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국민대)역 | ||
북한산우이 방면
북한산보국문 ← 1.1 ㎞ |
우이신설선 (S119) |
신설동 방면
성신여대입구 1.2 ㎞ → |
역명 표기 | ||
우이신설선 |
정릉 (국민대) Jeongneung (Kookmin Univ.) 貞陵 / 贞陵 / [ruby(貞陵, ruby=チョンヌン)] |
|
주소 |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지하122 ( 정릉동 996-330) | ||
운영 기관 | ||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 | |
개업일 | ||
우이신설선 | 2017년 9월 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S119번.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지하122 ( 정릉동 996-330)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 |
역명은 해당 역이 위치한 성북구 정릉동에서 따왔고 아리랑고개 사거리와 아리랑고개입구 삼거리 사이에 있다. 내부순환로와 교차하므로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이 완공된다면 환승역이 될 수 있다.
성북구에서 이 역의 역명을 "정릉역"으로 명명하여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정릉을 테마로 한 창의문화역을 만들 수 있게 협조해달라는 요청을 서울시에 제출한 바 있고, 2016년 1월에 실시한 주민 선호도에서도 1. 정릉역, 2. 세계유산정릉역 두 개의 후보 중 정릉역이 총 105표 중 64표(60.95%)를 얻어 1순위가 되었다. 서울시 지명위원회를 통해 최종 역명 역시 정릉역으로 확정되었다.
병기역명은 유상판매로 국민대입구가 병기되게 되었고, 이후 국민대로 변경되었다.
국민대학교의 경우 북한산보국문역이 더 가까우나, 버스 환승을 통해 가기에는 정릉역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이쪽으로 병기역명을 구매하였다.[1] 실제 학교 기준 동쪽으로 등하교를 하는 학생들은 절대다수가 정릉역을 거쳐 등하교[2]했기 때문에, 더 가까운 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병기역명에 대한 거부감은 적은 편이다. 다만 향후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이 개통된다면 북한산보국문역보다 더 가까운 위치에 역이 새로 생기기 때문에 병기역명에서 빠질 가능성이 크다.
분당선 선정릉역 명칭 제정 시 '정릉역'이 될 뻔 했는데, 이 동네의 임팩트가 너무 크기 때문에 선릉역과의 중복에도 불구하고 선정릉역이 되었다. 결국 '정릉역'이라는 이름은 이 곳에서 무난하게 차지하였다.
1, 2번 출입구 모두 캐노피로 지어졌으며, 대합실이 메자닌층(복층)형태로[3] 시공되어 좁은 역사크기에 비해 개방감을 확보하였다. 대합실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건너갈 수 있다.
다른 역들이 밋밋한 마감재를 활용한 것에 비해 이 역만큼은 평범한 철판이 아닌 돌로 마감재를 했다.
이 역과 북한산보국문역 사이에 2연속 드리프트가 있어, 소리가 꽤 시끄럽게 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KB국민은행 북악지점, 내부순환로 정릉램프, 서울숭덕초등학교가 붙어있다. 인근에 아리랑시장, 정릉힐스테이트아파트 외에 소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몰려있다. 그리고 병기역명이 '국민대입구'라고 되어있지만 실제 국민대학교로 가려면 2km 환승통로를 타거나 느려터진 버스를 타야 한다. 그러니까 일단 정릉역 1번 출구로 나오고 바로 앞에 보이는 좌회전 신호에 따라 반대편으로 건너고 나면 그냥 닥치고 뛰어야 한다.길이 조금 더 험하기는 하지만 북한산보국문역에서 1km 가량을 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b7c450><bgcolor=#b7c450> 연도 ||
||<bgcolor=#b7c450> 비고 ||
2017년 | 6,983명 | [4] |
2018년 | 7,792명 | |
2019년 | 8,454명 | |
2020년 | 6,801명 | |
2021년 | 7,280명 | |
2022년 | 8,250명 | |
2023년 | 8,853명 | |
2024년 | 8,944명 | |
출처 | ||
서울열린데이터광장 |
- 2024년 기준으로는 우이신설선에서 3번째로 수요가 많은 역이다. 바로 다음역이 성북구의 중심지 성신여대입구역임에도 수요가 정말 많은데, 정릉역과 다음 역 사이에 제법 험한 고개인 '아리랑고개'가 있기 때문. 이 고개를 버스를 타고 넘거나, 자전거나 도보로 넘어다니기엔 너무 불편해 단거리임에도 수요가 많은 것이다. 그리고 내부순환로 아래로 지나가는 정릉로에서 환승하는 수요도 일부 있다.
5. 승강장
우이신설선 승강장 |
북한산보국문 ↑ | |||
하 | ㅣ | ㅣ | 상 |
↓ 성신여대입구 |
상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솔샘· 삼양· 4.19민주묘지· 북한산우이 방면 |
하 | 성신여대입구· 보문· 신설동 방면 |
6. 연계 버스
6.1. 아리랑로
6.1.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정릉입구.정릉역(08264) ||
간선 | |
지선 | |
심야 |
6.1.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정릉입구.정릉역(08263) ||
간선 | |
지선, 맞춤 | |
심야 |
6.2. 정릉로(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119)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120) ||
간선 | |
지선 | |
마을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숭덕초교(08257) ||
지선 |
7. 둘러보기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한산우이 -
솔밭공원 -
4.19민주묘지 -
가오리 -
화계 -
삼양 -
삼양사거리 -
솔샘 -
북한산보국문 -
정릉 -
성신여대입구 -
보문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북한산보국문역의 경우
서경대학교가 좀 더 가까워서 역명경쟁에서 확실히 이긴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안전빵으로 정릉역을 노린 측면도 있다. 게다가 '정릉'이란 명칭의 상징성도 고려했을 것이고. 국민대는 1992년에
길음역에 병기역명으로 국민대입구를 붙이려 했으나 서경대에서 강하게 반발해 무산된 바 있다. 어차피 두 학교 모두 길음역에서 거리가 멀어서 어느 학교가 들어가도 말이 나올 수밖에 없었지만.
[2]
다만 정릉역에서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버스들을 타기 위해선(정릉2동주민센터) 5분정도 걸어야 하는데 중간에 육교를 이용해야(숭덕초등학교) 되기 때문에 소요시간대비 환승 난이도는 쉬운편은 아니다.
[3]
6호선의
버티고개역과 비슷한 구조
[4]
개통일인 9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2023년~
[비공식]
비공식으로 2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골목길에서 양방향 승하차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