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8:14:52

이미르

유미르에서 넘어옴

1. 북유럽 신화
1.1. 기원에 대한 분석1.2. 행적
2. 토성의 위성3. 한국의 음악가 김이미르4. 창작물
4.1. 가공 인물4.2. 작품 설정4.3. 기타

1. 북유럽 신화

Ymir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최초의 요툰이자 최초의 존재이다. 같이 생겨난 암소 아우둠라와 더불어 모든 존재의 조상이자 서리거인들의 조상 격이다.[1] 아우겔미르(Aurgelmir), 브리미르(Brimir)[2], 블러인(Bláinn)라고 불리기도 한다.

1.1. 기원에 대한 분석

'이미르'란 이름의 뜻은 어원을 따지면 어처구니없게도 ' 쌍둥이'이다. 현대의 학자들이 추정하여 재구성한 원시 인도유럽인의 신화인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 따르면, 태초에 첫 사람 마누(*Manu)와 예모(*Yemo)가 있었다. '마누'는 사람, '예모'는 쌍둥이란 뜻이다. 마누는 신들의 도움을 받아 형제 예모를 죽여 희생제사를 바친 뒤, 예모의 시신으로 세상을 창조하였다. 이로써 인간세상에 희생제사가 생겼고, 마누는 첫 번째 사제가 되었다. 학자들은 북유럽 신화의 이미르가 원시 인도유럽부족 신화에 있었던 '예모'가 변형된 신화소라고 추정한다. 북유럽 신화에서는 오딘이 마누의 역할을 대신하였는데, 이 때문에 이미르란 이름의 '쌍둥이'란 뜻이 무의미해졌다. 북유럽 신화만 본다면, 왜 이미르란 이름이 '쌍둥이'인지 납득할 수 있을 리가 없다.

그리고 이미르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야마, 페르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잠시드, 로마 신화의 레무스와 기원이 같다. 같은 인도유럽계 민족이라서 가능한 일.

천지창조와 함께 태어난 태초의 거인이자 그 몸과 피가 세계를 만드는 재료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국 신화 반고, 메소포타미아의 티아마트와 매우 유사한 존재이다. 반고의 이름이 삼국시대 오나라의 문헌에서 최초로 등장하므로 중국 한족 본래의 신화가 아니라 오나라 지방 이민족의 신화 속 존재가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원시 인도유럽 신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반고 또한 이미르와 마찬가지로 예모(*Yemo)의 신화소로부터 파생된 존재라고 여긴다.[3]

이런 기원을 통해 이미르를 한 몸에 둘이 있는, 즉 양성체로 보기도 했으나 문헌에서는 이미르를 지칭할때 남성 인칭대명사를 쓰고, 신 에다에서도 "남성의 몸을 한 생명체"로 부르기 때문에 기원과는 별개로 남성으로 여겨진 듯 하다.

1.2. 행적

에다에서는 엘리바가르에서 튀어나온 에이트를 머금은 물방울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신 에다에서는 이 과정을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며, 저 에이트로 인해 독성을 띈 차가운 비가 내려서 긴눙가가프 서리로 뒤덮었는데, 이 서리가 긴눙가가프 북쪽에 있는 니플헤임의 냉기와 남쪽에 있는 무스펠헤임의 열기를 만나서 안개 혹은 이슬로 승화했고 거기서 이미르가 태어났다고 한다.

배고플 때는 동시에 태어난 아우둠라의 젖을 마셨고, 겨드랑이에서 요툰이, 발에서 머리가 여섯 개 달린 트롤/요툰 트루드겔미르가 태어났다.[4] 아우둠라도 옆에 있는 얼음(혹은 소금)을 핥았다고 하는데, 거기서 신들의 조상 부리가 태어났다고 한다.

그런데 이미르는 그 후에 태어난 부리의 손자들이자 자기 후손[5] 오딘, 빌리, 베 삼형제에 의해서 살해되었는데, 그 때 넘친 피의 홍수로 요툰들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빠져 죽었고 이 때문에 요툰과 신은 원수지간이 되었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요툰은 트루드겔미르의 아들 베르겔미르(울부짖는 자)와 그 아내로, 베르겔미르 부부는 서리거인들의 조상이 되었으며 정작 베르겔미르 본인은 신들과는 친한 편이었다고 한다.[6] 참고로 베르겔미르와 그 아내만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배를 만들 줄 알아서였다(혹은 지나가던 빙산에 매달렸기 때문이였다)고 한다.

오딘 삼형제는 이미르의 시신을 긴눙가가프에 던져 그 구덩이를 메운 후 그 바다를 만들었으며, 광물이, 치아 보석, 이 되었으며 양 태양, 눈물, 은 온갖 나무, 뇌수는 구름, 그리고 그 시체에서 기어나온 구더기 드워프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시신에는 , 피에서는 바다, 머리뼈에서는 하늘이 만들어졌다고도 한다. 그리고 눈썹으로 방벽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미르 본인의 관점에서는 오딘과 그의 형제들에게 정말 억울하게 죽은 건데 단지 태어나서 자신과 같이 태어난 암소의 젖을 먹으며 아무짓도 안하고 그냥 평화롭게 살고 있었을 뿐인데 토막 살해당한 것이다. 게다가 오딘 삼형제의 어머니 베스틀라는 이미르의 후손 즉, 오딘 삼형제는 이미르와 남이 아니라 이미르의 후손이다. 다만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오딘[7]"우리는 이미르를 신으로 여기지 않는다. 놈은 자기 후손인 요툰들과 마찬가지로 악한 존재다." 라고 한걸 보면 어떤 방식으로든 유해한 존재는 맞았던 것으로 보인다. 고 에다에 등장하는 요툰인 바프스루드니르 역시 "엘리바가르에서 흩뿌려진 독방울[8]에서 우리 조상 이미르가 태어났기 때문에, 우리 요툰들은 언제나 사악하다." 라고 말한다.신들도 이미르 후손인데 괜찮은가? 다만 이미르의 악행이나 해악이 제대로 묘사되지 않는 것은 사실인지라, 아동용 도서에서 이 부분을 다룰 때는 이해를 돕기 위해 요툰들은 태생부터 악한 종족이니 그 뿌리인 이미르도 당연히 제거했다고 하거나, 아니면 이미르가 계속 거대해져서 이대로 가면 세상 전체가 이미르로 뒤덮여버릴거라는 우려 때문에 죽였다든가 하는 추가설명이 나온다.[9]

본의는 아니지만, 창조에 깊은 관계를 갖게 된 존재이니만큼 열기에서 태어나 신들의 황혼에서 세계를 종말시킨 화염거인 수르트와는 속성이나 역할 등이 대비되는 신이다.

2. 토성의 위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미르(위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한국의 음악가 김이미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이미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본명 맞다.

4. 창작물

이그드라실(위그드라실)이 '유그드라실'로 표기되는 것처럼 이미르도 일본식 발음의 영향으로 '유미르'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4.1. 가공 인물

유래는 1문단의 #s-1가 유래인 경우가 많다

4.2. 작품 설정

4.3. 기타


[1] 정확히는 오딘이 이미르를 토막살해한 후 발생한 홍수에서 이미르의 후손 거인들이 떼죽음당할 때 홍수에서 겨우 살아남은 후손 베르겔미르 부부가 서리거인의 시조이므로 이미르는 서리거인을 비롯한 여러 거인의 공통 조상이다. [2] 피를 머금은 습기라는 뜻. [3] 실제로 중국 서부 지역에 인도유럽계 민족들이 살고 있었다. [4] 수면과 땀을 통해 존재를 탄생시키는 이러한 설화는 이미르의 내면에 창조적 힘이 있음을 암시한다. [5] 오딘 삼형제의 어머니 베스틀라는 거인으로 당연히 이미르의 후손이다. [6] 아니면 살아남기 위해서 피눈물을 삼키며 오딘 삼형제와 친한 척 했을지도... [7] 하르(Hár) 혹은 야픈하르(Jafnhár) 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8] 에이트는 그 자체로 맹독이지만 온갖 악덕의 근원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9] 만화로 보는 북유럽 신화에서는 두 가지 이유가 모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