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전신인 기아 엔터프라이즈 시절의 색깔 지우기와 관련되어 생긴 구설수들이 메인이다.2. 기아 엔터프라이즈 시절 정통성 논쟁
모비스 농구단의 역사는 2001년 현대모비스가 기아자동차 농구단의 새 주인이 되면서 시작된다. 사실 모비스로 바뀌기 전에 이미 부산을 떠나 새 연고지인 울산으로 이전한 상태였다. 게다가 본래 단장이었던 김익환 이사와 부단장이었던 정재공 부단장이 KIA 타이거즈 창단 과정에서 전부 유출되는 바람에 프런트도 통째로 교체된 상황이다.모비스로 바뀌고 맞이한 첫 해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마지막 멤버였던
최희암은 부임하자마자 자신의 입맛에 맞는 농구 지향과 리빌딩을 위해 프런트와 짝짜꿍하며 자신의 인맥 심기 및 기존 기아 왕조의 주축 선수들을 대폭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 작업의 시작으로 KCC 농구단에서 기술 고문을 하던 72세의 고령인 이우재를 코치로 영입했고, 미국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자신의 대학 제자인 박승일을 전격적으로 코치로 임명했다. 그 후 1999-2000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여 전년도까지 모비스에서 코치를 하고 있던 김유택과는 재계약을 하지 않았다.(사실상 내쫓은 셈)[1]
결국 김영만은 훈련 불참을 선언했고
기아 왕조의 상징이었던
그런데 자신의 제자들을 잔뜩 데려온 것만으로는 어째 불안했는지, 이번에는 전주 KCC 이지스와 3:3 트레이드를 하게 된다. 아무래도 오성식이건 우지원이건 2% 부족한 선수들이라고 생각하여 군 제대후 얼마 지나지 않았던 표명일, 프로 3년차 포워드 송태영, 기아 시절부터 뛰었던 공격력은 형편없었지만 그래도 몸빵은 되었던 센터 김동언을 내주고 단신가드 김태진, 센터 구본근, 이상영을 데려온 것. 여담으로 구본근의 경우는 부상으로 조기 은퇴,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박승일 코치의 대타로 갑자기 코치로 선임되었다가[3] 현재는 매니저와 주무를 거쳐 모비스 농구단의 프런트 직원(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당연히 올드 기아 팬들이 주축이었던 모비스 팬들은 난리가 났다. 하루아침에 팀의 기둥이 뽑힌 격이었다. 한마디로 새출발한답시고 "전통? 그게 뭐임? 개나 줘버리세여" 라는 태도로 일관하며 그 파급효과는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다. 심지어 "그럼 관중도 연대 출신만 받지 그러냐" 라는 비아냥이 나왔을 정도였다. 그래도 최희암은 첫 해에 6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원주 TG에게 발리며 광탈, 그 다음 시즌에는 10위로 떨어지면서 사퇴하게 되었고 이는 대학농구 지도자들의 KBL 수난사의 시작이 된다.[4]
결국 농구대잔치 시절 7회 우승과 더불어 프로농구 원년 우승과 초창기 강호로 군림했던 기아 농구단은 사실상 맥이 끊기고 말았다. 2000년 은퇴와 동시에 영구결번 처리된 김유택의 등번호 14번은 지금도 영구결번으로 이어져 오고 있지만 정작 김유택은 단 한번도 모비스 소속으로 경기를 뛴 적이 없다. 그리고 모비스에서 팽 당한
그 때문에 과거 기아자동차 팬이었던 사람들 중 상당수는 모비스 농구단과 기아 농구단이 엮이는 걸 굉장히 싫어한다. 한 마디로 후신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그 예로 인터넷 상에서 모비스와 기아를 엮는 기사가 나올 경우 "지랄하네..." 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과거 기아자동차 팬이었던 사람들은 아예 농구를 보지 않거나, 다른 팀[7]을 응원하는 경우가 대부분. 가끔 위에 서술된 모비스와 기아를 엮는 기사에서 기아자동차 팬이었던 사람들과 우지원, 양동근이 스타로 발돋움한 뒤 유입된 팬들끼리 키배가 붙기도 했다.
물론 공식적으로는 기아자동차 농구단을 계승한 팀이기에, 모비스의 홈 구장인 울산동천체육관에는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첫 우승 엠블럼이 달려 있다. #
전형적인 감탄고토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구단 공홈의 연혁에 과거 팀의 이력을 싹 지워버린 몇 몇 팀들을 생각하면 모비스에게만 돌을 던지는 것이 과연 합당한지는 생각해 볼 일이다. 거기에 울산 현대모비스의 역사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우승 시즌 유니폼 전시에서 (현재팀인 현대모비스의 엠블럼이 아닌) 우승 당시 팀이자 전신인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엠블럼을 박아넣은 성의가 보인다.(유니폼 6개중 제일 왼쪽) 하지만 인수 초기의 행보가 너무 거침 없었기에 올드팬들의 입장에서는 가슴앓이로 이어지고 만다.
3. 연고지 정착 미흡: 용인 현대모비스?
울산광역시로 연고지를 옮긴 지도 어느덧 20년이나 지났지만, 현대모비스는 클럽하우스를 비롯한 선수들의 숙식 및 비시즌 훈련을 모두 용인시에 있는 현대모비스 용인체육관에서 해결한다. '시즌 중'에는 울산 북구 양정동에 위치한 숙소에 머물기도 하지만, 이는 울산과 가까운 대구, 부산, 창원 지역 팀과 경기가 잡혀있을 때만 사용되고 있다. 즉, 비시즌에는 울산에 없고 용인에서 머무는 것이다. 이 팀의 연고지가 울산인 걸 생각해보면 용인 숙소와 완전히 주객전도가 되어버린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사실상 용인 현대모비스가 울산에 순회경기 뛰러 오는 거라는 소리가 나온다.[8]이는 비단 현대모비스만의 문제는 아닌,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중 연고 이전이 밥 먹듯 일어나는 한국프로농구 자체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그 중에서도 가장 연고지 정착이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울산 지역 팬들 입장에서는 홈 경기를 제외하면 "이 팀이 정말 울산 팀/선수들이 맞는 건가?" 싶을 정도로 울산에서 현대모비스 선수들을 보기가 정말 힘들다. 실제로 울산에서 경기를 마치면 현대모비스 선수단은 곧바로 클럽하우스로 가는데, 문제는 이 클럽하우스가 울산이 아니라 용인시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연고 지역의 팬들과의 유대감이 매우 낮다. 이는 울산 지역의 또 다른 프로 스포츠 구단인 울산 HD FC와 비교하면 더욱 비판 받는 부분이다. 울산 HD는 울산 안에 클럽하우스가 있는 덕분에 선수단 전원이 시즌 중에는 적어도 울산에 있으며, 현대중/현대고/울산대 등 지역 유소년 육성 시스템을 확립하여 울산 시민들로부터 '울산의 축구팀'이라는 인식이 확실하게 박혀 있다. 거기에 모기업인 HD현대 역시 국가대표급 선수 및 감독 영입 등 구단을 향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구단은 높은 성적으로 보답하고 있다. 이렇듯 모든 것이 선순환 되니 어느덧 평균 유료 관중이 1만 명은 가뿐히 넘기는 인기 구단이 되었다. 실제로 울산 HD와 울산 현대모비스 구단에 대해 울산 시민들에게 물어보면 울산 HD의 인기와 인지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현대모비스와 울산시는 뒤늦게라도 연고지 정착을 위해 클럽하우스 이전 등을 논의하고 있지만 협의가 잘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와중에 kt 소닉붐이 부산시와의 갈등만 아니라 형제야구로 인해 수원시로 연고이전을 했고 KCC 이지스가 전주시와의 갈등 끝에 연고지를 부산광역시로 이전하자, 현대모비스와 울산시의 관계에 더욱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현대모비스 구단에 의하면 울산광역시 체육과와 긴밀한 협조를 하며 과거 기아 시절의 흑역사와 전 연고였던 부산 농구 팀들의 흑역사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있다.
4. 판정과 관련된 팬덤간의 시비
2010년대 초반 당대 최고의 선수들이 3-peat를 구축하면서 현대모비스 팬들이 많이 늘었다. 팬덤이 커지다보니 그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었는데, 최근 문제로 거론되는 것이 유재학, 양동근에 대한 신격화 내지는 무차별적 찬양 및 과도한 실드로, 이것 때문에 안티팬을 늘리는 수준을 뛰어넘어 거의 공공의 적으로까지 몰리는 경우가 심심찮게 발생한다. 뭐 유재학의 경우는 KBL이나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커리어를 보여준 것도 있고, 모래반지 빵야빵야라던지 전준범이나 민국이 관련 개그짤의 비중도 커서 안티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하고 농담조 선에서 끝나기는 한다.[9] 사실 이 극성팬들이 일으키는 더한 문제는 선수들에 대한 맹목적인 실드다. 물론 현대 프로스포츠의 특성상 좋은 성적을 내는 클럽의 팬들이 어그로를 끄는 건 국가, 리그, 종목을 불문하고 자주 볼 수 있는 일이다.대표적인 예로 함지훈의 모빙스크린, 함꿈치 논란, 양동근의 티타임[10] 논란, 꼰대질 사건을 비롯하여 현대모비스 선수들의 거친 플레이[11] 등이 있다. 이런 플레이가 나올 경우 대부분 상대팀에게 불리한 판정이 수반되는 이른바 몹판 논란과 이 행위에 대하여 현대모비스 팬들이 하는 육탄방어 수준의 맹목적인 실드 탓에 타팀팬들의 불만이 매우 크다. 이런 악성 팬덤들을 가리키는 모원파라는 별명이 몇 년 전부터 고착화되었다는 것은 팀 이미지 측면에서도 좋은 현상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1]
이후 김유택은 모교인 명지고등학교에서 감독을 맡게 된다.
[2]
김익환 단장 및
정재공 부단장 겸 사무국장. 이들은 KIA 타이거즈의 초대 대표이사와 단장으로 부임했다.
[3]
둘은 초,중,고,대학까지 선후배다.
[4]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하위로 떨어진 2003-04 시즌
전주 KCC 이지스와의 트레이드에서 외국인 선수 R.F. 바셋과 바꾼 1순위 지명권으로
양동근을 지명한 것. 여기에 전자랜드를 4강에 올린
유재학 감독을 영입하면서 재건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5]
다만 강동희의 경우는 2013년 3월 7일부로 2010-11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4차례
승부조작을 한 것이 드러나 구속영장이 신청되었으므로 오히려 신의 한 수가 되어버렸다. 자세한 내용은
강동희 혹은
2013년 프로농구 승부조작 사건 참조.
[6]
후일 이상민이 삼성에서 영구결번을 받으면서 비슷한 풍경이 나오고 만다.
[7]
부산 kt 소닉붐으로 넘어간 예가 가장 많다. 전신팀인 기아 엔터프라이즈부터가 부산 연고기도 해서 그 외엔 허재 이적 이후로 실업 시절 기아자동차의 주축이기도 했던 중앙대 라인이 재결성된
원주 DB 프로미 정도.
[8]
아닌 게 아니라 현대모비스 구단 측에서 비시즌 기간 중 울산에서 훈련한 영상을 올리며 울산 전지훈련이란 표현을 썼다.
# 연고지에 개의치 않는 모비스 팬들이라면 별 감흥이 없겠지만, '울산' 모비스 팬들에겐 씁쓸한 장면.
[9]
함지훈 테이프 사건, 김수찬 꿀밤 사건, 미디어데이의 노잼벗 등 비판이 있긴 있다.
[10]
승부가 갈린 4쿼터 막판 시점에 더 이상 경기를 진행하지 않고 시간을 보내는 것. 사실 이건 모비스 팬들 사이에서도 약간 논란이 있다.
[11]
최근 몇 시즌 동안 이런 부상 유발 위험이 큰 플레이들을 주전급 선수들도 자행한다는 점에서 안티팬들 증가에 큰 영향을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