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6:45:07

원상(삼국전투기)

1. 개요2. 설명3. 작중 행적

[clearfix]

1. 개요

최훈 작가의 작품 삼국전투기에서 등장한 원상을 서술하는 문서.

2. 설명

데긴으로 역변한 원소의 젊은 기믹을 이어받아 가르마 자비로 나온다. 원소의 아들들 중 가장 마지막에 등장했는데, 당시 가르마는 원소가 먼저 써먹었고 원담이 기렌 자비로 나왔으니 기렌과 대립관계였던 키시리아 자비로 나올 것이란 예측도 많았지만 결국 원소의 젊은 모습과 똑같다는 설정으로 가르마 자비로 등장한다.

다만 머리모양과 색깔이 미묘하게 다르고[1] 정복을 입고 나오던 원소와 달리 항상 갑옷차림에 등엔 칼을 메고 있는 디자인인데, "우유부단한 원소와 달리 과감하고 결단력이 있지만 정치적 역량은 비할 바가 못된다."는 소개를 보면 대체로 전투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듯 하다.

3. 작중 행적

역경 전투에서 원소군의 에이스 중 한 명으로 처음 등장[2]했다. 문추, 순우경 등과 함께 공격을 들어온 공손찬군을 격퇴하기도 했으며, 역경루가 무너지자 가장 먼저 중앙누각으로 달려가 공손찬을 죽이는 공을 세우고 실속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녀석이라고 공손찬을 비웃는다.아무리 봐도 창천항로 따라한 것 같다

소패2 전투에서는 조조쪽으로 갈아탄 선비족 문제를 흉노의 선우와 의논하고자 부장 견초와 함께 국경 부근인 이석으로 이동했다. 견초가 이런 일로 직접 움직일 필요가 있냐고 묻자 무슨 일이든 직접 움직여야 주목을 받는 법이고, 특히 탁상공론자인 과는 더욱 비교가 될 것이라며 후계자 자리에 대한 야망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후 선비족의 기습을 받게 되고, 그 소식을 듣고 냅다 도우러 달려온 원소와 조우하지만, 정작 선비족의 공격에는 큰 피해가 없던 것으로 묘사된다.

창정 전투 편에서는 이후 연의와 믹스해서 창정전투에 병이 든 원소 대신 총대장으로 참전하게 됐다. 원소의 의도는 원상이 조조를 치고, 그것을 원담이 서포트하게 하여 각자의 역할을 인지하게 하는 거였지만, 애초에 원상은 원담에게 떡고물을 넘겨 줄 생각이 전혀 없었기에 속전속결로 끝내버리려고 작정한다. 이후 창정에 도착하고, 고간에게 합류한 뒤 지휘권을 넘겨 받는다.

이후 고간이 자신이 적군을 요격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전투를 빠르게 끝낼 생각이었던 원상은 자기가 직접 선봉에 서서 총공세를 나서겠다고 주장했다. 고간이 너무 서두르는 거 아니냐고 지적하자 적도 똑같은 생각을 할 테니 그 허를 찌르는 것이라고 둘러대고 자기가 이끄는 선봉대가 교전을 시작하면 전군을 끌고 들어오라고 고간에게 명령했다. 그리고, 조조군의 선봉으로 나온 사환을 죽이며 기세를 잡고, 조조군을 10여 리 가량 밀어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이후 정욱에게 지나치게 서두르고 있다는 점을 간파당하게 되고, 다음 번에도 총공세로 올 것까지 간파당해 버리게 된다. 이후 우금과 교전하게 되어 우금을 강가까지 몰아넣는 듯 싶었지만 애초에 우금이 원상을 잡기 위한 정욱의 미끼였고, 그렇게 정욱의 십면매복계에 걸려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면서[3] 대부분의 병사를 잃으며 완전히 작살나고 간신히 목숨을 건져 달아난다.

이 소식을 들은 원소의 병세가 악화되어 식물인간이 된 사이 심배, 봉기와 업을 장악하고 원담의 후계자 자리를 가로챈 것으로 나오는데, 원소의 사망을 두고 1년 이상 의식불명 상태였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로 얼렁뚱땅 넘어갔기에 욕을 많이 먹었다.

평양 전투 편에서는 원담이 청주에서 업으로 오는 사이 발빠르게 원소의 빈 자리를 차지하고 원담을 몰아냈다고 언급된다. 밀려난 원담은 여양에 자리를 잡게 되었는데, 여양으로 조조군이 쳐들어오자 원담은 원상에게 원군을 요청했으나 원상은 지원받은 군사로 자신을 공격하려는 것 아니냐며 거절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담과는 별개로 조조군이 쳐들어오는 것은 막아야 했기에 원상은 심배에게 업을 지키라고 시킨 뒤 직접 군대를 끌고 여양으로 출진하지만 조조에게 대패하게 되었고, 조조군은 강한 반면 아군은 구심점이 사라진 직후라 흐트러진 상태라서 정면 대결은 승산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우회해서 조조군을 공격하기로 정했고, 방비가 튼튼한 동부보다는 서부 전선을 공략하는 게 유리하다고 여겼기에 서부 전선을 공략하기로 한 뒤 심배에게 이를 전달했다. 다만 서부 전선 공략은 마초, 방덕에 의해 곽원군이 전멸당하면서 실패하게 됐다고 묘사된다.

업 전투 편에서는 여양을 조조에게 뺏긴 뒤 잠시 원담과 손을 잡고 조조에게 대항해 조조를 잠시 주춤하게 만들기도 했으나 조조가 군을 물리자마자 다시 원담과 거하게 한 판 붙었다고 언급된다. 이후 원담을 평원으로 쫓아 버리는 데 성공했고, 아예 원담을 무너트려 버릴 작정으로 평원까지 쫓아가서 여광을 시켜 원담의 마지막 장수인 잠벽까지 죽이면서 승리하는 듯 했으나, 원담의 항복을 받아들인 조조가 업을 공격하게 되자 여광, 여상을 평원에 남겨 두고 업으로 회군했다. 그리고 여씨 장수들은 원상이 돌아가자마자 즉각 원담에게 회유돼 버렸다(...)

그렇게 업으로 돌아왔지만, 심배에게 원담을 잡는 게 우선이라는 말을 듣고 업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켜내겠다는 심배의 다짐을 들은 뒤 마연, 장의를 선봉으로 삼아 다시 평원으로 진출했다.

그러나 업이 위태롭다는 의견을 듣고 역시 자기가 남았어야 했다고 투덜대며 자신은 조조의 뒤로 돌아서 간 뒤 업성과 함께 양쪽에서 공격하기로 하지만, 조조에게 읽혀 버린 바람에 서황에게 막히게 되었고, 결국 패배한 뒤 조조에게 항복하지만, 조조가 항복을 받는 척 하면서 원상의 군을 초토화시켜 버려서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된 원상은 원희가 있는 유주로 도망쳤다.

유성 전투 편에서는 유주의 원희에게 의탁하던 중 견초를 보내서 고간과 동맹을 맺어 보려고도 했으나 실패하기도 했다. 견초 또한 이 이후 아예 조조에게로 갈아탄 건 덤. 유주에서 초촉의 반란이 터지자 원희와 함께 답돈이 있는 요서로 도망치기도 했다. 답돈이 죽은 뒤에는 다시 요동의 공손강에게로 도망치지만[4] 공손강이 자기에게 의탁한 원씨 형제를 죽이면서 사망했다고 묘사되었고, 그 목은 조조에게 보내졌다.

원담 폐출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으나 한 독자가 이를 지적하자 단행본에서 원담 폐출에 대해 언급하며 이를 적극 부정했는데, 문제는 일정한 논거를 들어 반박한 게 아니라 "못 믿겠다, 아니겠지, 그만하자"는 행간이라.

삼국전투기 역시 어지간한 2차 창작물과 비슷하게 관도전투 이후 급전개가 진행되어 창정전투와 원소의 사망도 날림이란 말이 많았지만 원소 사망 이후와 오환 원정까지는 대놓고 날림으로 연재해서 6화만에 끝내버렸는데, 그 와중에 마초 띄워준다고 중심축이 아니라 곁가지에 가까운 곽원과의 전투에만 그 절반인 3화를 할애했기 때문에 사실상 여양 전투부터 시작된 원상과 조조의 5년간의 대립을 단 3화만에 끝내버린 샘이다.

이후 3화를 더 연재한 뒤 1부 종결이란 말로 6개월간 휴재를 때려버렸다. 본래 이보다 한참 이전부터 답돈을 등장시키며 뭔가 있을것처럼 묘사했는데, 답돈 역시 단 한컷만에 순삭당했기 때문에 당초 계획은 최훈이 강한 빠심을 밝혔던 곽가나 장료를 띄워주기 위해서라도 원소 사후 원가에 대해(혹은 최소한 유성전투 정도는) 나름 비중 있게 연재하려다 아무래도 귀찮아지면서 소드마스터 야마토마냥 급전개로 간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아이러니하지만 이러고도 다른 삼국지 매체에 비하면 이게 충분히 많이 묘사한 거다


[1] 머리모양은 일부러 다르게 하려고 했다기보다는 그냥 연재하는 와중 그림체가 안정화되며 바뀌어서 다르게 보이게 된 것에 가깝다. 실제로 에필로그에서 재등장하는 원소의 젊은 모습은 원상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머리색은 실제로 원상 쪽이 조금 더 밝은 톤으로 묘사된다.일단 구분은 해아 될 테니 [2] 덤으로, 본인이 공손찬을 사살한 에피소드인 역경 전투 (4)편의 타이틀 컷을 차지하기도 했다. [3] 이 때, 깨알같이 배신자 장합을 알아보고 저 자식 죽여버리겠다며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다. [4] 원상은 자꾸 도망만 치는 자기들의 처지를 두고 점점 유비화가 진행되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4.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