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22:50:06

자귀나무

자귀나무
Silk tree
파일:자귀나무.jpg
학명: Albizia julibrissin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장미군(Rosids)
콩목(Fabales)
콩과(Fabaceae)
아과 실거리나무아과(Caesalpinioideae)
분류군 미모사군(Mimosoid clade)
자귀나무속(Albizia)
자귀나무(A. julibrissin)
1. 개요2. 설명

[clearfix]

1. 개요

파일:자귀나무2.jpg

콩목 콩과 미모사아과의 식물. 짜귀대나무(서남방언), 짜구나무,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Albizia julibrissin이라는 학명은 페르시아어로 '비단 꽃'이라는 뜻의 굴리 아브리샴(گل ابریشم)에서 따왔다. 키는 5-15 m 남짓.

2. 설명

파일:자귀나무1.jpg

정원수로 자주 쓰는 나무. 우리말 명칭 '자귀나무'의 어원은 불확실하다. 나무 깎는 연장 ' 자귀'를 만드는 데 쓴다고 자귀나무라는 설, 낮이 되면 잎이 열리고 밤이 되면 잎이 닫히기 때문에 자는 시간은 귀신같이 맞춘다고 자귀나무라는 설, 자개(조개) 처럼 잎들이 다물어져서 등이 있으며, 조선시대 표기로는 자괴나모라 했다.

밤낮에 따라 잎이 열리고 닫히는 모습이 낮에는 때문에 떨어지고 밤에는 때문에 합치는 부부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합환목, 부부목, 사랑목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갓 결혼한 부부를 위해 마당에 심기도 했다. 저녁에 잎이 잘 닫히면 금슬이 좋은 것이고 잎이 잘 닫히지 않으면 불화가 나고 있다나. 미모사와 비교해서 접촉에 반응을 덜 하지만, 밤낮에 따라 접히고 열리는 거랑 콩과 식물, 그리고 잎 모양도 비슷하다는 점에서 많이 닮았다. 그리고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면 잎을 닫는다는 얘기도 있다.

서식범위가 아시아 대륙으로 굉장히 넓어 원산지를 찾기 힘들다. 현재 추측되는 곳은 이란과 아제르바이잔.

잎은 줄기에 하나씩 달리는 것이 아니라 아까시나무처럼 작은 잎들이 모여서 하나의 가지를 만들고 이들이 다시 줄기에 달린다. 잎사귀는 길이 2-7 cm 정도이다. 꽃은 가늘고 긴 수술이 여럿 모여 부채꼴 모양[1]이다. 수술의 꽃밭침에 가까운 쪽은 흰색이지만 수술머리 쪽으로 갈수록 분홍색이 진해지는 품종이 가장 보편적이며 흰색의 꽃을 피우는 품종도 있다. 은은하고 달콤한 과일 향이 나는 꽃을 피우기 때문에 중요한 밀원수이기도 하다. 어린나무에는 줄기에 잔털이 나있으나 2년생 이후로는 대개 사라진다. 꼬투리는 종이처럼 얇은데, 생각보다 바람에 훨씬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다고 한다. 꼬투리에 씨를 저장하고 있다가 바람에 날아가거나 굴러가면서 헤지면 씨앗을 내놓으면서 씨앗을 운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꽃말은 환희, 가슴이 두근거림.

자귀나무속 식물은 대체로 열대지방이나 아열대에 서식한다. 자귀나무의 내한성이 좋은 것. 미국에서도 침입종으로 들어와 있는데 가뭄에도 강한 특성 때문에 미국 서부 해안 근처, 동부 대다수에서 서식한다고 한다. Albizia julibrissin f. rosea은 왜성종인데, 한국과 중국 북부 원산으로 원종보다 내한성이 훨씬 좋다. 국내에는 자귀나무 외에도 희귀종인 왕자귀나무(Albizia kalkora)도 자생한다.

잎과 줄기에 독이 있어 약용으로 쓰이진 않으나 껍질을 벗겨 약으로 쓰기도 하는데 이것을 합환피라고 한다. 사용범위가 좁고 가공 방법까지 좀 까다로운 편이라 약재로는 잘 쓰이지 않는 재료다. 또한 특정 지병이 있는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2] 자귀나무의 껍질을 황혼피()라고 하고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1] 블러셔를 할 때 쓰는 브러쉬와 같은 모양이다. [2] 합환피에도 독성이 있어 한의사들도 그나마 민간요법 수준인 구충제 정도로만 처방을 내린다. 진하게 달여먹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