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통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신조어 | 초고속 인터넷 · 기가 인터넷 · 10기가 인터넷 |
기술 용어 |
HFC ·
FTTx(
FTTH ·
FTTB) ·
ADSL ·
VDSL ·
ISDN ·
CO-LAN ·
DHCP ·
비디오텍스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 10기가비트 이더넷 · 100기가비트 이더넷 · 테라비트 이더넷 |
|
방송 | IPTV · 케이블 방송( 셋톱박스) | |
브랜드 | KT 인터넷 · B 인터넷 · U+ 인터넷 | |
케이블 | 이더넷 케이블 · 광 케이블 · 동축 케이블 | |
관련 문서 | 케이블 인터넷 · 유사광랜 · 두루넷 · 핑 · 비대칭형 인터넷 논란 · 인터넷전화 · 인터넷 공유기 · 망 중립성 · 망 사용료 | }}}}}}}}} |
1. 개요
HFC와 VDSL 망만으로 다운로드 속도를 100Mbps 혹은 500Mbps 급으로 올린 인터넷 서비스이다.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 100Mbps 혹은 500Mbps까지 나오기 때문에 광랜이라고 광고를 하고 있다.그러나 전화선이나 케이블 방송에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 기반이기 때문에, 광 케이블을 사용하는 진짜 광랜에 비해 다운로드 속도만 광랜의 1/2 정도 속도가 나올뿐 업로드 속도는 다운로드 속도의 1/5 ~ 1/10 정도 나오는 비대칭형 인터넷이기 때문에 업로드 속도도 다운로드 속도와 같은 대칭형 인터넷 1Gbps 급 광랜과는 품질 차이가 크다.
2. 역사
더 저렴한 비용과 더 발전된 기술을 통해 한정된 대역폭과 열약한 네트워크 기반시설을 갖춘 곳에서도 광랜의 1/2 정도 속도로 서비스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통신사들이 일반 FTTH와 차이가 나지 않는 요금 책정을 하는 등의 소비자 기만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줘서 한국에서는 짝퉁 광랜 취급을 당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 인터넷과 광랜( FTTx) 서비스는 엄연히 다른 서비스이며, 양쪽 모두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물론 소비자는 인터넷 연결 속도가 최고의 관심사이자 최종적 문제이기 때문에 전화선과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케이블 인터넷의 유사광랜 서비스보다는 광 케이블로 손실없이 대칭 서비스가 가능한 광랜 서비스를 더 선호할 수밖에 없다.2010년대 들어 미국과 캐나다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로 대도시 지역에 다운로드 250~500Mbps 속도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 물론 아직도 대부분의 지역은 다운로드 100Mbps 혹은 그 이하의 속도로 서비스하는 중소도시 및 시골지역이 더 많은 게 사실이다. 이런 와중에 구글이나 일부 후발업체들이 결국엔 진짜 광랜서비스로 GAME Changer가 되고 싶어하고 있어서, 미국도 대도시를 중심으로는 광랜서비스와 유사광랜서비스가 경쟁 중이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도시를 딱 벗어나면 그대로 사망. 광라인을 설치를 하기엔 국토가 너무 넓고, 설치 인건비도 비싸며, 옥외설비를 하기엔 전신주를 전기회사로부터 비싸게 임대해야하고, 중간중간에 광분배기(Hub) 등의 기기설비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더이상 대규모 투자가 없이는 그 어떤 회사도 광라인 신설대비 수익이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화 업체도 투자를 아끼면서 광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FTTN서비스를 100% 광랜이랍시고 광고하고 있다.
결국은 전국망이 깔려있고 전화망보다는 우위에 있는 케이블TV 동축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이런 시스템이 그나마 미국 같은 환경에서는 대안이라면 대안이겠다.
2016년 이후 SK브로드밴드와 LG U+는 기존 구축된 동축 케이블은 그대로 두고 통신 장비를 신형으로 교체하여 다운로드 속도 500Mbps급 상품도 나오고 있다. SKB에서는 '기가 라이트', LG U+에서는 '기가 슬림'이라고 칭한다. 물론 비대칭 회선이라 업로드 속도는 다운로드 속도의 1/4 ~ 1/10 정도. 업로드 속도가 100Mbps, 다운로드 450Mbps 나오면 매우 잘나오는 것이고, 보통 다운로드 300~350Mbps 정도에 업로드가 20~50Mbps정도 나온다.
전화선을 이용한 광랜은 201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KT는 VDSL II, LG U+는 광랜V2 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다.
3. 특징
유사광랜은 동축 케이블과 전화선을 이용해서 하향 속도 100Mbps 혹은 500Mbps만 보장하고 있다. 다운로드 속도만 광랜과 동일한 100Mbps 혹은 500Mbps 이고, 기존의 동축 케이블과 전화선을 그대로 쓰면서 동축 케이블과 전화선의 전류량을 높이고, 거기에 고성능 모뎀을 활용하여 증속된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식이다.지역 케이블 TV 사업자(SO) 및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에서 패키지 상품으로 묶어 파는 경우가 많다. 물론 광고할 때는 광랜. 지역방송 케이블 인터넷, LG U+, SK브로드밴드 등 통신사에서 주택광랜이라고 나오는 것도 결국엔 유사광랜이라고 할수 있다.
전화선( VDSL)을 이용한 광랜 또한 유사광랜 중 하나인데, KT에서 GiGA Wire라는 기술을 개발하여 전화선을 통한 1 Gbps 인터넷을 상용화하였다. FTTx 설치가 불가능한 일부 아파트 세대에서 사용된다.
VDSL 방식의 유사광랜의 경우 KT 기준으로 100 Mbps급 회선은 업로드/다운로드 모두 100 Mbps에 근접한 대칭형 서비스가 제공된다. 하지만 1 Gbps급 회선의 경우 다운로드는 1 Gbps에 근접하지만 업로드는 약 1/4 정도의 속도가 나오는 비대칭 서비스가 제공된다.
4. 기타
유사광랜은 주로 VDSL의 기술을 사용하는데, 진보된 VDSL을 본격적으로 양산/실제로 적용하면 진짜 광랜 수준에 버금가는 속도(대역폭)/레이턴시(반응속도)를 낼 수 있다. 2가닥(1페어)만으로 기가라이트(상하향 500Mbps)급 수준의 인터넷 서비스. 기사 #2를 보면, 2가닥 랜선으로 약 500~600Mbps, 4가닥(2페어) 랜선으로 1Gbps의 대역폭을 뽑는 기술이 상용화되었다고 한다. 그것도 7년 전인 2016년에 말이다.[1]
[1]
하지만 서비스 가능한 지역은 한국에서도 극히 일부이며 이 또한 전화국에서 멀어질수록 느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