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투표: KST 2016년 4월 13일 6시 ~ 18시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
진행 | |||
선거구 획정 (과정) | 주요 이슈 | 여론조사 | 출구조사 | |
개표 | ||||
지역구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비례대표 | ||||
결과 분석 | ||||
<colbgcolor=#f5f5f5,#2d2f34> 정당별 | <colbgcolor=#fff,#1c1d1f>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 · 정의당 | |||
지역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관련 문서 | ||||
제20대 국회 · 제20대 국회의원 ·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 }}}}}} |
1. 개요
광주광역시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정리한 문서.2. 결과 표
지역구 | |
[[국민의당(2016년)| |
|
8석 | |
비례대표 | |
[[국민의당(2016년)| |
|
5곳 |
정당별 광주광역시 지역구 득표율 | ||
정당 | 득표수 | 의석 |
득표율 | ||
[[국민의당(2016년)| |
398,594 | 8석 |
56.33% | ||
|
241,276 | - |
34.10% | ||
[include(틀:무소속)] | 21,075 | - |
2.98%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20,925 | - |
2.96% | ||
[[새누리당| |
15,720 | - |
2.22% | ||
[[정의당| |
11,109 | - |
1.57% | ||
[include(틀:민주당(2014년))] | 1,463 | - |
0.21% | ||
선거인 수 | 1,158,221 |
투표율 61.63% |
투표 수 | 713,788 | |
무효표 수 | 6,210 |
2.1. 지역구
광주광역시 개표 결과 (지역구) | |||||
국회의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 | 국민의당 | 표차(1위 / 2위) | 당선자 |
의석수 | 0석 | 0석 | 8석 | ||
득표수 (득표율) |
241,276 (34.10%) |
15,720 (2.22%) |
398,594 (56.33%) |
157,318 (22.23%) |
|
동구·남구 갑 | 28.98% | 2.34% | 55.62% | 22,179 (26.64%) | 장병완 (3선) |
동구·남구 을 | 39.44% | 2.77% | 54.70% | 12,054 (15.27%) | 박주선 (4선) |
서구 갑 | 35.32% | 2.61% | 56.23% | 15,076 (20.91%) | 송기석 (1선) |
서구 을 | 31.48% | 2.43% | 54.52% | 17,996 (23.03%) | 천정배 (6선) |
북구 갑 | 23.34% | - | 70.80% | 44,048 (47.46%) | 김경진 (1선) |
북구 을 | 35.55% | 2.28% | 55.29% | 24,503 (19.74%) | 최경환 (1선) |
광산구 갑 | 34.23% | 3.91% | 53.03% | 14,487 (18.81%) | 김동철 (4선) |
광산구 을 | 43.25% | 1.91% | 50.14% | 6,975 (6.90%) | 권은희 (2선) |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광산구 을 (43.25%)
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율 지역구: 북구 갑 (23.34%)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 지역구: 북구 을 (44,138표)
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 지역구: 북구 갑 (21,673표)
국민의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북구 갑 (70.80%)
국민의당 최소 득표율 지역: 광산구 을 (50.14%)
국민의당 최다 득표 지역구: 북구 을 (68,641표)
국민의당 최소 득표 지역구: 서구 갑 (40,550표)
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율 지역구: 북구 갑 (23.34%)
더불어민주당 최다 득표 지역구: 북구 을 (44,138표)
더불어민주당 최소 득표 지역구: 북구 갑 (21,673표)
국민의당 최다 득표율 지역구: 북구 갑 (70.80%)
국민의당 최소 득표율 지역: 광산구 을 (50.14%)
국민의당 최다 득표 지역구: 북구 을 (68,641표)
국민의당 최소 득표 지역구: 서구 갑 (40,550표)
2.2. 비례대표
광주광역시 개표 결과(비례대표) | ||||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 | 국민의당 | 정의당 |
득표수 (득표율) |
200,628 (28.59%) |
20,124 (2.86%) |
374,308 (53.34%) |
51,390 (7.32%) |
동구[1] | 26.85% | 3.79% | 55.30% | 6.52% |
남구[2] | 26.82% | 2.86% | 54.97% | 6.65% |
서구 | 28.26% | 2.91% | 53.30% | 8.20% |
북구 | 28.17% | 2.63% | 54.97% | 6.57% |
광산구 | 30.99% | 2.84% | 49.81% | 8.14% |
2012년 19대 총선/2016년 20대 총선(비례) 권역별 득표율 비교 | |||||||
진보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 중도 (국민의당) | 보수 (새누리당, 자유선진당) | |||||
선거 |
19대 총선 (민주당+통진당) |
20대 총선 (더민주+정의당) |
증감률 |
20대 총선 (국민의당) |
19대 총선 (새누리+선진당) |
20대 총선 (새누리당) |
증감률 |
득표율 |
502,826 (87.52%) |
252,018 (35.91%) |
- 250,808 {▼51.61} |
374,308 (53.34%) |
37,787 {6.57%} |
20,124 {2.86%} |
- 17,663 {▼3.71} |
3. 총평
보이는것처럼 그야말로 국민의당의 압승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수도권에서 초압승을 거뒀던 성과와는 대조적으로 대참패를 거둔 지역.특히 국민의당 입장에서는 어려운 지역구라고 예측되었던 광산구 을에서 조차 현역이었던 권은희 의원이 50%를 넘는 득표율로 승리하면서 국민의당 승리에 화룡점정을 찍었다.
지역 민심을 볼때, 광주 & 전남 지역 언론에서도 이번 결과에 매우 놀라워하는 상황이었다. 광주 & 전남의 표심이 이만큼 압도적이었음에 다들 놀라는 분위기.
결과적으로 볼 때는 더불어민주당의 호남 읍소 전략이 전혀 먹히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현역 의원 심판론이 더불어민주당 심판론에 희석되며 먹히지 않았음을 보여줬다.
같은 날 2016년 재보궐선거로 당선된 국민의당 소속 동구청장을 제외하고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광역지자체장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고민할 정도로...
지역 정가와 중앙정치에서의 창구 역할과 지역 민심 합류로의 고민이 실제 이루어지고 있다. 비례 정당 득표율도 50%를 넘기면서 더불어민주당을 20%대 후반대로 밀어버리면서 그야말로 새로운 맹주의 정당 탄생이 되었다.
그에 비해 더불어민주당은 서구 을 지역구에 삼성전자 공장 유치 공약과 문재인 전 대표의 방문까지 강행하며 판세를 바꿔보려 노력했으나 결국 실패했다.
애초에 당에 잔류했던 강기정 전 의원과 박혜자 전 의원을 공천에서 탈락시킨 뒤 힘이 부족한 정치 신인들만으로 공천했다는 것 자체가 실패였다는 평이 높았다. 이와 반대로 인지도가 높고 정치 경험이 많은 광산구 을의 이용섭 후보도 중앙당 선거에 집중해서 오히려 자기 지역구 관리를 못했다는 평가이다.
다만 국민의당도 장기적으로 계속 안주할 수 없는 것이, 앞으로 광주 지역 현역 의원들의 의견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정치 지향적 여러 지점들과 과정에 얼마나 호흡을 맞추어 줄 것이 관건이다.
물론 여기에 광주 민심이 얼마나 호응을 해줄 것인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지점이다. 또한 금년 늦가을부터 시작될 대선 정국에서 광주 민심이 어느 선택을 할 것인지도 변수이다.
새누리당은 전라북도, 전라남도와 달리 존재감이 아예 없는... 선거였다. 광주 지역에서 2.86%의 정당 지지도를 얻었다. 북구 갑을 제외한 7개 선거구에 후보를 냈으나 최다 득표율 후보가 광산 갑의 3.91%( 정윤 후보), 최저 득표율 후보가 광산 을의 1.91%( 심정우)였으니 말 다했다. 또한 새누리당에는 경쟁력 있는 후보가 전무[3]했다는 것이 문제였다. 시작부터 포기를 해버리고 죄다 헛발질 공천을 해버리니 이 모양일 수 밖에..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했던 친이계 정용화 후보는 국민의당으로 당을 옮겼지만 공천에서 떨어졌다.
지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이정현 후보는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때 전남 순천으로 지역구를 옮겼다.
그밖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의 경쟁이 치열해서 새누리당은 물론 제3정당 후보들은 의미있는 득표를 올리지도 못했다. 지역구에 출마한 다른 후보들 중 두 자리수 득표율을 올린 후보가 없다.
옥중 출마한 전 시장 출신 강운태 후보가 동/남 갑 선거구에서 7.62%를 기록한 것이 제3후보의 최다득표율이고 그 뒤가 서구 을 선거구 정의당 강은미 후보의 5.68%. 이 2명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5%의 벽을 넘지 못했다.
4. 지역구 국회의원의 당적 변경
- 제20대 국회의원의 광주광역시 문단을 참조할 것.
2020년 2월 1일 기준 광주광역시의 국회의원 | ||
|
||
|
||
1석 | 3석 | |
[[대안신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3석 | 1석 |
2020년 4월 1일 기준 광주광역시의 국회의원 | ||
|
||
|
||
1석 | 5석 | |
[[국민의당(2020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석 | 1석 |
5. 관련 틀
광주광역시 제20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동·남 갑 | 동·남 을 | 서 갑 | 서 을 |
장병완 | 박주선 | 송갑석 | 천정배 | |
북 갑 | 북 을 | 광산 갑 | 광산 을 | |
김경진 | 최경환 | 김동철 | 권은희 | |
* 서 갑 송기석 당선무효 (2018.2.8.) | ||||
◀
제19대
제21대 ▶
|
}}} }}}}}} |
[1]
선거구 조정을 보정한 실제 행정구역 안에서의 투표 결과
[2]
선거구 조정을 보정한 조정한 실제 행정구역 안에서의 투표 결과
[3]
일설에서는 모 후보가 5.18 당시 진압군 출신이었다는 소문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