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0 02:12:31

일본군 근위사단


[[일본군|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
日本軍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rowcolor=#FFF>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colcolor=#FFF> 관련 문서 ||
<colbgcolor=#B0313F>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 해군성 · 육군성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 조선총독부) · 대만( 대만총독부) · 가라후토( 가라후토청) · ▤ 관동주( 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DFEFA,#2D2F34><-2><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군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1. 개요2. 역사3. 패망4. 편제5. 기타

[clearfix]
한자: 近衞師團 / 近衛師団

1. 개요

일본군의 근위대다.

2. 역사

일본 육군에 존재했던 사단으로 1891년 12월 14일에 창설되었다. 도쿄 고쿄 등을 방비하는 임무를 맡았고, 의장대 역할도 했다.

원형 자체는 막말에 신정부 소속의 군대를 말게 되면서 1872년에 생긴 근위병(近衛兵)이다. 근위도독은 사이고 다카모리가 맡았다. 1874년에 육군 근위보병연대로 편성되었다. 1891년엔 사단 규모로 커졌다.

1943년에 근위1사단과 근위2사단으로 분할되어 2개 사단으로 구성되는 체제가 되었고, 1944년에는 근위3사단까지 창설되어 3개 사단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3. 패망

일본의 패망에 따라 해체되었다. 일본군 수뇌부는 GHQ에 근위사단의 존속을 요구하였으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이를 불허하여 천황 경호 임무 등은 경찰 소속의 황궁경찰본부로 넘어갔다. 자위대 창설 이후에도 황거 경비 및 덴노의 호위는 육상자위대가 아닌 황궁경찰이 계속 맡고 있다.

4. 편제

5. 기타

이름만 봐서는 수도방위사령부처럼 수도 방어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전쟁에 파병되었다. 물론 천황이 거주하는 고쿄를 수비하는 근위대인 만큼 일본 국내에 있을 때에는 수도 방어에도 참여하지만 그게 주된 임무인 건 아니고, 일본 육군의 다른 사단들과 마찬가지로 해외 파병에도 수시로 동원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근위대이면서도 수시로 해외에 파병되는 것은 영국 영국군 근위대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