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축구 대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프로팀 참가 대회 | |||
J리그 | 천황배 | YBC 르방컵 | 후지필름 슈퍼컵 | |
프로팀 미참가 대회 | ||||
일본 풋볼 리그 | 일본 지역 축구 리그 |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 | |
|
|
<colbgcolor=#042666><colcolor=#fff> 정식 명칭 |
천황배 JFA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 天皇杯 JFA 全日本サッカー選手権大会 |
영문 명칭 | JFA Emperor's Cup |
창설 | 1921년 |
참가 구단 수 | 일본축구협회에 등록한 모든 구단 |
최근 우승 구단 | 비셀 고베 (2024) |
최다 우승 구단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게이오기주쿠대학 (8회) |
웹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100회(2020년) 천황배 포스터 |
일본의 FA컵에 해당하는 대회. 코파 델 레이처럼 명칭에 군주의 칭호가 들어간다. 일본축구협회에 소속된 프로, 아마추어 축구 구단이 참가하여 토너먼트 단판제로 승부를 가린다.
일본 내에서는 보통 ' 천황배(天皇 杯,てんのうはい, 덴노하이)'라는 약칭으로 부르며,[1] 결승전 매치를 항상 이듬해 1월 1일(신정)에 치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2. 역사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대회로 1921년부터 개최되었다. 1945년 까지는 일본 본토팀 뿐만 아니라 식민지였던 조선, 대만, 만주의 팀들도 참가하였다.1926년 다이쇼 천황의 사망으로 6회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고, 1934년 14회 대회는 마닐라 극동아시아대회 때문에 개최되지 않았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5년 동안 개최되지 않다가 1946년 잠시 개최되지만 이후 패전 후유증으로 2년 동안 대회가 중단된다. 1949년 29회 대회부터는 한 차례도 중단되지 않고 지금까지 이어진다.
원래 결승전은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개최되어왔으나 2020 도쿄 올림픽이 확정됨에 따라서 경기장 보수에 들어갔고 2014 시즌부터 2018 시즌까지 닛산 스타디움,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사이타마 스타디움등에서 열렸다.
2019 시즌부터 결승전은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개최된다. 2022년 대회는 10월 16일[2] 닛산 스타디움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3. 우승 트로피
4. 참가 구단
2023년 기준 총 88팀이 참가한다.J1리그, J2리그, 각 현마다 개최되는 지역예선 우승 팀, 아마추어 시드(1팀) 이 참가한다.
- 47개 각 도도부현 지역예선 우승 팀 (47개팀), 아마추어 팀 중 특명 지명 (1개팀) = 총 48개팀 1회전 진출
AFC 클럽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다는 조건 하에 우승을 한 팀은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의 진출권이 주어진다. 만약, 우승팀이 J1리그에서 3위내에 들어가 있거나 AFC 클럽 라이센스가 없으면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의 진출권은 천황배 준우승팀이 아닌 J1리그에서 3위를 한 팀에게 양도되고, AFC 챔피언스 리그 2의 진출권이 J1리그 4위팀에게 이전된다.
4.1. 대진 방식
- 1회전(예선) : 도도부현 대회 우승팀 (47팀) + 아마추어 시드 (1팀)[3]
- 2회전(64강) : 1회전 승자 (24팀) + J1리그 소속팀 (18팀) + J2리그 소속팀 (22팀)
- 3회전(32강) : 2회전 승자 (32팀)
- 4회전(16강) : 3회전 승자 (16팀) [4]
- 준준결승 : 4회전 승자 (8팀)
- 준결승 : 준준결승전 승자 (4팀)
- 결승 : 준결승전 승자 (2팀)[5]
5. 역대 우승 구단
연도 | 우승 | 준우승 |
1921 | 도쿄 축구단 | 미카게 축구단 |
1922 | 나고야 축구단 | 히로시마 고등 사범 학교 |
1923 | 아스트라 클럽 | 나고야 축구단 |
1924 | 리조 클럽 | 전미카게 사범클럽 |
1925 | 리조 축구단 | 도쿄 제국 대학 |
1926 | 다이쇼 천황의 사망으로 중지 | |
1927 | 고베 제일중 클럽 | 리조 클럽 |
1928 | 와세다 대학 WMW | 교토 제국 대학 |
1929 | 간세이가쿠인대학 | 호세이대학 |
1930 | 게이오 BRB | |
1931 | 도쿄대학 LB | 고분 중학[6] |
1932 | 게이오 클럽 | 요시노 클럽 |
1933 | 도쿄 OB클럽 | 센다이 축구 클럽 |
1934 | 마닐라 극동대회로 중지 | |
1935 | 전경성 축구단[조선] | 도쿄문리과대학 |
1936 | 게이오 BRB | 보성전문학교[조선] |
1937 | 게이오기주쿠대학 | 고베 상업 대학 |
1938 | 와세다대학 | 게이오기주쿠대학 |
1939 | 게이오 BRB | 와세다 대학 |
1940 | 와세다 대학 WMW | |
1941 | 제2차 세계대전으로 중지 | |
1942 | ||
1943 | ||
1944 | ||
1945 | ||
1946 | 도쿄대학 LB | 고베 상업 대학 |
1947 | 종전 후 사회불안으로 중지 | |
1948 | ||
1949 | 도쿄대학 LB | 간사이 클럽 |
1950 | 칸세이가쿠인대학 | 게이오기주쿠대학 |
1951 | 게이오 BRB | 오사카 클럽 |
1952 | 게이오기주쿠 대학 | |
1953 | 칸세이가쿠인대학 | |
1954 | 게이오 BRB | 도요 공업[9] |
1955 | 칸세이가쿠인대학 | 주오 클럽 |
1956 | 게이오 BRB | 야와타 제철 |
1957 | 주오대학 클럽 | 도요 공업 |
1958 | 칸세이가쿠인대학 | 야와타 제철 |
1959 | 주오대학 | |
1960 | 후루카와전공[10] | 게이오 BRB |
1961 | 주오대학 | |
1962 | 주오대학 | 후루카와전공 |
1963 | 와세다대학 | 히타치 제작소[11] |
1964 |
야하타제철 후루카와전공 |
(공동 우승) |
1965 | 도요 공업[12] | 야와타 제철 |
1966 | 와세다대학 | 도요 공업 |
1967 | 도요 공업 | 미쓰비시중공[13] |
1968 | 얀마[14] | 미쓰비시중공 |
1969 | 도요 공업 | 릿쿄대학 |
1970 | 얀마 | 도요 공업 |
1971 | 미쓰비시중공 | 얀마 |
1972 | 히타치 제작소 | 얀마 |
1973 | 미쓰비시중공 | 히타치 제작소 |
1974 | 얀마 | 에이다 산업 |
1975 | 히타치 제작소 | 후지타공업[15] |
1976 | 후루카와전공 | 얀마 |
1977 | 후지타공업 | 얀마 |
1978 | 미쓰비시중공 | 도요 공업 |
1979 | 후지타공업 | 미쓰비시중공 |
1980 | 미쓰비시중공 | 다나베 제약 |
1981 | 니혼 강관 | 요미우리 클럽[16] |
1982 | 야마하 발동기[17] | 후지타공업 |
1983 | 닛산 자동차[18] | 얀마 |
1984 | 요미우리 클럽 | 후루카와전공 |
1985 | 닛산 자동차 | 후지타공업 |
1986 | 요미우리 클럽 | 니혼 강관 |
1987 | 요미우리 클럽 | 마츠다 SC |
1988 | 닛산 자동차 | 후지타공업 |
1989 | 닛산 자동차 | 야마하 발동기 |
1990 | 마쓰시타 전기산업[19] | 닛산 자동차 |
1991 | 닛산 자동차 | 요미우리 클럽 |
1992 | 닛산 FC 요코하마 마리노스 | 요미우리 베르디[20] |
1993 | 요코하마 플뤼겔스 | 가시마 앤틀러스 |
1994 | 벨마레 히라쓰카 | 세레소 오사카 |
1995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996 | 베르디 가와사키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997 | 가시마 앤틀러스 | 요코하마 플뤼겔스 |
1998 | 요코하마 플뤼겔스[21] | 시미즈 S펄스 |
1999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000 | 가시마 앤틀러스 | 시미즈 S펄스 |
2001 | 시미즈 S펄스 | 세레소 오사카 |
2002 | 교토 퍼플 상가 | 가시마 앤틀러스 |
2003 | 주빌로 이와타 | 세레소 오사카 |
2004 | 도쿄 베르디 1969 | 주빌로 이와타 |
2005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시미즈 S펄스 |
2006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감바 오사카 |
2007 | 가시마 앤틀러스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008 | 감바 오사카 | 가시와 레이솔 |
2009 | 감바 오사카 | 나고야 그램퍼스 |
2010 | 가시마 앤틀러스 | 시미즈 S펄스 |
2011 | FC 도쿄[22] | 교토 상가 |
2012 | 가시와 레이솔 | 감바 오사카 |
2013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014 | 감바 오사카 | 몬테디오 야마가타 |
2015 | 감바 오사카 | 우라와 레즈 |
2016 | 가시마 앤틀러스 | 가와사키 프론탈레 |
2017 | 세레소 오사카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2018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베갈타 센다이 |
2019 | 비셀 고베 | 가시마 앤틀러스 |
2020 | 가와사키 프론탈레 | 감바 오사카 |
2021 | 우라와 레즈 | 오이타 트리니타 |
2022 | 방포레 고후[23] | 산프레체 히로시마 |
2023 | 가와사키 프론탈레 | 가시와 레이솔 |
6. 여담
- 35년 15회 대회에서 조선의 전경성축구단이 우승하게 되는데 이것은 일본팀이 아닌 팀이 우승한 유일한 기록이다. 그 외에는 31년 11회 대회에서 대만의 고분 중학팀이 준우승하였고, 36년 16회 대회에서는 조선의 보성전문학교( 고려대학교 전신)가 게이오 BRB에게 아까운 3:2 패배로 준우승하기도 했다.
- 2002년 82회 대회 교토와 가시마와의 결승전[24]에서는 계약기간이 끝난 박지성이 출전, 0:1로 뒤지던 후반 7분 헤딩으로 동점골을 넣으며 팀의 우승을 이끈다.[25] 교토는 1993년 J리그 출범 이후 간사이 지역 연고 구단 중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간사이 지역의 축구 저변이 확대되어 감바 오사카(4회), 세레소 오사카, 비셀 고베(각각 1회) 등이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 여담으로 일본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는 야구라고 할수 있는데, 야구의 천황배는 프로야구도 도시대항야구(실업)도 고교야구도 아닌 도쿄 6대학 야구 연맹[26] 리그 우승팀에 주어진다.
- 같은 성격의 여자 축구 대회로 황후배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 고교팀도 참가했었지만, 2014시즌을 끝으로 출장자격이 폐지되었다.
[1]
한편, 한국의 스포츠 미디어에서는 '일왕배'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천황/칭호 표기 논쟁 문서를 참조.
[2]
11월
카타르 월드컵 개최로 인해 앞당겨짐.
[3]
보통 전년도
JFL 우승팀이 대상이 되나, 간혹 JFL 우승팀이 도도부현 대회도 우승하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에는 전년도 대학축구대회 우승팀이 대신 본선에 직행한다.
[4]
16강 대진은 추첨으로 결정한다.
[5]
1969년 49회 대회부터 매년 1월 1일,
도쿄 국립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2014년 94회 대회는
2015년 AFC 아시안컵의 참가 준비 기간이 필요해서 결승전 날짜를 2015년 1월 1일에서 2014년 12월 13일로 앞당겨 치렀다가 95회 대회부터 1월 1일로 환원하였다. 그리고
2020 도쿄 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도쿄 국립 경기장을 폐장하고 리모델링하면서 94회부터 98회까지 부터 한시적으로 결승전을 다른 경기장에서 치르게 되었다. 2018년 98회 결승전은
가시마 앤틀러스가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는 바람에 12월 9일에 야간경기로 개최되었다.
[6]
주고쿠 지방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구제중학교 팀으로 고분중학교는 1945년 미군의 공습으로 괴멸되었다고 한다.
[조선]
조선 팀
[조선]
[9]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전신.
[10]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의 전신
[11]
가시와 레이솔의 전신.
[12]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전신
[13]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의 전신.
[14]
세레소 오사카의 전신
[15]
쇼난 벨마레의 전신.
[16]
도쿄 베르디의 전신.
[17]
주빌로 이와타의 전신
[18]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전신
[19]
감바 오사카의 전신
[20]
J리그 정식 출범 전년도로 기업명과 클럽명을 절충한 형태가 사용되었다.
[21]
이 대회 결승전을 끝으로 요코하마 마리노스에 흡수합병된다.
[22]
최초 J2리그 소속으로 천황배 우승
[23]
J2리그 소속으로 우승한 두 번째 구단이자 최초의 시민구단
[24]
2003년 1월 1일에 열렸다.
[25]
교토의 이 대회 우승은 팀 창단 후 첫 우승이자 유일한 우승이었고, 박지성은 이 대회 결승전이 열리기 직전인 시점에서 계약만료 상태라 무보수였다. 당연히 교토 측에서는 박지성에게 이 경기에 뛴 것에 대한 급여와 보너스를 두둑히 주었다. 괜히 당시 교토 서포터들이 박지성을 좋아했던게 아니다.
[26]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메이지대학,
도쿄대학,
호세이대학,
릿쿄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