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1 |
현급행정구 시할구 21, 현급시 20, 현 16, 자치현 3 |
|
창춘시 성도 长春市
|
|||
지린시 吉林市 |
|||
쓰핑시 四平市 |
|||
랴오위안시 辽源市 |
룽산구 龙山区 시안구 西安区 둥펑현 东丰县 둥랴오현 东辽县 |
||
퉁화시 通化市 |
|||
바이산시 白山市 |
|||
쑹위안시 松原市 |
|||
바이청시 白城市 |
타오베이구 洮北区 타오난시 洮南市 다안시 大安市 전라이현 镇赉县 퉁위현 通榆县 |
||
연변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언어 | 한국어 ( 한국어족) · 한국 수어 |
주요 구성원 | 한국인 ( 남한인 · 북한인 · 북한이탈주민) | |
독립국 |
[[대한민국| |
|
자치 지역 | 연변 조선족 자치주 · 장백 조선족 자치현 | |
재외동포 | 한국계 미국인 · 한국계 일본인 · 조선족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 한국계 캐나다인 · 한국계 호주인 · 한국계 칠레인 · 한국계 우크라이나인 · 한국계 영국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한국계 브라질인 · 한국계 멕시코인 · 한국계 쿠바인 · 한국계 러시아인 · 한국계 프랑스인 · 한국계 이탈리아인 · 한국계 스위스인 · 한국계 네덜란드인 · 한국계 벨기에인 · 한국계 스페인인 · 기타 | |
국적 | 한국계 외국인 · 외국계 한국인 | }}}}}}}}} |
바이산시의 자치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장백 조선족 자치현
长白朝鲜族自治县 Changbai Korean Autonomous County |
}}} | |||
<colbgcolor=#008eaa><colcolor=#ffffff> 인민정부 소재지 |
장백대가 51호 | |||||
하위 행정구역 | 6진 5향 | |||||
면적 | 2,505.97㎢ | |||||
인구 | 75,497명(2020) | |||||
현장 |
|
정형일 | ||||
서기 |
|
추래복 | ||||
홈페이지 | changbai.gov.cn |
1. 개요
조선어 : 장백 조선족 자치현중국어 : 长白朝鲜族自治县[2]
중국 지린성 바이산시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중국에서 유일한 조선족 자치현이다. 면적은 2,497.6 km²[3] 인구는 2020년 조사에 따르면 7만 5,497명이고 그 중 16.9%가 조선족이다. # 이 숫자는 호적에 등록된 숫자로 실제 주민은 5만 8,266명에 불과한데 이것은 이촌향도 현상 때문이다.
2. 행정 구역
'6진 5향'으로 구성되어 있다.2.1. 6진
- 장백진(長白鎭)
- 팔도구진(八道溝鎭)
- 신방자진(新房子鎭)
- 십사도구진(十四道溝鎭)
- 보천산진(寳泉山鎭)
- 마록구진(馬鹿溝鎭)
2.2. 5향
- 십일도구향(十一道溝鄕)
- 십이도구향(十二道溝鄕)
- 십삼도구향(十三道溝鄕)
- 용강향(龍崗鄕)
- 금화향(金華鄕)
3. 역사
- 1677년: 청나라 정부가 이곳을 200년간 봉금지역으로 설정하고, 주민을 퇴거시켰다.
- 1875년: 청나라 정부가 봉금령을 해제하고, 개발정책을 시행했다.
- 1877년: 인근에 통화현(通化縣)이 설치되어 통화현에 속하게 되었다.
- 1902년: 인근에 임강현(臨江縣)이 설치되어 임강현에 속하게 되었다.
- 1908년 9월 15일: 장백부(長白府)가 설치되어 십팔도구(十八道溝)와 십구도구(十九道溝) 사이의 탑전(塔甸) 지역[4]을 통치했고, 봉천부(奉天府)에 속하게 되었다.
- 1909년: 안도현과 무송현(撫松縣)이 설치되어 장백부의 관할이 되었다.
- 1913년: 장백부가 장백현으로 개칭되었고, 봉천성에 속하게 되었다.
- 1929년: 요령성에 속하게 되었다.
- 1931년: 장백현이 간접적으로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945년 12월 25일: 안둥성(安東省)에 속하게 되었다.
- 1946년 1월 23일: 지랴오성(吉遼省) 퉁화분성(通化分省)의 관할이 되었다.
- 1946년 봄: 창바이현 인민정부가 설립되고, 안둥성 통화전구(通化專區)의 관할이 되었다.
- 1946년 7월: 랴오닝성 퉁화전구의 관할이 되었고, 얼마 뒤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7년 1월: 창바이현이 랴오닝성 직할이 되었다.
- 1947년 6월: 다시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2월 11일: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에서 해제되고, 창바이현이 랴오닝성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6월 21일: 안둥성의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7월: 안둥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9년 2월: 랴오둥성(遼東省)의 관할이 되었다.
- 1949년 4월: 랴오둥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54년 7월 23일: 지린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56년: 창바이현 인민정부가 창바이현 인민위원회로 개칭되었다. 구(區)를 없애고 향(鄕)을 설치했다. 창바이현의 5개 구를 2개 진(창바이진長白鎭, 바다오거우진八道溝鎭), 11개 향으로 개편했다.
- 1958년 9월 15일: 장백 조선족 자치현이 설치되었고 지린성 퉁화전원공서(通化專員公署)에 속하게 되었다.
- 1968년: 장백 조선족 자치현 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장백 조선족 자치현 혁명위원회를 설립했다.
- 1980년: 장백 조선족 자치현 혁명위원회를 폐지하고 장백 조선족 자치현 인민정부를 성립했다. 이때 장백 조선족 자치현은 10개 공사(公社), 1개 진, 79개 생산대대(生産大隊), 184개 생산소대를 관할하고 있었다.
- 1980년 9월: 장백진 공사가 장백진 인민정부로 개칭되었다.
- 1983년 8월: 장백 조선족 자치현의 10개 공사가 향으로 바뀌었다.
- 1984년 12월: 바다오거우향(八道溝鄕)과 스쓰다오거우향(十四道溝鄕)을 폐지하고 바다오거우진과 스쓰다오거우진을 설치했다.
- 1985년 4월 1일: 훈장시[5] 관할이 되었다.
4. 군사
북부전구육군 제330국경경비여단이 주둔해있다.5. 관련 문서
[1]
장백 조선족 자치현의 정식 상징 중에 하나인데, 정확히 어떤 위치인지는 불명. 중국은
홍콩이나
마카오 같은 특별행정구가 아니라면 자치 구역들이 별도의 상징을 쓰는 것에 소극적인데, 일단 저 상징은 현재
장백 자치현 공식 사이트에 정식으로 등재된 이미지다. 과거에는 저 이미지와는 별개로
이 이미지도
공식 사이트 좌측 상단에 등재가 됐었는데, 지금은
그 자리를 중국 중앙 정부의 국장이 대체하고 있다.
[2]
간체자
[3]
제주도(1,833.2km²)보다 조금 크다.
[4]
現 창바이진(長白鎭)
[5]
이후
바이산시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