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23:15:08

인디언복어

인디언복어(난쟁이복어, 피그미복어)
Dwarf puffer, Abeni puffer
파일:인디언 복어.jpg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복어목(Tetraodontiformes)
참복과(Tetraodontidae)
카리노복어속(Carinotetraodon)

1. 개요2. 사육3. 번식4. 기타

[clearfix]

1. 개요

인도에서 서식하는 성체 기준 2.5~3cm의 초소형 민물 복어. 자연에서는 작은 수서곤충이나 소형 갑각류, 연체동물 등을 먹이 삼아서 생활하며, 최대 수명은 5년 정도이다.

2. 사육

크기가 작고 행동이 귀여워서 관상어로도 유통되기도 한다. 달팽이 사냥을 아주 잘해서 수초항에 창궐한 물달팽이를 제거하는 생물병기로 이용하기도 하며, 먹이는 앞서 말했던 물달팽이 종류나 실지렁이, 냉짱, 감마루스 등을 주로 먹이면 된다. 사료 순치가 가능하다는 말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대부분의 복어들이 그렇듯 생먹이만 먹으며, 굶어죽어도 사료를 안먹는 일도 있으니 복어 사육이 목적이라면 최소한 냉짱 정도는 준비하고, 이빨이 너무 길게 자라지 않도록 가끔 물달팽이 등의 딱딱한 껍질을 가진 살아있는 먹이를 주는 것이 좋다.

크기는 작아서 30큐브 정도 되는 어항에 열댓마리 키우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탕가니카 시클리드나 말라위 시클리드를 한 어항에 수십마리씩 집어넣는 거 만큼의 킬링필드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인디언 복어는 영역생활을 하는 동물으로. 어항 환경에 적응하고 난 뒤로는 서로 눈에 보일때마다 쪼아대며 싸운다. 사육시 한마리당 최소 10~20L정도의 영역을 요구한다. 한 어항에 한 마리씩 단독사육을 권장하며, 두마리 이상 기른다 하더라도 앞서 말한 최소한의 영역 보장은 해주고, 복어끼리 서로 마주치는 일이 줄어들도록 수초도 빽빽하게 심고 유목과 수석 등을 꽉 꽉 채워 넣는 것을 추천한다. 즉, 가장 키우기 좋은 환경은 수초항이라는 이야기.

하지만 야생에서는 군집을 이뤄 살기 때문에 6마리 이상 키워야 모든 면에서[1] 좋다는 자료도 있다. 하지만 30큐브정도 되는 어항이 아닌 적어도 2자 이상의 어항에서 그 정도로 키워야 그 장점을 누릴 수 있다는 거지 30큐브에서 키우면 앞의 내용대로 킬링필드가 벌어진다. 또한 수컷은 서로 공격을 할수 있으므로 1:3 정도의 비율로 암컷이 더 많게 키워야 한다

다른 종과의 합사는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다.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거의 모든 생물, 자기보다 몇배는 큰 물고기를 공격하기도 한다. 앞서 말햇듯이 원래 소형 갑각류, 곤충, 달팽이들을 먹고 사는 만큼 크기가 작은 생이류나 치하들은 한입거리이며, 다른 물고기의 경우에도 지느러미를 죄다 물어뜯어놓기에 구피 같은 유영속도가 느린 고기는 지느러미가 남아나지 않는다. 또한 복어답게 테트로도톡신을 품고있어서 큰 물고기가 이놈을 잡아먹으면 즉사한다. 거의 베타정도의 성깔을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사실 복어라는 물고기 자체의 습성이니 크기가 작아도 복어는 복어.

그나마 몇안되는 합사 추천 어종은 오토싱이 있는데, 오토싱은 지느러미도 짧고 유영속도도 빠른데 눈치도 좋은 편이라 같이 어항에 넣어줘도 별 문제 없이 사는 경우도 많다. 왜생이의 경우에도, 어느정도 복어의 성격 차이는 있겠지만 서로 신경 안쓰고 잘 지내는 편이다. 복어에게 생먹이를 급여한다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왜생이가 처리해 주므로 좋은 탱크 메이트인 셈. 또 비파같은 단단하면서 온순한 물고기랑도 합사가 가능하다.[2]

대부분의 다른 복어들은 질산염 등 암모니아 화합물에 상당히 민감한 편이지만, 인디언 복어는 원래 살던 물 자체가 탁한 물이라서 그런지 상대적으로는 덜 민감하다고 한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일 뿐 충분한 여과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물생활 하는 사람의 필수 소양이다.

간혹 바닥재에 파고들어서 자기도 한다. 그러므로 바닥재는 산호사 같은 건 쓰지 말고, 수초항에 사용하는 소일 등을 깔아주자. 실제로 복어는 소일 바닥재로 구현할 수 있는 약산성의 환경을 선호한다.

그리고 안 그럴 것 같지만 어항 밖으로 뛰어나가는 경우가 매우 많으므로 어항 뚜껑은 필수이다. 복어류의 순간유영속도는 생각보다 매우 빠르다.

3. 번식

복어류의 번식은 어려운 편이지만, 드물게 번식에 성공하여 치어를 보았다는 사람이 나오곤 한다. 암수구분은 어렸을 때엔 불가능하고, 사실 인디언 복어는 환경에 따라 암컷으로 성장하거나 수컷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성어가 되기 전 암수구분은 의미가 없다. 크기가 2cm 전후로 넘어가 성체가 되면 수컷, 특히 여러마리 중에서 가장 지배적인 수컷은 눈 주위에 두 줄 가량의 주름이 나며, 배쪽을 보면 세로로 옅은 검은색의 선이 나타난다. 반대로 암컷의 경우엔 앞서말한 2차 성징 중 어느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복어의 쌍이 잘 잡히고, 발정기가 되면 수컷은 수초가 우거진 곳, 수석 등을 둥지로 삼고, 암컷을 이 둥지로 몰아 산란을 유도한다. 이후 1mm 미만의 알을 10~20개 정도 낳는데,찾아내는데에 성공했다면 알을 확인하고 나면 스포이드 등으로 부화통으로 옮겨서 부화시키자. 대충 3mm정도 크기가 되면 슬슬 브라인 쉬림프 등을 먹으며 성장시키면 된다.

복어는 특별히 자식을 돌보는 물고기가 아니며, 산란을 하더라도 부화까지 경험한 사람은 많지 않다. 자연번식은 상당히 어렵다는 말인 듯.

4. 기타

인디언복어는 컨디션에 따라 발색이 달라진다. 건강한 상태에서도 약간 밝아졌다 어두워졌다 정도의 변화는 있다. 다만 만약 창백해보일 정도로 색이 옅어졌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수질 체크 등 어항에 무슨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자.

다른 복어들처럼 인디언복어도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맹독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한 사람은 꺽지 먹이로 인디언 복어를 주다 인디언복어는 멀쩡히 나오고 꺽지는 죽었다는 믿지못할 이야기도 있다.[3] 또한 자기들끼리 싸울 때나, 겁을 먹었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부풀어오르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이 기르는 복어를 일부러 괴롭히면서 부풀리는 것은 어린애들이 개미 다리를 잡아뜯거나 하는 것과 비슷한 급으로 좋지 못한 동물 학대다. 특히 물 밖으로 꺼내는 일은 숨을 못쉬게 만들어 평소보다 더 큰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후 시름시름 앓다 죽어버리는 일도 있으니 절대로 하지 말자.

크라임씬 리턴즈에서 나온다.


[1] 먹이반응, 스트래스, 공격성 [2] 비파는 덩치가 최대 40cm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큰데다 인디언 복어가 뚫을 수 없는 단단한 갑주까지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 온순하기 때문에 합사가 가능하다. 단, 어느정도 성장한 개체여야한다. [3] 복어는 독을 몸안에만 품고있어서 체외로 독을 분비하지 못하며 오직 동귀어진의 용도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꺽지가 죽으면 복어도 꺽지의 위산에 녹아 같이 죽어야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