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보호 기능의 WFP에 대한 내용은 Windows 파일 보호 문서 참고하십시오.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
앙리 뒤낭 | 프레데리크 파시 | 엘리 뒤코묑 | 샤를 알베르 고바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1906 | |
- | ||||
윌리엄 랜들 크리머 | 국제법학회 | 베르타 폰 주트너 | 시어도어 루스벨트 | |
<rowcolor=#cd9f51> 1907 | 1908 | |||
에르네스토 모네타 | 루이 르노 | 클라스 아르놀드손 | 프레드리크 바예르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
- | ||||
데스투르넬 드 콩스탕 | 오귀스트 베르나르트 | 국제평화국 | 알프레트 프리트 | |
<rowcolor=#cd9f51> 1911 | 1912 | 1913 | 1917 | |
토비아스 아서르 | 엘리후 루트 | 앙리 라퐁텐 | 국제적십자위원회 | |
<rowcolor=#cd9f51> 1919 | 1920 | 1921 | ||
우드로 윌슨 | 레옹 부르주아 | 얄마르 브란팅 | 크리스티안 랑에 | |
<rowcolor=#cd9f51> 1922 | 1925 | 1926 | ||
프리드쇼프 난센 | 오스틴 체임벌린 | 찰스 G. 도스 | 아리스티드 브리앙 | |
<rowcolor=#cd9f51> 1926 | 1927 | 1929 |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페르디낭 뷔송 | 루트비히 크비데 | 프랭크 켈로그 | |
<rowcolor=#cd9f51> 1930 | 1931 | 1933 | ||
나탄 셰데르블롬 | 제인 애덤스 | 니컬러스 버틀러 | 노먼 에인절 | |
<rowcolor=#cd9f51> 1934 | 1935 | 1936 | 1937 | |
아서 헨더슨 | 카를 폰 오시에츠키 | 카를로스 라마스 | 로버트 세실 | |
<rowcolor=#cd9f51> 1938 | 1944 | 1945 | 1946 | |
난센 국제난민 사무국 | 국제적십자위원회 | 코델 헐 | 에밀리 그린 볼치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9 | 1950 | |
존 모트 | 퀘이커 봉사협회 | 존 보이드 오어 | 랠프 번치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1954 | |
레옹 주오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조지 마셜 | 유엔난민기구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레스터 피어슨 | 도미니크 피르 | 필립 노엘베이커 | 앨버트 루툴리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1964 | |
다그 함마르셸드 | 라이너스 폴링 | 국제적십자위원회 | 마틴 루터 킹 | |
<rowcolor=#cd9f51> 1965 | 1968 | 1969 | 1970 | |
유니세프 | 르네 카생 | 국제노동기구 | 노먼 볼로그 | |
<rowcolor=#cd9f51> 1971 | 1973 | 1974 | ||
빌리 브란트 | 헨리 키신저 |
레득토 (수상 거부) |
사토 에이사쿠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숀 맥브라이드 | 안드레이 사하로프 | 베티 윌리엄스 | 메어리드 코리건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국제앰네스티 | 안와르 사다트 | 메나헴 베긴 | 마더 테레사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
아돌포 에스키벨 | 유엔난민기구 | 알바 뮈르달 | 알폰소 로블레스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 | ||||
레흐 바웬사 | 데즈먼드 투투 | 핵전쟁방지국제의사회 | 엘리 비젤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오스카르 아리아스 | 유엔 평화유지군 | 달라이 라마 14세 | 미하일 고르바초프 | |
<rowcolor=#cd9f51> 1991 | 1992 | 1993 | ||
아웅 산 수 치 | 리고베르타 멘추 | 넬슨 만델라 |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
이츠하크 라빈 | 시몬 페레스 | 야세르 아라파트 | 조지프 로트블랫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1997 | ||
퍼그워시 회의 | 카를로스 벨로 | 조제 하무스오르타 | 조디 윌리엄스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 | ||||
지뢰금지국제운동 | 존 흄 | 데이비드 트림블 | 국경없는의사회 | |
<rowcolor=#cd9f51> 2000 | ||||
김대중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2> 2001 || 2002 || 2003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4b92db><tablebgcolor=#4b92d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B92DB> 구성 | <colcolor=#000,#fff> 유엔 총회 · 안전보장이사회 · 상임이사국 · 비상임이사국 · 사무총장 | |
산하 군 | 유엔 평화유지군 | ||
산하기구 | 세계식량계획 · 유엔아동기금 · 유엔난민기구 | ||
전문기구 | 국제통화기금 · 세계은행 · 세계보건기구 · 유엔식량농업기구 · 만국우편연합 · 국제노동기구 · 국제해사기구 · 국제민간항공기구 · 유네스코 · 국제농업개발기금 · 국제전기통신연합 · 유엔산업개발기구 · 세계지식재산기구 · 세계기상기구 · 세계관광기구 | ||
협력기구 | 세계무역기구 · 국제원자력기구 · 화학무기금지기구 ·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 국제이주기구 · 국제형사재판소 · 국제해양법재판소 · 국제해저기구 | ||
전신 | 국제연맹 · 연합국 | ||
관련 틀 | 사무총장 · 상임이사국 · 공식 언어 · 협력 기구 · 전문기구 | ||
기타 | 유엔군사령부 · 유엔글로벌콤팩트 ·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 · JUSCANZ · 국제연합일 | }}}}}}}}} |
{{{#white World Food Programme''' 세계식량계획}}}''' |
|
설립 | 1961년 ([age(1961-01-01)]주년) |
목적 | 식량 원조를 통한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 지원 |
본사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로마 |
설립 주체 |
유엔식량농업기구, 유엔 총회 |
링크 | [1] | [2] |
[clearfix]
1. 개요
공식 명칭은 유엔세계식량계획. 1961년 유엔총회와 국제 식량농업기구총회로부터 시작된 유엔 산하의 식량 원조 기구이다. 사무 총장임기는 5년이고 국제 식량 농업(FAO)기구에서 선출된 인원이 모여 매년 2회 정기회의를 한다. 본부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다. 한국은 1966년 WFP 정부간위원회 위원국으로 가입하였고 현재 WFP 한국사무소는 서울대학교 내 우정글로벌사회공헌센터에 위치해 있다.2020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WFP의 글로벌 친선 대사는 손흥민, Weeknd, Kate Hudson 등이 있다. 손흥민은 유엔기구의 몇 안되는 한국인 친선대사이다.
2. 기아 퇴치(제로 헝거) 캠페인
이름부터 식량이 들어가있는 만큼 다른 국제기구들보다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2030년까지 지구 상의 기아 인구를 없애겠다는 기아 퇴치 캠페인, 즉 '제로 헝거'를 펼치고 있다. 이는 2012년 반기문 당시 UN 사무총장이 발표한 제로헝거 챌린지(Zero Hunger Challenge, ZHL) 캠페인에서 발전된 것이다.2016년 기준을 전 세계에서 기근으로 고통받는 사람은 총 7억 9300만 명으로 추정되며 이 수치는 9명 중의 1명꼴로 계산된 것이다. [3] 엄청난 기아 규모 때문에 2030년까지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려워보일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기아 문제가 여전히 만연해있다는 일반인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기아 인구 비율은 최근 들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4]
2016년에는 기아 숫자가 다시 증가하여 감소세가 줄었으나 최근까지의 성적만 놓고 보면 기아 문제가 인구나 비율 측면에서 모두 감소하고 있다.
기아 문제가 계속 발생하면, 기근 문서에서도 나와 있듯이 선진국에 좋을 점이 하나도 없다. 식량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수록 윤리적인 문제도 문제지만 난민이 선진국으로 계속 몰려드니 최근 유럽 난민 사태와 같은 일이 더 발생하고 한국도 그 영향을 받을 것이다. 결국 난민 사태를 확실히 해결하는 방법은 기아 같은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 밖에 없다.[5]
2.1. 대북식량 지원 활동
WFP는 2019년 보고서에서 1995∼2018년 긴급구호활동을 통해 460만톤의 식량을 북한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엘리자베스 바이어스 WFP 대변인은 2020년 4월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 인구 40%에 달하는 1천만 명에게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5세 미만 어린이 10명 중 1명은 저체중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3. 위상
유엔의 주요 구호단체 중 하나로, 유니세프, 유엔난민기구와 함께 로고가 자주 보이는 기구이다. 당장 자급능력이 없는 인구에게 직접적인 식량 지원을 하며, 전세계 120여개국에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그만큼 자체 유통망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트럭부터 화물기와 선박까지 보유하고 있다. 이러는 이유는 WFP가 활동하는 지역이 안정적일거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2017년 군대가 도시의 육로를 차단해버리자, 화물기로 식량을 공수해 투입시켰다. #
3.1. 유니세프와의 위상 비교
아무래도 국제구호단체 중에서 도덕 교과서에서부터 계속 나오던 이름인 유니세프가 WFP보다 인지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유니세프는 후원 규모나 기구 규모, 인지도 등에서 WFP보다 한 수 위다.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같은 구호단체라고 하더라도 전문 분야는 차이가 있다. 유니세프는 전쟁 고아와 어린이를 위해 설립한 단체이고, WFP는 보다 포괄적 현안인 기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립한 기구이다.그러나 최근 위의 영상처럼 유니세프한국위원회가 횡령 및 성희롱 문제로 인하여 호된 비판을 받으면서 새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WFP와 함께 유니세프한국위원회의 논란으로 인해 반사이익을 본 다른 기구는 유엔난민기구(UNHCR). 하지만 기부자들은 대부분 WFP 등을 대안으로 여겨 기부처를 옮기기 보다는 그냥 국제구호기구를 통틀어 불신하는 경향이 높아진 듯.
이런 사건뿐만이 아니더라도 유니세프나 기부의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먹튀, 사기, 생활습관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기부 등으로 선뜻 기부에 동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만약 기부에 동참할 생각이 있는데 위같은 문제 때문에 선뜻 기부에 나서기 어렵다면, 유니세프보다는 덜 유명해도 엄연히 UN 관련 국제기구로서 공신력이 큰 WFP 등에 기부하는 편이 낫다. 이쪽은 식량분야라는 특성으로 인해 시장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해서 제공해야하므로 돈을 빼돌리기가 비교적 어렵고, 위같은 흑역사를 지닌 기구들보다는 신뢰성이 높다.
또한, 유니세프와 다르게 지원 방식에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 것과 다르게[6] WFP는 음식을 지원해서 상대적으로 문제가 생길 확률이 적다.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은, 후원자가 기부를 하면 해당 금액이 지역 지부(한국 사무소)를 거쳐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로마 본사에 직접 기부금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부할 때는 해외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 혹은 PayPal을 사용해야 하며, 원래는 기부 시 통화를 원화(KRW)로 할 경우 환율 변동으로 인해 나중에 카드 청구서가 날아올 때는 결제금액이 변동이 있을 수 있었으나, 최근 후원해본 결과 후원금액 그대로 결제된다. 또한 이전에는 기부금 영수증도 직접 제출해야 했으나, 2018년부터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 자동으로 반영되고 있다. 다만 후원에 관한 대부분의 사항을 온라인으로 조정 할 수 있는 유니세프와는 달리[7] WFP는 첫 정기후원 신청 외에[8] 전화 아니면 이메일로만 후원 문의를 받는다. 이러한 불편함이 있지만 중계 기관 없이 본부에 기부금이 직접 전달된다는 점 때문에 오히려 더 높은 신뢰를 주는 긍정적인 면도 없지는 않다.
WFP 한국사무소에서 한국사무소 홈페이지와 네이버의 해피빈을 통한 기부를 받고 있다. 해피빈 특성상 별도 수수료 없이 결제되고 기부금의 국세청 연동도 간편하며, 기부금 전액을 WFP 본부에 송금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WFP 한국사무소는 유니세프의 국가위원회처럼 본부와 따로 움직이는 사단법인이 아니라 국제기구의 직영 한국사무소이다. 한국사무소 해피빈
4. '음식낭비 절제와 기아 퇴치' 캠페인
일명 '제로 웨이스트, 제로 헝거'(Zero Waste, Zero Hunger)WFP 한국사무소가 2019년 시작한 캠페인이다. 말 그대로 버려지는 음식물을 줄여 기아를 퇴치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전 세계 음식물의 1/3 이 버려지는데, ‘제로 헝거’ 메뉴 등을 개발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이렇게 절감한 비용 일부를 WFP에 기부해 식량 부족 문제를 해소하자는 것.
CJ프레시웨이와 구내식당에서 캠페인을 시범 운영했으며, 이 외에도 여러 기업 및 지자체와 파트너십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1) 개인은 먹을 만큼만 먹어서 건강을 챙기고, 2) 식당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3)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을 줄여서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켜 환경을 지키고, 4) 절약한 비용을 기부해 기아 퇴치에 이바지하는 '1석 4조 캠페인'이라는 취지.
5. 관련 뉴스
5.1. 2023년
- 예산 부족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에서 지원이 약속된 천만명의 사람들이 식량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자원이 부족해 모든 아사 위기에 있는 사람에게 지원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
6. 관련 링크
WFP 한국사무소 인스타그램 주소WFP 한국사무소 페이스북 주소
WFP 공식 네이버블로그 주소
WFP 페이스북 페이지 주소
WFP 한국사무소 해피빈
WFP 한국사무소 홈페이지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