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2:42:06

카르밀라(뮤지컬)


파일:네버엔딩플레이 벡터 로고 가로 white.sv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bgcolor=#ebebeb> 파일:네엔플 아르토 로고.png ||<bgcolor=#141313> 파일:네엔플 나르골드 로고.png ||<bgcolor=#202022> 파일:네엔플 카파 로고.png ||<bgcolor=#6d514d> 파일:네엔플 브론테 로고.png ||
2021 2022
파일:네엔플 범옹 로고.png 파일:네엔플 미수 로고.png 파일:네엔플 수바서 로고.png 파일:네엔플 제시 로고.png
2022 2023
파일:네엔플 드라이플라워 로고.png 파일:네엔플 카르밀라 로고.png 파일:2024 접변 로고.png 파일:네버엔딩플레이 벡터 로고 세로 white.svg
2023 2024

||<-2><tablewidth=600><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4b384c><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111><colcolor=#b6a2bd>
파일:카르밀라 벡터화 로고.svg
||
파일:뮤지컬 카르밀라 초연 메인 포스터.jpg
2024 초연 메인 포스터
제작 네버엔딩플레이, 라이브러리컴퍼니
작·작사 민미정
작곡 황예슬
연출 이강욱
음악감독 박재현
공연 기간
공연 중
2024.06.11 ~ 2024.09.08
공연 장소 링크아트센터드림 드림1관
관람 시간 100분
공식 계정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티저 포스터 ▼
파일:뮤지컬 카르밀라 초연 포스터.jpg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줄거리
4.1. 원작과의 차이점
5. 넘버6. 출연진
6.1. 2017년 리딩 쇼케이스6.2. 2019년 리딩 쇼케이스6.3. 2024년 초연
7. 기타
7.1. 공식 영상7.2. 재관람 혜택7.3. MD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nopad>
대한민국의 창작 뮤지컬. 최초의 여성 뱀파이어가 등장하는 고딕 소설 카르밀라[1]》를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매혹적인 뱀파이어 소녀 ‘카르밀라’와 순수한 인간 소녀 ‘로라’의 위험하면서도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담았다.

2. 시놉시스

"난 항상 기억하고 있어. 널 처음 만난 그날을."

오스트리아 슐로스. 외딴집에서 혼자 외롭게 살아온 로라는 일주일 후, 그라츠로 떠나 새로운 삶을 시작할 꿈에 부풀어 있는데…
폭풍우 치는 밤, 마차 사고를 당한 자매 카르밀라와 닉이 로라의 집으로 찾아온다.
낯선 손님들을 경계하지만, 그들의 선량한 모습에 마음을 열게 되는 로라.
그렇게 자매는 로라의 집에 머물게 되고, 카르밀라와 로라는 함께 지내며 점점 가까워지는데…
흡혈귀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슈필스도르프 부제가 그 뒤를 쫓기 시작한다.
마침내 드러나는 이들을 둘러싼 숨겨진 진실. 과연 이 길의 끝엔 뭐가 있을까.

3. 등장인물

* 카르밀라
"무엇도 바꿀 수 없는 운명, 통제할 수 없는 또 다른 나"
불멸의 삶에 지쳐 영생을 끝마치려던 찰나, 순수의 존재 ‘로라’를 만나 잃어버린 욕망이 되살아나는 뱀파이어 소녀.
  • 로라
    "눈을 감으면 펼쳐지는 나만의 지도 속 세상"

    세상을 편견 없이 바라보는 순수하고 맑은 영혼을 가진 인간 소녀.

  • "이제 모든 걸 끝낼 시간, 원래 자리로 되돌릴 시간"

    원하는 것은 반드시 가져야만 하는 욕망에 충실한 잔인한 뱀파이어.
  • 슈필스도르프
    "그 어떤 고난이 닥쳐도 신의 소명 위해 가야만 해"

    사제 부임을 일주일 앞둔 슐로스 성당의 부제이자 로라를 지키려는 인물.

4.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원작과의 차이점

소설판과 뮤지컬판은 상당히 다르다. 슈필스도르프(Spielsdorf)는 본래 로라 아버지의 친구이자 장군이었는데, 뮤지컬판에서는 로라와 나이대가 비슷한 성직자로 각색되었다[2]. 소설에서는 카르밀라만이 흡혈귀로 등장하는데, 뮤지컬판에서는 카르밀라를 부리는 흡혈귀 닉이 고유 인물로 등장한다. 로라의 아버지는 소설이 끝나는 순간까지도 살아있지만 뮤지컬판에서는 일찍이 흡혈귀의 습격으로 죽었다. 닉은 로라의 아버지를 죽였고, 카르밀라는 홀로 남겨진 로라를 살리기 위해 닉과 불리한 계약을 맺는다. 카르밀라는 닉을 따라다니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원작의 베르타 라인펠트, 보르덴부르크 남작, 페로돈 부인, 라퐁텐 양은 삭제되었다. 뮤지컬 속 로라의 집에는 지도가 있는데, 이는 소설판에서 보르덴부르크 남작이 가져온 지도를 원본으로 삼은 듯 보인다.

5. 넘버

M01. 마차 _ 닉, 카르밀라, 로라, 슈필스도르프
M02. 나는 기다려 _ 로라
M03.누굴까 _ 로라, 카르밀라
M04. 악마의 입술 _ 슈필스도르프
M05. 뭐든 물어보세요 _ 닉
M06. 지도 위를 걸어 _ 로라, 카르밀라
M07. 서쪽나라 소녀 _ 카르밀라
M08. 가까이 있어 _ 닉, 슈필스도르프
M09. 맹세해 _ 카르밀라, 로라
M10. 너는 누구지 _ 로라, 카르밀라
M11. 본능에 따라 _ 카르밀라, 슈필스도르프
M12. 서쪽나라 소녀 Rep. _ 카르밀라, 닉
M13. 너를 되찾을 시간 _ 닉
M14. 영원히 너를 _ 카르밀라
M15. 기억의 방 _ 로라, 카르밀라
M16. Requiem _ 슈필스도르프, 카르밀라, 로라, 닉
M17. 눈부신 날에 _ 카르밀라, 로라

6. 출연진

6.1. 2017년 리딩 쇼케이스

2017.11.30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극장 소극장[3]

*카르밀라: 이예은
*로라: 이지수
*닉: 조풍래
*슈필스도르프: 안지환

6.2. 2019년 리딩 쇼케이스

2019.03.23 ~ 03.24 충무아트센터 소극장 블루[4]

*카르밀라: 이예은
*로라: 이지수
*닉: 장민수
*슈필스도르프: 양승리
*해설자: 이휴

6.3. 2024년 초연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9px 0 10px; border-radius: 0 0 8px 8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4b384c,#111,#111,#553e48); color: #b6a2b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1px 0"
파일:카르밀라 초연 유주혜.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전민지.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정예인.jpg
카르밀라 | 유주혜 카르밀라 | 전민지 카르밀라 | 정예인
파일:카르밀라 초연 이서영.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박새힘.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이재림.jpg
로라 | 이서영 로라 | 박새힘 로라 | 이재림
파일:카르밀라 초연 송영미.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민도희.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김서연.jpg
닉 | 송영미 닉 | 민도희 닉 | 김서연
파일:카르밀라 초연 한상훈.jpg 파일:카르밀라 초연 반정모.jpg 파일:카르밀라 벡터화 로고.svg
슈필스도르프 | 한상훈 슈필스도르프 | 반정모
}}}}}}}}} ||

7. 기타

7.1. 공식 영상

7.2. 재관람 혜택

||<-2><tablewidth=600><tablebordercolor=#4b384c><rowbgcolor=#111><tablebgcolor=#fff,#1c1d1f><rowcolor=#b6a2bd> 초연 🔍 카르밀라 조사일지 ||
4회 적립
전 배우 포토카드 SET + 40% 할인권
8회 적립
미니 실황 OST + 50% 할인권

7.3. MD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4b384c><rowbgcolor=#111><tablebgcolor=#fff,#1c1d1f><rowcolor=#b6a2bd> 공연 || 제품명 || 가격 || 실물/링크 ||
초연 📕 프로그램북 10,000원

8. 둘러보기

황예슬 작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rowcolor=#fff> 연도 작품
2016 전설의 리틀 농구단
2024 카르밀라
에밀
}}}}}}}}} ||



[1] 브램 스토커의 《 드라큘라》보다 이전인 1872년에 출판되었다. [2] 정식 초연 이전의 리딩 쇼케이스에서는 원작과 동일한 설정이었다. [3] 아르코-한국예술종합학교 뮤지컬아카데미 4기 졸업발표회 [4] 뮤지컬하우스 블랙앤블루 시즌5 [추가캐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