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09:42:30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
'''{{{+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top, #c1000f, #ed6942, #c1000f);"
파일:전대레드이세계_애니메인비주얼.jpg
{{{#c1021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장르 이세계 전이, 판타지, 슈퍼히어로
원작 나카요시 코요시(中吉虎吉)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음향 감독
시리즈 구성 토미오카 아츠히로[1]
캐릭터 디자인 마루야마 슈지(丸山修二)
총 작화감독 마루야마 슈지
오오니시 히데아키(大西秀明)
이토 아야코(伊藤亜矢子)
메인 애니메이터 스기에 토시하루
타니구치 아키히로(谷口明弘)
이와타 유키오(岩田幸大)
이펙트 작화감독 하시모토 타카시
프롭 디자인 타니구치 요시타카(谷口欣孝)
수츠 디자인
괴인 디자인 시부야 료스케
몬스터 디자인 이나타 와타루(稲田 航)
변신 모션 감수 오가와 테루아키
변신 모션 디렉터 스즈무라 노부히로(鈴村展弘)
미술 설정 호소이(ほそい)
미술 감독
색채 설계 오오노 하루에(大野春恵)
나가사와 료지(長澤諒司)
3D CG 디렉터 고토 히로유키(後藤浩幸)
촬영 감독 우치다 나츠미(内田奈津美)
2D 웍스 키노시타 카야토(木下翔弥斗)
편집 마츠모토 슈지(松本秀治)
음향 제작 도호쿠신샤(東北新社)
음악 카메야마 코이치로(亀山耕一郎)
음악 제작 일본 컬럼비아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
아베 류지(阿部隆二)
호죠 마코토(北條 真)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미야모토 카즈키(宮本和紀)
사노 케이스케(佐野圭介)
히로사와 지로(廣澤二郎)
프로듀서 이시가미 죠타로(石上丈太郎)
오치아이 츠요시(落合 剛)
타니구치 히로야스(谷口博康)
히가시 마오(東 真央)
이치하라 히로유키(市原寛之)
이이즈카 아야(飯塚 彩)
오오쿠보 아키코(大久保明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하타 히데아키(畑 秀明)
애니메이션 제작 SATELIGHT
제작 이세계 레드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5. 01. 12.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AT-X / (일) 23:3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예정)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키즈나파이브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음악
6.1. 주제가
6.1.1. OP6.1.2. ED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회차별 WEB 예고편9. 평가10.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

2. 공개 정보

2024년 8월 9일,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2.1. PV

티저 PV
메인 PV
『반창전대 키즈나 파이브』 PV

===# CM #===
번선 CM
Blu-ray & DVD CM

2.2. 키 비주얼

파일:전대레드이세계_애니티저비주얼.webp
파일:전대레드이세계_애니메인비주얼.jpg
파일:전대레드이세계_반창전대키즈나파이브키비주얼.jpg
<rowcolor=#c10210,#ffffff>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반창전대 키즈나파이브 키 비주얼

3. 줄거리

새빨간 영웅, 이세계에 서다!

파일:전대레드이세계_애니소개위.png

세계 정복을 꾀하는 악의 조직《비밀결사 절연단》.
그 야망에 맞서는, 유대로 이어진 다섯 명의 전사들이 있었다.
그 히어로들의 이름은, 《반창전대 키즈나파이브》!!

키즈나파이브의 5명은, 드디어 절연단과 최종 결전으로
장렬한 싸움 속에서 다쳐가는 동료들.
4명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에 지고, 《키즈나 레드》는 단신으로 《절연왕》에 도전한다.

격전 끝에 적과 동귀어진한 키즈나 레드.
목숨을 잃은―――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정신을 차리니 그곳은 《미지의 세계》였다!
이 세계에서도 곤란한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새빨간 히어로는 모험가가 되어 오늘도 싸운다!

파일:전대레드이세계_애니소개아래.png

《이세계×전대 히어로》로 보내는, 인연의 최강 영웅담!!
출처: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용사일행
<rowcolor=#c10210>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아사카키 토고 애니프로필.png
아사카키 토고
【 키즈나 레드 ▼ 】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키즈나 레드 애니프로필.png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이돌라 아불론 애니프로필.png
이돌라 아불론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테르티나 애니프로필.png
테르티나 리스
워글레이 아발로스트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로우지 미스트 애니프로필.png
로우지 미스트
<rowcolor=#c10210> 성우: 이토 토모야 성우: 이나가키 코노미 성우: 타나카 미나미 성우: 오오노 토모히로
그 외 등장인물
<rowcolor=#c10210>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라냐 애니프로필.png
라냐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아지르 애니프로필.png
아지르 아누마 쿠쿠쟈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샤우하 애니프로필.png
샤우하 솀하잘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아브다비 애니프로필.png
아브다비
파일:전대 레드 이세계 뷔단 애니프로필.png
뷔단
<rowcolor=#c10210> 성우: 시라이시 하루카 성우: 후루카와 마코토 성우: 시라이시 료코 성우: 요시노 히로유키 성우: 스즈무라 켄이치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대 레드 이세계에서 모험가 되다 문서
번 문단을
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OP / 1화 ED
Cuz I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노래 마키시마 히카루(牧島 輝)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작곡 요시다 츠카사(吉田 司)
Tsubasa
편곡 Tsubasa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오프닝 디렉터 테라오카 다이키(寺岡大輝)
작화감독 오오니시 히데아키(大西秀明)
총 작화감독 마루야마 슈지(丸山修二)
}}}}}}}}} ||

6.1.2. ED

ED
Explosive Heart
TV ver.
Full ver.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노래 우치다 아야
작사 나카츠카 켄토(永塚健登)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디렉터 미나미 카츠미(南 克実)
작화감독 코타니 쿄코(小谷杏子)
원화
총 작화감독 마루야마 슈지(丸山修二)
}}}}}}}}} ||

6.2. 삽입곡

1, 2화 삽입곡
さぁいこう! キズナファイブ
Full ver.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노래 류세이(隆成)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작곡 카메야마 코이치로(亀山耕一郎)
편곡

1화 삽입곡
マキシマム・キズナカイザー爆現!!
Full ver.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노래 쿠시다 아키라
작사 쿠와바라 나가에(桑原永江)
작곡 카메야마 코이치로(亀山耕一郎)
편곡

7. 회차 목록

<rowcolor=#c10210,#ffffff>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3] 戦隊レッドと魔法使い
전대 레드와 마법사
토미오카 아츠히로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오오니시 히데아키
(大西秀明)
이토 아야코
(伊藤亜矢子)
리 샤오레이
(李少雷)
후루야 코지
(古矢好二)
마루야마 슈지
(丸山修二)
오오니시 히데아키
日: 2025.01.12.
제2화 戦隊レッドと冒険者達
전대 레드와 모험가들
모리치 나츠미
(森地夏美)
나카노 히데아키
(中野英明)
리 샤오레이
原誠
미조부치 미호
(溝渕美穂)
김도영
(金到暎)
마츠모토 케이코
(松本恵子)
오오노 츠토무
타나카 카츠노리
(田中克憲)
요네다 마사야
(米田雅哉)
李雄宰
徐学文
Lit Edu
Paz Gómez de la Muñoza
마루야마 슈지
이토 아야코
오오니시 히데아키
나가사카 칸지
(長坂寛治)
日: 2025.01.19.
제3화 日: 2025.
제4화 日: 2025.
제5화 日: 2025.
제6화 日: 2025.
제7화 日: 2025.
제8화 日: 2025.
제9화 日: 2025.
제10화 日: 2025.
제11화 日: 2025.
제12화 日: 2025.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2b2b2d><colcolor=#c1021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9. 평가

주인공이 이세계로 끌려와 파티를 구성해 활약하는 전형적인 전개에서 무려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보일 법한 요소들을 작품의 세계관에 잘 녹여냈다는 특징이 있다. 거기에 애니 제작진이 가미한 오리지널 연출만큼은 시청자들이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퀄리티로 무장했었기에 더욱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특히 키즈나파이브의 메카들이 합체한 맥시멈 키즈나 카이저와 전투씬은 그야말로 그 당시의 슈퍼전대에서 볼 법한 감성을 그대로 전해주면서 상당한 임팩트를 남겼다. 그리고 키 아이템인 변신 브레스, 전용 무기등이 등장하며,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사운드마저 재현되어 있다. 오히려 실제 완구로 재현해달라는 팬들의 코멘트까지 나올 정도였다.

메카나 괴수 디자인은 3D로 제작되었고, 인간 캐릭터는 2D로 되어있어서 조금 이질감이 들 수 있지만, 그렇게까지 심하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러운 화면 편집으로 진행되기에 시청하는데 불편함은 거의 없는 편이다.

그 외에도 키즈나 파이브의 주인공들은 슈퍼전대 시리즈나 다른 특촬물에서 출연했던 성우들이 캐스팅되었고 OST마저 전대물 느낌이 상당한 노래로 제작되는 등,[4] 작품을 위해서 엄청나게 많은 준비를 한 흔적이 보였다.[5]

이처럼 슈퍼전대 팬들에게는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정식 수입이 불발된 관계로 인지도가 낮아 반향이 크지 않다.

10. 기타


[1]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폭상전대 분붐저의 메인 각본을 맡았다. [2]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 [3] 원화 이시카와 테츠야(石川哲也), 스기에 토시하루, 타이가 히로유키, 아오키 야스노리(青木康哲), 마스다 토시히코(増田敏彦), 오오노 츠토무작화감독 보좌 등. [4] 특히 맥시멈 키즈나카이저의 테마곡은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여러 테마곡을 열창한 쿠시다 아키라가 담당했다. [5] 똑같이 특촬물을 주제로 한 애니화된 작품인 괴인 개발부의 쿠로이츠 씨도 특촬물의 클리셰 비틀기는 물론 특촬물에 출연한 전적이 있는 화려한 성우진들 등 유사한 점이 많다. 차이가 있다면 슈퍼전대 시리즈가 메인인 이세계 레드랑 달리 저쪽은 로컬 히어로에 치중된 느낌이 강하다는 점 그리고 히어로가 아닌 악의 조직에서 히어로를 쓰러트릴 괴인을 개발하는 '괴인 개발부'가 주인공이라는 것이 크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