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21:18:02

제6-1광구

울릉분지에서 넘어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광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해 동해 남해
제1광구· 제2광구· 제3광구 제6-1광구· 제8광구 제4광구· 제5광구· 제6-2광구· 제7광구 }}}}}}}}}
대한민국 제6-1광구 석유가스전
Block Ⅵ-Ⅰ Mining Area
파일:대한민국 배타적 경제수역 지도.png

1. 개요2. 역사
2.1. 시추내역
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제6-1광구는 동해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배타적 경제수역 일대에 설정된 자원 탐사구역으로, 제6-1광구에는 울릉분지라는 동해의 남서쪽, 울릉도 독도의 남측에 위치한 해저분지가 있다. 이곳에서는 대륙붕 면적이 좁지만, 20여개 이상 탐사시추한 결과, 동해 가스전을 발견하여 상업생산을 해냈다.

2. 역사

1970년 박정희 정부시절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이 시행되면서, 외국 석유메이저사들이 한국에 진출해서 조광권을 신청했다. 1972년 사가 돌고래-1구조에 탐사시추했으나 유정 발견에 실패하였다.

한국석유공사가 1985년부터 1995년까지 단독으로 10개 공에 대한 시추를 하였다. 그 결과, 5군데에서 양질의 가스발견에 성공하였으나 매장량이 너무 적어서 상업생산에 실패하였다. 1998년 7월 27일 울산광역시 동남쪽 50km 해역에서 탐사시추한 결과, 고래-Ⅴ구조의 심도 2천2백91∼2천4백70m사이의 4개 구간에서 양질의 가스층을 발견하였고, 1999년 6월 6일 평가시추결과,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되어 개발에 착수하였다.[1] 2004년 11월 5일에 동해 가스전으로 상업생산이 시작되었다.[2]

동해 가스전 발견이후, 인근 지역에 추가 탐사결과, 2005년 3월 3일 동해-1 가스전 인근 80만톤 규모의 새 가스층[3]을 발견하였으며, 2006년 2월 20일 고래14구조에서 22만톤 규모의 새 가스층을 추가로 발견했다. 해당 가스층들을 동해 가스전 생산설비에 연결해서 생산해내다가, 2021년 12월 31일 매장량 고갈로 동해 가스전에서의 가스 생산이 종료되었다.

2.1. 시추내역

||<tablebgcolor=#FFF,#333><tablebordercolor=#ccc><tablewidth=100%> 연도 || 시추공명 || 시추선 || 시추심도 || 시추결과 || 참여회사 || 비고 ||
1972년 돌고래 1구조 Ocean Prospector 4,262m 건공 쉘사 -
1987년 12월 돌고래 3구조 두성호 3,216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1988년 돌고래 3-1구조 두성호 3,623m 건공 한국석유공사 -
1988년 돌고래 3-2구조 두성호 3,143m 건공 한국석유공사 -
1988년 돌고래 2구조 두성호 3,230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1989년 12월 돌고래 5구조 두성호 2,012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1990년 돌고래 5-1구조 두성호 3,237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1990년 돌고래 7구조 두성호 4,616m 건공 한국석유공사 -
1993년 9월 고래 1구조 Jim Cunningham 4,229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1994년 고래 1-1구조 Atwood Oceanics 3,896m 건공 한국석유공사 -
1995년 고래 1-2구조 Atwood Oceanics 3,800m 건공 한국석유공사 -
1998년 7월 고래 5구조 두성호 2,291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2005년 3월 고래 8구조 두성호 2,247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2006년 2월 고래 14구조 두성호 1,761m 가스발견 한국석유공사 #

3. 여담



[1] 울산 앞바다 대륙붕 가스층, 경제성 있는것으로 평가 [2] 40년 만에 이룬 꿈 [3] 34만가구 2년 쓸 가스층 발견…울산앞바다 고래-8 광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