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30 21:44:41

천불천탑

1. 개요2. 대중매체

1. 개요


운주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와 용강리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의 유명한 유물.

현재 남은 석탑은 대략 18기, 탑 아래 부분만 간신히 남은 것이 3기, 모양이 완전한 불상이 57기, 불완전한 불상이 43기 그 외 기타 석물을 합치면 총 1백여 기 정도가 현존하고 있다.

누구에 의해 언제 만들었는지 알 수 없다. 불상의 모양도 정석적인 것이 아니라 기기묘묘하기 때문에 온갖 상상력을 자극하기 때문인지 여러가지 낭설이 많다.

국가나 종단, 부자 같은 단일한 창건 주체가 주도하여 사람들을 동원해 만든 것이 아니라, 수많은 민중들이 저마다 극락왕생을 바라며[1] 각자 원하는대로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조선 후기 나타났다고 여겨지는 민중 불교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역사스페셜에서도 소개되었는데, 도선이 지은 것으로 한반도의 지형이 동고서저로 다소 동쪽으로 쏠려있는 바람에 한반도의 좋은 운수가 일본으로 다 쓸려 갈 것을 걱정해서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운주사 지역에 천불천탑을 세우게 되었다는 설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학자 이승한이 쓴 고려 무인 이야기 3권에서는 이 천불천탑에 후백제 풍의 건축 양식이 보인다면서, 후백제가 망한 뒤에 그 유민들이 세웠거나 아니면 1236년 전라도 담양에서 이연년 형제가 일으킨 백제부흥운동에 가담한 민중들이 성공을 기원하면서 각자 천불천탑을 만들던 도중에 백제부흥운동이 고려 관군에게 진압당해 실패했다는 소식을 듣자 낙담해서 천불천탑 완공을 포기하고 흩어졌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다.

탑과 불상들의 배치 양식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렇다할 정설을 찾지는 못하고 있다. 민초들이 자발적으로 각자 탑과 석불을 조성해왔다고 추정되는 만큼 배치 양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설도 있다.

2. 대중매체

2.1. 퇴마록

도선 국사의 예언에 따라 우리 나라의 지세를 바로잡으며, 중국의 지세를 가져오고, 일본의 지세를 누르려는 목적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운주사의 와불을 일으키면 한국의 지세가 융성한다는 떡밥을 퍼뜨린다. 그러나 사실 와불은 중세 시대의 전략 무기 정도로 일본이 가라앉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작중 등장 인물 몇몇이 와불을 세우는 것을 기도하지만 한빈 거사가 세월이 흘러 강산이 변해서 오히려 와불을 일으키면 한국이 가라앉을 수도 있다고 꾸짖는 걸로 끝났다.[2]

그러나 운주사의 와불은 암반에 새겨진 것이기 때문에 일으켜 세우기는 상당히 어렵다. 그래서 정선생과 임악 거사는 와불을 떼어내기 위해 특수한 폭약(수평으로 암반을 잘라낼 수 있는 폭약)과 기중기를 이용하려 했다. 암반에서 와불을 떼어낸 후 기중기로 일으키려 했던 것.

2.2. 장길산

소설 장길산의 후반부 내용이 천불천탑의 와불을 모티브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에필로그에서 하룻밤 사이에 천개의 불상을 세우면 세상이 뒤집힌다는 말을 믿고 백성들이 999개의 불상을 세운 후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키려 하나 와불이 일어나기 직전에 누군가가 수고를 견디지 못하고 동이 텄다고 거짓말을 하면서 모든 사람이 뿔뿔이 흩어지고 만다. 이 내용은 단순한 에필로그를 넘어, 미륵도의 난이나 구월산 토벌 부분과 오버랩된다.

장길산 만화에서는 이 천불에 대한 전설이 등장한다. 사람들이 미륵의 계시를 받고 정토를 만들기 전 미륵불을 만들려 하니 미륵의 모습을 몰라 쩔쩔매던 중 한 노인이 미륵은 바로 우리 자신이라고 대답한다. 이후 999개의 미륵을 만들고 세운 뒤 마지막 미륵을 세우던 중 닭이 울어서 마지막 미륵은 세워지지 못했다.



[1] 그리고 고려 말 왜구의 침입에 임진왜란을 겪었던 민초들이 일본에 대한 분노를 담아서. [2] 단 에필로그에서 한빈 거사가 일부러 거짓말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언급을 퇴마사들이 하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