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02:26:17

아밀로이드증

유전분증에서 넘어옴
아밀로이드증 / 유전분증
類澱粉症 | Amyloidosis
<colbgcolor=#3c6,#272727> 국제질병분류기호
(ICD-10)
<colbgcolor=#fff,#191919> E85
의학주제표목
(MeSH)
D000686
진료과 내분비내과, 심장내과, 류마티스내과
질병 원인 비정상적 단백질인 아밀로이드의 침착, 유전되거나 55세 이상 노인에게서 주로 발병
관련 질병 부정맥, 림프종,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손목터널 증후군, 치매 등 아밀로이드 침착 부위에 따라 다름

1. 개요2. 종류
2.1. 아밀로이드의 화학적 구성 기준 분류2.2. 임상병리학적 분류2.3. 아밀로이드 침착 부위에 따른 분류
3. 원인4. 증상 및 징후5. 진단과 검사
5.1. 조직학적 소견
6. 치료7. 경과 및 예후

[clearfix]

1. 개요

아밀로이드증, 또는 유전분증(, amyloidosis)은 잘못된 단백질 접힘으로 인해 비정상적 구조를 가진 원섬유(fibril) 구성 단백질이 세포 바깥에 쌓이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들을 일으키는 상태 자체를 이르는 용어이다. 이런 세포 바깥에 침착된 단백질을 아밀로이드(amyloid)라고 한다. 속하는 아밀로이드증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일관된 소견이나 증상을 보이기보다는, 아밀로이드의 침범 기관에 따라 다양하고 특이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보인다.

2. 종류

2.1. 아밀로이드의 화학적 구성 기준 분류

아밀로이드의 종류에 따라서 아밀로이드증을 구분할 수 있다. 주된 아밀로이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이외에도 다양한 아밀로이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몇몇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아밀로이드 침착에 관여하는 부수적인 다른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2.2. 임상병리학적 분류

임상적으로 아밀로이드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table bordercolor=#000000><table bg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000000,#dddddd><width=10%> ||<rowbgcolor=#f5f5f5,#2d2f34><width=30%> 전신아밀로이드증
systemic amyloidosis ||<width=30%> 유전성아밀로이드증
hereditary amyloidosis
||<width=30%> 국소아밀로이드증
localized amyloidosis ||
<colbgcolor=#f5f5f5,#2d2f34> 원발성아밀로이드증 가족성지중해열 노인성대뇌
속발성아밀로이드증 가족성아밀로이드신경병증 내분비아밀로이드
혈액투석연관아밀로이드증 노인성전신아밀로이드증 단독심방아밀로이드

2.3. 아밀로이드 침착 부위에 따른 분류

3. 원인

아밀로이드증 발생은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적인 요인과 노화로 인한 요인이 모두 작용하여, 잘못 접힘되어 침착되기 쉽고 잘 가수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단백질분해효소의 복합체로서 이런 필요없는 단백질을 제거해야 하는 세포질 내의 프로테아좀(proteasome)이나, 대식세포(macrophage)와 같은 다른 포식세포들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잘못 생산된 단백질들이 세포 바깥에 쌓이게 된다.

4. 증상 및 징후

가벼운 경우에는 두통, 실신, 체중의 감소, 무기력함 정도의 비특이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보이지만 악화될 경우 아밀로이드가 침범한 기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특이적인 증상과 소견을 보인다. 대표적인 경우로는 콩팥아밀로이드증에서의 단백뇨, 심장아밀로이드증에서의 부정맥 심전도 이상, 혈관아밀로이드증의 출혈장애, 혀의 아밀로이드증의 비대증과 경화 등이 있다.

5. 진단과 검사

조직 내 침착된 아밀로이드를 생검(biopsy)을 통해 조직학적으로 분석한다. 콩고레드(Congo red)와 같은 염료로 염색하여 드러나는 분홍색~적색의 침착물을 발견하고, 편광현미경을 통하여 드러나는 황녹색이나 밝은 녹색의 복굴절(birefringence)을 이용하여 침착물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현미경 상에서는 얇은 원섬유 형태로 침착된 아밀로이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아밀로이드의 종류별로 특수한 염색법을 통해 해당 아밀로이드가 있는지 검출할 수 있다.

5.1. 조직학적 소견

파일:아밀로이드증조직.jpg
소화기 내강에 발생한 AL 유형 아밀로이드증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아밀로이드는 콩고레드 염색(A)에 의해서는 분홍색, 혹은 적색으로 나타난다. 콩고레드 염색 후 편광(polarized light)으로 관찰했을 때(B)에는 밝은 녹색의 복굴절이 관찰되어 진단 가능하다.
파일:심장조직아밀로이드증.jpg
H&E 염색법을 통해 관찰한 심장아밀로이드

심근세포들 사이는 본래 관찰시 잘 구분된 선이 있으나, 이 사진에서는 그런 세포들 사이에 아밀로이드 덩어리들이 끼어 있다. 이로 인해 심근의 수축력이 약해지고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파일:콩팥조직아밀로이드증.jpg
콩팥아밀로이드증이 발생해 붕괴된 사구체 구조의 모습

콩팥에 발생한 아밀로이드증으로 인해 사구체 뭉치 구조를 비틀며, 결국 사구체 구조는 혈관 폐쇄로 인해 파괴된다.
쥐의 폐에 침범한 아밀로이드
화살표 표시된 부분이 혈관과 기관지에 침착된 아밀로이드이다.

6. 치료

침착된 아밀로이드를 제거하여 증상을 완화해야 한다.

7. 경과 및 예후

전신아밀로이드증(AL 유형)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다발성 골수종을 동반하지 않은 AL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2년 안팎이며, 골수종이 동반된 경우 이보다 더욱 예후가 좋지 않다.

반응성전신아밀로이드증(속발성아밀로이드증)의 경우 이보다는 예후가 나은 편이다.

ATTR 아밀로이드증, 그 중에서도 가족성아밀로이드신경병증의 경우 진단 후 7~12년 정도가 평균 생존 기간이다. 노인성전신아밀로이드증의 경우 4년 정도가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으로 보고되고 있다.
[1] 출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