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fff> 성명 | 운동계열 | 훈격 |
<colcolor=#000> 허위 | 의병 | 대한민국장 | |
박희광 | 만주방면 | 독립장 | |
권쾌복 | 학생운동 | 독립장 | |
장진홍 | 의열투쟁 | 독립장 | |
김정묵 | 임시정부 | 애국장 | |
송병우 | 의병 | 애국장 | |
송세호 | 국내항일 | 애국장 | |
이원길 | 국내항일 | 애국장 | |
허겸 | 의병 | 애국장 | |
허형 | 의병 | 애국장 | |
허훈 | 의병 | 애국장 | |
이내성 | 국내항일 | 애국장 | |
권오환 | 3.1 운동 | 애족장 | |
김영득 | 국내항일 | 애족장 | |
김종철 | 광복군 | 애족장 | |
남상순 | 국내항일 | 애족장 | |
육홍균 | 일본방면 | 애족장 | |
전재덕 | 광복군 | 애족장 | |
장재성 | 문화운동 | 애족장 | |
최재화 | 3.1 운동 | 애족장 | |
황진박 | 의열투쟁 | 애족장 | |
박명언 | 3.1 운동 | 애족장 | |
박몽득 | 국내항일 | 애족장 | |
박봉술 | 3.1 운동 | 애족장 | |
방하영 | 국내항일 | 애족장 | |
이상백 | 3.1 운동 | 애족장 | |
임봉선 | 3.1 운동 | 애족장 | |
장용희 | 국내항일 | 애족장 | |
김관묵 | 3.1 운동 | 애족장 | |
유경흥 | 국내항일 | 애족장 | |
장호관 | 학생운동 | 애족장 | |
장병묵 | 국내항일 | 애족장 | |
이종식 | 국내항일 | 애족장 | |
권영해 | 3.1 운동 | 애족장 | |
김의경 | 3.1 운동 | 건국포장 | |
박희목 | 3.1 운동 | 건국포장 | |
이능학 | 3.1 운동 | 건국포장 | |
장병옥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전용신 | 3.1 운동 | 건국포장 | |
허필 | 만주방면 | 건국포장 | |
김구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임장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김구하 | 국내항일 | 건국포장 | |
노명일 | 국내항일 | 대통령표창 | |
권경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도길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성윤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근술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명출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삼봉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박순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서기옥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서천수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영래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윤약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동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삼선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준현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점석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임용섭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주서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영직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장상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김종권 | 일본방면 | 대통령표창 | |
이소열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이범성 | 3.1. 운동 | 대통령표창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창씨명 | 토모노키 헤이교쿠(友軒炳玉) |
이명 | 장개돌(張介乭) |
본관 | 상장군계 인동 장씨[1] |
출생 | 1914년 8월 22일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왜관동 (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251)[2] |
|
사망 | 1947년 8월 1일[3] (향년 32세) |
상훈 | 건국포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5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장병옥은 1914년 8월 22일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면 왜관동(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251번지에서 아버지 장필상(張泌相, 1873 ~ 1933. 1. 3)과 어머니 광주 이씨[4]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인동면 인의동(현 구미시 인의동) 642번지로 이주하여 본적을 옮겼고, 인동면 구평동(현 구미시 구평동)에서도 거주했다.그는 1936년 6월 칠곡군에서 비밀결사 동지구락부(同志俱樂部)에 가입하여 구락부원으로 항일투쟁을 전개했다.
동지구락부는 박용칠(朴容七)· 장재성 등이 일본에서 결성한 재 동경조선유학생연구회 및 일본공산당 인민전선파와 연계를 맺고 국내에 조직을 확대하기 위해 결성한 항일비밀결사였다. 그는 동지구락부에 가입하여 사회과학서적을 학습하고 민족의식과 일제의 지배체제에 대한 비판의식을 고취하다가 1938년 2월경 체포되었다.
1940년 3월 12일부터 그해 11월 18일까지 대구지방법원에서 그에게 5차례 구류갱신결정 처분을 내렸다. 이후 1941년 3월 7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의 예심에서 대구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으며, 1942년 2월 23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개월(미결 구류통산 본형 전부)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은거하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나, 옥고의 여독으로 1947년 8월 1일 사망하였다.
200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