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폰트 목록 | ||
문서가 있는 서체 | |||
윤고딕 | 윤명조 | 서울서체 | |
청소년체[1] | 함초롬체 | ||
|
1. 개요
윤디자인에서 제작한 플래그십 폰트 패밀리. 자매품으로 윤고딕이 있다.2. 특징
- 몇몇 한자의 형태는 한국 정체자와 다르다. 戶(지게 호)는 일본 신자체처럼 戸로 쓰고, 內(안 내)와 全(온전할 전)은 入를 人으로 쓴다. 朗(밝을 랑)과 郞(사내 랑)은 良의 마지막 획이 삭제되어 있고, 兪(성 유)는 俞로 쓴다. 前(앞 전)은 月의 왼쪽 획을 곧게 쓰지 않고 삐침으로 쓴다.
3. 종류
3.1. 100
처음으로 나온 글꼴이다. 1999년~2000년대 초반에 여러 교과서, 학습서 등에서 쓰이던 버전. 6개의 굵기(110~160)가 있다.
3.1.1. 105
기존의 윤명조 100번대를 약간 수정했고 숫자는 고정폭이 되어 출력물에서의 완성도를 높였다. 6개의 굵기(115~165)가 있다.
3.2. 200
탈네모꼴 명조체다. 전각(한글, 전각문자) 폭은 900, 한자 폭은 960이다. 3개의 굵기(220~240)가 있다.
3.3. 300
기존의 윤명조 100의 자간을 조정하고, 숫자를 고정폭으로 수정하였다. 6개의 굵기(310~360)가 있다.
윤명조 320, 340은 ‘학교안심 (확장) 바른바탕’이라는 이름으로 무료로 풀렸다. 다운로드는 여기서 할 수 있으며, OFL 라이센스이므로 매우 자유롭게 쓸 수 있어 상업적 무료 글꼴이라고 할 수 있다.
3.4. 400
기존 명조에서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한 바탕체라고 한다. 3종의 굵기(420, 440, 450)가 제공된다.
3.5. 500
무게 중심이 비교적 상단에 있고, 기존 명조체에 비해 94% 장으로 설정되었다.
3.6. 700
스크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었다고 한다. 기존 윤명조의 3~6개의 웨이트에서 9개 웨이트로 늘어났다. 글자가 굵어질수록 자폭이 커지고, 가로획의 굵기 차이는 미세한 것에 비해 세로획의 굵기 차이가 큰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