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6:23:47

절대주의

절대주의자에서 넘어옴
1. 사상2. 정치3. 문화4. 예술
4.1. 미술4.2. 음악4.3. 문학
5. 관련 문서

1. 사상

/ Absolutism

상대주의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절대적인 진리가 있거나 그래야만 한다고 믿는 철학적, 종교적 사상. 다른 동음의 개념들과 분리하기 위해 앞에 윤리적이라는 수식을 붙이기도한다.

대게는 정치적 의미에서의 절대왕정과 동의어로 쓰인다.

2. 정치

국가 권력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정치관이다. 혁명 이전의 전제군주정 국가를 절대왕정이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정치관을 가진 국가들은 대부분 왕권신수설을 신봉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자신을 태양왕이라 칭한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있다.

3. 문화

17세기 유럽에서 계몽사상이 대두하고 보편적 이성이 중시되면서 나타난 사상으로, 문화에서도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기준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뜻한다. 문화절대주의라고도 부르며, 이에 반대되는 사상으로 문화상대주의가 있다.

문화절대주의 중에서도 특히 서양의 문화절대주의에서는 보편적 이성으로 창조된 서양의 근대 문화를 우수한 보편적인 문화로, 이에 미치지 못한 다른 문화를 열등한 변방 문화로 규정하였다. 이것이 이후 사회진화론과 엮여 열강 약소국 침략을 합리화하는 제국주의로 발전하는 하나의 동인이 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마틴 카노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많은 식민지들이 정치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식민지 시기 동안에 지배국에 의해 주입된 교육의 영향으로 인해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예속 상태에 놓여있다는 문화적 제국주의론( 종속 이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문화절대주의는 유럽 이외의 다른 나라들로도 전파되어 유럽만이 아니라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바 있으며, 자문화중심주의와 높은 확률로 결합되곤 하였다. 유라시아 대륙 및 영미권 기독교 문화권과 중동을 중심으로 한 이슬람 문화권에서 유독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다른 문화권에서도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주로 자문화중심주의와 민족주의· 국가주의가 강한 문화권들을 중심으로 문화절대주의가 나타난다. 많은 문화 연구자들은 사실상 모든 사람들이 잠재적으로 자문화중심주의적 사고를 갖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문화절대주의에 관련해서도 비슷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문화절대주의는 위에서 언급한 역사적 맥락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의 맥락에서도 접근이 가능한데 이를테면 외래 문화를 무분별하게 수용하고 그 관점으로 전통 문화를 폄하하는 경우,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기성 세대의 문화와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젊은 세대에게 주입하거나 그 반대로 인해 세대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 도시적 삶과 그로부터 향유할 수 있는 문화를 보편적으로 판단하여 그에 못미치거나 이탈한 생활 방식을 비난하는 경우, 다문화 문제 등등이 있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자문화중심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가 강하다는 특성상 문화절대주의 역시 강하게 나타나는 편이어서 이러한 문제가 잘 나타나는 편이며,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국가인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이슬람 문화권은 자신들의 전통 문화와 종교적 율법을 지나치게 숭앙한 나머지 외래 문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외래 문화와의 융화에 문제를 겪는 등 자문화중심주의와 문화절대주의의 결합으로 인한 사회적 폐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슬람 문화권의 중심인 중동 국가들에서 이러한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며, 여기에는 이슬람 원리주의의 영향도 관련되고 있다.

4. 예술

Suprematisme.

4.1. 미술

모더니즘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4ECD5><colcolor=#000> 19세기 리얼리즘 (1840~1860) · 인상주의 (1863~1890) · 탈인상주의 (1886~1905) · 나비파 (1888~1900)
러시아 아방가르드 (1890~1930) · 분리파 (1892~1910)
모더니즘 외 사조
아카데믹 미술(아카데미즘) · 라파엘 전파 (1848~1854) · 미술공예운동 (1860~1910) · 상징주의 (1880~1910) · 아르누보 (1890~1910)
20세기 초 야수파 (1904~1909) · 입체주의 (1907~1914) · 미래주의 (1909~1916) · 다다이즘 (1916~1930) · 초현실주의 (파리 다다) (1920년대)
표현주의 (1905~1930) · 다리파 (1905~1913) · 청기사파 (1911) · 더 스테일 (1917~1931) · 바우하우스 (1919~1933)
구축주의 (1920년대) · 절대주의 (쉬프레마티슴) (1913~1917) · 생산주의 (1917년 이후)
모더니즘 외 사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1922~1986) · 나치 시대의 미술 (1933~1945)
전후 모더니즘 추상표현주의 (1940년대) · 비정형 미술(앵포르멜) (196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팝아트 (1960년대) · 미니멀리즘 (1960년대) · 해프닝 (1970년대) · 개념 미술 (1980년대)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서양 미술사의 시대 · 사조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colbgcolor=#777,#888888> 원시 미술
~ 기원전 12세기
선사 미술 | 메소포타미아 미술 | 이집트 미술
고대 미술
기원전 12세기 ~ 서기 4세기
그리스 고졸기 미술 | 그리스 고전기 미술 | 헬레니즘 미술 | 로마 미술
중세 미술
4세기 ~ 14세기
비잔틴 미술 | 로마네스크 | 고딕
근세 미술
14세기 ~ 19세기
르네상스 | 매너리즘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 아카데미즘
근대 미술
19세기 ~ 20세기
모더니즘 | 리얼리즘 | 인상주의 | 탈인상주의 | 라파엘 전파 | 미술공예운동 | 보자르 | 아르누보 | 아르데코 | 탐미주의 | 분리파 | 표현주의 | 다리파 | 청기사파 | 더 스테일 | 바우하우스 | 추상회화 | 야수파 | 미래주의 |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 기하학적 추상 | 아방가르드 | 구축주의 | 구조주의 | 절대주의 | 상징주의 | 입체주의 | 구성주의 | 퇴폐미술 | 권위주의 예술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브루탈리즘
현대 미술
탈근대 미술
20세기 ~
포스트모더니즘 | 행위예술 | 대지 예술 | 개념미술 | 설치예술 | 추상표현주의 | 미니멀리즘 | 스큐어모피즘 | 팝 아트 | 옵아트 | 키네틱 아트 | 해프닝 | 서정적 추상 | 앵포르멜 | 아르테 포베라 | 상황주의 | 제도비평 | 페미니즘 미술 | 소수자 미술 | 탈식민주의 미술 | 신표현주의 | 전유미술 | 극사실주의 | 플럭서스 | 비디오 아트 | 사운드 아트 | 미디어 아트
}}}}}}}}}}}} ||

작품 내 색감의 절대성을 주창하며, 회화 바깥의 세계와의 연관을 거부한 미술 사조이다.

4.2. 음악

감정의 표현이나 청각적 묘사, 문학적 요소들의 개입을 음악의 도구화로 보고, 음악의 형식적 아름다움을 최고의 목표로 두는 사조

4.3. 문학

또한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는 관점에도 절대주의적 관점이 있는데 이는 문학 작품 외적 요소인 작가, 독자, 문학 작품이 창작된 시대적 배경 등을 모두 배제하고 작품 내적 형식이나 표현 기법을 바탕으로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을 뜻한다. 20세기 초 러시아의 형식주의에 그 바탕을 두고 있으며 1950년대 이후 대두된 신비평과 구조주의 등에 영향을 주고 오늘날 우리나라의 문학 교육의 하나의 큰 틀을 이루게 되었다.

5. 관련 문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