄화수소 사슬형 : 알케인 ( 알킬기), 알켄 (알케닐기), 알카인 (알카닐기)
고리형 : 사이클로알케인, 사이클로알켄, 벤젠 ( 페닐기, 벤질기), 톨루엔, 자일렌
탄화수소
유도체
지방족 : 알코올 ( 하이드록시기), 에터 (에터기), 알데하이드 (알데하이드기), 케톤 ( 카보닐기), 카복실산 ( 카복실기), 에스테르 (에스테르기)
방향족 : 페놀, 크레졸, 살리실산, 나이트로벤젠, 아닐린, 벤조산, 벤질알코올, 피리딘, 피리미딘
지방족 & 방향족 : 아민 ( 아미노기), 아마이드, 크라운 에터 }}}}}}}}}

1. 개요2. 카복실기3. TCA 회로4. 관련 문서


파일:carboxyl_1.svg

1. 개요

카복실기(carboxyl基, carboxyl group) 또는 카르복시기는 화학식 -COOH를 가지는 탄소, 산소, 수소로 이루어진 작용기이다. 탄소를 중심으로 산소 원자가 이중결합한 카보닐기(carbonyl基, C=O)와 한 개의 하이드록실기(-OH, hydroxy基)가 단일결합하고 있다.[1] 따라서 카복실기는 카보닐기와 하이드록실기와 합성어로 이해해볼수있다. 카복실기의 수소 원자는 이온화하기 쉽고 산성을 띤다.

2. 카복실기

대표적인 유기산인 카복실기를 1개 갖는 경우 모노카복실산(mono-), 2개 갖는 경우 다이카복실산(Di-), 3개 갖는 경우 트라이카복실산(Tri-)으로 표기한다.

잘 알려진 경우로는 폼산(HCOOH), 아세트산(CH3COOH), 수산(蓚酸,HOOCCOOH), 아크릴산(CH2=CHCOOH)등이 있다. 지방산에서는 아세트산은 포화지방산이며 아크릴산은 불포화지방산이다.

3. TCA 회로

시트르산 회로로 알려진 TCA 회로 TCA(Tricarboxylic Acid 트라이카복실산)라는 명칭은 시트르산(citric acid)의 카복실기가 3개(Tri-)인 데서 연유한다. TCA를 개시물로 해서 시작하는 시트르산 회로(citrate cycle)는 3개의 카복실기가 1개의 카복실기를 내주고 2개의 카복실기가 되었다가 다시 1개의 카복실기를 얻어 3개의 카복실기가 되는 회로를 돈다.
파일:Structure2D_CID_31348_TCA.svg
시트르산의 3개의 카복실기

4. 관련 문서


[1] (참고)pubchem ,Citrate CID 31348 https://pubchem.ncbi.nlm.nih.gov/compound/3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