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 초판본[1] (대문출판사) |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clearfix]
1. 개요
강신재의 단편소설. 1960년 사상계에 발표했다. 여고생 윤숙희가 어머니의 재혼으로 비혈연 오빠가 된 이현규에게 묘한 감정을 느끼게 되고 그것이 사랑임을 깨닫게 되면서 겪는 갈등과 해소를 숙희의 시점에서 그렸다.[age(1960-01-01)]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세련된 문장으로 숙희와 현규의 순수한 사랑을 표현하였다. 외래어 표기법, 예스러운 말투의 구어체 대사,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없는 것 외에는 시대를 타지 않는 상황 묘사 덕분에 현대에 읽어도 위화감이 적다.
지금 읽어도 어색하지 않은 것에는 주인공들의 집안 배경 설정이 한몫 했다. 주인공들은 지금 기준으로도, 당시 기준으로도 대단한 상류층이다. 1960년 기준으로 집에 냉장고가 있고 코카콜라, 치즈, 크래커를 꺼내 먹는 것은 엄청난 부잣집에서나 가능한 사치였다. 현규의 아버지이자 대학 교수인 무슈 리는 주인공에게 비싼 손목시계를 선물하기도 한다. 게다가 작중에서 무슈 리가 외국 여행 중이라는 서술이 나오는데 당시에는 상류층이라고 해도 여권을 발급받는 절차 자체가 몹시 까다로웠고 관광 목적의 단순한 해외 여행은 거의 금지되었다. 해외 여행 자유화가 되기 훨씬 이전인 것을 감안하면 범상치 않은 집안인 것을 알 수 있다. 현규의 친구인 의대생 지수는 K장관의 아들이고 자가용으로 지프차를 굴린다. 지수의 집은 우스꽝스러운 담벼락으로 둘러싸인 대저택이다. 1960년의 사람이 2000년대와 큰 차이 없는 일상생활을 영위한다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상류층임을 보여준다.
젊은 느티나무를 읽으면서 현대 배경을 상상하다가 현규가 화가 나서 숙희의 뺨을 때리는 장면에 가서야 이게 [age(1960-01-01)]년 전 작품이라는 것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다.
어두운 한국 현대사와 이데올로기 문제에 치중한 한국 문학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60년 사상계 1월호에 실렸는데 바로 화제가 되어 연인들 사이에서 '비누 냄새'라는 단어가 유행했다.
2. 명대사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는 첫 문장은 〈 날개〉의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를 아시오?"나 《 광장》의 "바다는 크레파스보다 진한, 푸르고 육중한 비늘을 무겁게 뒤채면서, 숨을 쉰다"만큼이나 유명하다. 때문에 동인계에서 곧잘 패러디된다." 편지를 거기 둔 건 나 읽으라는 친절인가?"라는 문장은 이 소설 최고의 명대사이며 동인계에서 '~한 것은 나 ~하라는 친절인가'라는 형식의 구문으로 응용한다.
"어딜 갔다 왔어?" 낮은 목소리에 힘을 주고 말한다. "..." "편지를 거기 둔 건 나 읽으라는 친절인가?" 그는 한발 한발 다가와서, 내 얼굴이 그 가슴에 닿을 만큼 가까이 섰다. "..." "어디 갔다 왔어?" (중략) 별안간 그의 팔이 쳐 들리더니 내 뺨에서 찰깍 소리가 났다. |
3. 모에 요소
1960년대 작품이 맞나 의심스러울 정도로 많은 모에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사실상 한국형 라이트 노벨의 효시처럼 여겨진다.주인공이자 화자이며 히로인인 윤숙희를 보면 재혼으로 인한 피가 섞이지 않은 여동생이라는 속성에 상류층 아가씨이며 명문 여고[2]의 메이 퀸으로 뽑힐 정도의 미모를 지녔다. 장관의 아들이라는 의대생 지수에게 러브레터를 받고 데이트하지만 데이트 내내 현규가 마음에 걸려 거절하며 오빠 현규에게 하는 행동을 보면 거의 브라더 콤플렉스다.
오빠 심부름을 할 때면 음료수를 엎지르는 등 도짓코 속성을 보이며 왜 자꾸 내 방에 들어오냐고 싫다 싫다 하면서도 정작 오빠가 오지 않으면 서운해하는 츤데레 속성 역시 겸비했다. 작품 후반에 가서는 의붓아버지가 대학 교수라는 직업 덕분에 해외파견으로 현규와 둘만 남아 집에 없는 부모라는 설정까지 추가된다. 거기에 현규의 질투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서 일부러 자기가 받은 러브레터를 잘 보이는 곳에 놓아두었다.
의붓오빠 이현규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에 다니는[3] 대학생으로, 호리호리한 체격에 와이셔츠가 잘 어울리는 남자다운 얼굴의 미남이다. 어려서부터 신동, 천재 소리를 들었으며 정구 실력 역시 준프로 수준이다. 숙희와 처음 만났을 때는 그저 어린 아이를 대하듯이 했지만 점차 그녀와 가까워지면서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법과 윤리에 어긋나며[4] 가족을 배반하는 짓임을 알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숨겼다. 하지만 현규는 숙희가 지수에게 받은 러브레터를 보고 질투심이 일어나 그녀에게 화를 내고 집을 뛰쳐나간 그녀를 쫓아가 마침내 자신의 마음을 고백한다.
4. 기타
당시 이 작품은 문인들에게 시대의 현실을 외면한 통속 소설이라고 비판받기도 했는데 당대의 사회적 부정적 현실은 전혀 보이지 않고 딱 2000년대 초반에 유행한 인터넷 소설처럼 모든 면에서 우월한 등장인물들이 부유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무작정 통속 소설로만 치부하기는 곤란한 작품인 것은 맞지만 문학이 현실을 직시하고 비판하며 사회 변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가란 ' 참여문학'vs 순수문학'의 대립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이런 비판을 받아들여 강신재는 다음 작품으로 서울의대 부속병원 학살 사건을 다룬 소설인 '임진강의 민들레'를 집필했다.
5. 미디어 믹스
5.1. 영화
<colbgcolor=#cdc9a7><colcolor=#175227> 젊은 느티나무 (1968) A Young Zelkova |
|
|
|
감독 | 이성구 |
원작 | 강신재 |
각색 | 나한봉 |
제작자 | 김태수 |
기획 | 안승준, 김종원 |
촬영 | 장석준 |
편집 | 유재원 |
음악 | 김동진 |
미술 | 이봉선 |
출연 | 신성일, 문희, 박암, 주증녀, 윤양하, 안성기 |
제작사 | 태창흥업(주) |
개봉일 | 1968년 3월 29일 |
관람인원 | 42,000명 |
개봉관 | 명보극장 |
1968년에 이성구 감독이 영화화 했다. 신성일이 이현규, 문희가 윤숙희였다. 안성기가 아역으로 출연한 마지막 작품으로, 그는 1977년작 <병사와 아가씨들>로 영화계에 복귀하기까지 9년이라는 긴 공백기를 갖게 된다.
5.2. 드라마
1986년 11월 29일 KBS TV 문학관을 통해서 방영된 바 있다.
윤숙희는 김혜수, 이현규는 이효정, 지수는 정보석,숙희 어머니는 태현실, 무슈 리는 김세윤이 연기했다. 이 작품에서 김혜수가 청순가련한 모습으로 TV에 데뷔했다
5.3. 라디오
EBS 라디오 문학관으로 라디오 드라마화되었다. 윤숙희 - 이선주, 이현규 - 김승준오빠 역을 맡은 김승준이 멋진 연기를 선보여 많은 여성들을 설레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