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우크라이나어의 문법을 서술한 문서이다.우크라이나어는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유럽조어의 흔적을 상대적으로 많이 보존하여 격이 많고 곡용이 복잡하다.[1] 다만 러시아어에 비해 격이 1개 더 많다.(7격: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도구격, 장소격, 호격)
2. 품사
2.1. 격
격(case)은 문장에서 명사가 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크라이나에서는 7개의 격을 가지며, 명사나 형용사 등이 격변화에 의해 변화된다.격 | 의미(설명) | |
1격 | 주격 | '~이/가'와 같이 문장이 주어의 역할과 비슷한 격이다. [2] |
2격 | 생격 | '~의'와 같이 소유, 소속 관계를 나타낸다. [3] |
3격 | 여격 | '~에게'와 같이 간접목적어의 기능을 한다.[4] |
4격 | 목적격(대격) | '~을/를'처럼 직접목적어의 기능을 한다. [5] |
5격 | 도구격(조격) | '~와 함께, ~를 통해'와 같이 문장에서 행위를 수행하는 방법이나 수단, 도구를 표현한다.[6] |
6격 | 전치격 | '~에, ~에서'와 같이 대상이나 동작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전치사와 동반한다. |
7격 | 호격 | '~야'라고 누군가를 부를 때 사용된다. [7] |
3. 명사
3.1. 개요
명사는 사람과 사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문법적으로 남성, 여성, 중성명사로 나뉘어지며, 남성명사는 살아있는 활동체 남성명사와 활동하지 않는 비활동체 남성명사로 나뉜다. 그리고 수(단수, 복수), 격에 의해 변화된다.3.2. 명사의 성
사람과 사물을 지칭하는 명사는 세가지 성으로 나뉘며,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남성 | 여성 | 중성 |
자음 또는 -ь로 끝남 | -а 또는 -я로 끝남 | -о 또는 -е로 끝남 |
він | вона | воно |
син | донька | небо |
цирк | лампа | море |
олівець | киця | вікно |
-
예외로 일부 자음 중 -ч, -ж, -ш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명사다.
ex) ніч, річ -
-ь로 끝나는 명사 중 일부가 여성명사다.
ex) сіль, приємність - -я로 끝나는 명사가 중성인 것도 있다. ім'я, питання
3.3. 명사의 수
우크라이나어 명사에는 단수와 복수가 있다. 보통 어미 변화에 의해 구별되며,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마지막 자음이 경음인 경우 단어의 끝에 -и를 붙인다,
ex) кімната -> кімнати, сад -> сади -
단어의 끝에 연음기호 -ь나 -я, -ю, -є가 붙어 앞의 자음이 연자음일 때 -ь, -я, -ю, -є를 떼어내고 -і를 붙인다.
ex) вітальня -> вітальні, учитель -> учителі -
-ж, -ч, -ш, -щ, -ц로 끝나면 -і를 붙인다.
ex) кущ -> кущі -
-й 또는 -я로 끝나는 명사는 -й와 -я를 -ї로 대체한다.
ex) гай -> гаї, шия -> шиї
예외 또한 존재한다.
друг -> друзі, квітка -> квітки
англієць -> англійці, будинок -> будинки
стілець -> стільці, ґанок -> ґанку
олівець -> олівці, день -> дні
중성의 복수화는 다음과 같다.
-
-о는 -а로 변화한다.
ex) вікно -> вікна, село -> села, дерево -> дерева -
-е는 자음 앞이 경자음이면 -а, 연자음이면 -я로 변화한다.
ex) прізвище -> прізвища, море -> моря
3.4. 명사의 격
우크라이나어 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한다. 격에도 성, 수에 따라 변화한다.3.4.1. 주격
3.4.2. 생격
3.4.3. 여격
여격은 문장에서 동사의 간접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의 격이며, 한국말로 '~에게'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여격을 만들 수 있다.- 단수 남성명사는 -у, -ю 또는 -ові, -еві, -єві 어미를 가진다.
- 단수 여성명사는 -і, -ї, 단수 중성명사는 -у, -ю 어미를 가진다.
- 복수 명사는 모두 -ам, -ям 어미를 가진다.
- 여격을 나타내는 단수 남성명사의 여격 어미에는 -у, -ю가 사용되며, -ові, -еві, -єві로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ові, -еві, -єві는 보통 활동체 명사에만 사용한다.
-
여격을 나타내는 단수 남성명사의 어미 -єві는 어미 앞 자음이 й로 끝났을 때 사용한다.
ex) Олексій -> Олексієві -
민족의 이름을 나타내는 남성명사의 경우 여격어미는 -у, -ю가 사용되며, -ові, -еві, -єві는 사용하지 않는다.
ex) українець -> українцю, американець -> американцю, поляк -> поляку
성 | 수 | |
단수 | 복수 | |
남성 | брат -> брату / братові | брати -> братам |
друг -> другу / другові | друзі друзям | |
будинок -> будинку / будинкові | будинки -> будинкам | |
учитель -> учителю / учителеві | учителі -> учителям | |
англієць -> англійцю | англійці -> англійцям | |
여성 | сестра -> сестрі | сестри -> сестрам |
вулиця -> вулиці | вулиці -> вулицям | |
компанія -> компанії | компанії -> компаніям | |
книга -> книзі | книги -> книгам |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ам | |
중성 | прізвище -> прізвищу | прізвища -> прізвищам |
життя -> життю | життя -> життям | |
дерево -> дереву | дерева -> деревам | |
море -> морю | моря -> морям | |
ім'я -> імені | імена -> іменам |
어미 -а 앞에 자음 -г, -к, -х를 가지는 여성명사들은 여격에서 자음변화를 일으켜 -г, -к, -х -> -з, -ц, -с로 변한다.
ex) друга -> друзі, картка -> картці
예외로 ім'я는 어미에 -і가 붙는다.
3.4.4. 대격
우크라이나어에서 타동사[8]의 직접 목적어는 대격으로 나타낸다. 명사의 대격 형태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활동체(생물)인지 비활동체(무생물)인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아래와 같이 나뉜다.-
비활동체 남성명사
사물을 나타내는 남성명사의 대격은 주격과 동일한 형태를 지니며, 비활동체 단수 명사를 복수로 만들 경우 모음이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9] -
활동체 남성명사
활동체 남성명사는 비활동체 남성명사와 달리 주격과 다른 형태를 띈다. 단수에서는 어미에 -а[10]와 -я[11]를, 복수는 -ів를 붙여 만든다.
단수명사의 복수형에서 자음 혹은 모음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ex) друг друзів, англієць -> англійців
규칙적인 법칙에 벗어나 복수명사 대격에서 어미가 붙지 않는 경우도 있다. ex) росіян -
비활동체 여성명사
-а, -я로 끝나는 비활동체 단수 여성명사는 -у, -ю로 바꾼다. ex) книга -> книгу, вулиця -> вулицю
-и 또는 -і 어미를 붙여 만든 주격 비활동체 복수 여성명사의 대격은 주격과 동일하다.
ex) книги -> книги, вулиці -> вулиці
-ч, -ж, -ш로 끝나는 여성명사는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동일하다. ex) зустріч -> зустріч, ніч -> ніч -
활동체 여성명사
-а, -я로 끝나는 활동체 단수 여성명사의 대격은 어미를 -у, -ю로 바꾼다. ex) сестра -> сестру, японка -> японку
활동체 여성명사의 대격은 단수 주격 여성명사의 어미 -а, -я를 탈락시킨 뒤 단어 후미 겹자음 사이 -е 또는 -о를 삽입하여 만든다.
ex) сестра -> сестр -> сестер
예외적으로 단수 여성명사의 어미 -я를 제거 후 -ь를 붙여 복수대격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ex) киця -> киць -
중성명사
중성명사들의 주격과 대격은 같은 형태를 띈다. 일반적으로 -я로 끝나는 중성명사는 단수와 복수가 같은 형태를 띈다. ex) питання
그러나 예외적으로 ім'я의 복수주격과 대격은 імена이다.
중성명사 중 항상 단수 혹은 복수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들이 있다.
ex) печиво (과자, 항상 단수), двері (문, 항상 복수)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성 | 활동체 구분 | 수 | |
단수 | 복수 | ||
남성 | 비활동체 | паспорт -> паспорт | паспорті -> паспорті |
будинок -> будинок | будинки -> будинки | ||
олівець -> олівець | олівці -> олівці | ||
활동체 | брат -> брата | брати -> братів | |
друг -> друга | друзі -> друзів | ||
учитель -> учителя | учителі -> учителів | ||
англієць -> англійця | англійці -> англійців | ||
росіянин -> росіянина | росіяни -> росіян | ||
여성 | 비활동체 | книга -> книгу | книги -> книги |
вулиця -> вулицю | вулиці -> вулиці |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і -> зустрічі | ||
활동체 | сестра -> сестру | сестри -> сестер | |
японка -> японку | японки -> японок | ||
англійка -> англійку | англійки -> англійок | ||
киця -> кицю | киці -> киць | ||
중성 | дерево -> дерево | дерева -> дерева | |
прізвище -> прізвище | прізвища -> прізвища | ||
море -> море | моря -> моря | ||
життя -> життя | життя -> життя | ||
ім'я -> ім'я | імена -> імена |
이름을 대격으로 만들려면 위의 표에서 설명한대로 변화시키면 된다. ex) Тарас -> Тараса, Оксана -> Оксану
그런데 남성의 이름 중에서 -а로 끝나는 이름이 있는데, 이를 여성명사처럼 변화시키면 된다. ex) Микола -> Миколу
3.4.5. 조격
3.4.6. 전치격
3.4.7. 호격
호격은 사람이나 물건, 사물을 '~야'라고 부를 때 쓰는 격으로 주로 사람의 이름이나 명사의 어미를 변화시켜 호격으로 만들어 부른다. 아래와 같이 변한다.명사의 종결어미 | 어미 변화 또는 삽입 | 예시 | |
남성 | 자음으로 끝남 | -е 추가 | Іван -> Іване |
-й | -й -> -ю | Андрій -> Андрію | |
-а | -а -> -о | Микола -> Миколо | |
-о | -о -> -е | Михайло -> Михайле | |
-ко | -о -> -у | Марко -> Марку | |
-ь | -ь -> -ю | Василь -> Василю | |
-к -г -х | -у 추가 | співак -> співаку, сніг -> снігу, сміх -> сміху | |
-р | -ю 추가 | Ігор -> Ігорю | |
여성 | -а | -а -> -о | пані Ліда -> пані Лідо[12] |
-ія | -ія -> -є | Марія Поліщук -> Маріє Поліщук[13] | |
-я | -я -> -е 또는 -ю | Оля -> Оле/Олю | |
-жа | -жа -> -же | рожа -> роже | |
중성 | -о | (변화 없음) | слово слово |
-е | місце -> місце | ||
-я | питання -> питання |
4. 대명사
우크라이나어 대명사의 종류는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지시대명사, 특정한 것이 정해진 정대명사, 부정대명사, 의문대명사가 있다.4.1.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는 6개의 단수 인칭대명사와 복수 인칭대명사가 존재하며, 2인칭 단수 ти는 한국어로 '너'에 해당하며 가까운 친구나 친지, 아이들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잘 모르는 상대방이나 윗사람에게 '당신'이라 말하고 싶다면 2인칭 복수 ви를 쓰도록 하자.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인칭 | 단수 | 의미 | 복수 | 의미 |
1인칭 | я | 나 | ми | 우리 |
2인칭 | ти | 너 | ви | 당신 |
3인칭 | він | 그 | вони | 그들 |
вона | 그녀 | |||
воно | 그것 |
4.2.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는 뒤에 오는 명사의 소유 주체를 나타내는 대명사로 '나의, 너의, 당신의, 그의, 그녀의, 그것의, 우리의, 당신들의, 그들의'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뒤에 오는 명사의 성과 단수, 복수의 형태에 따라 변화한다.아래의 표처럼 소유대명사를 명사의 성과 단/복수의 형태를 고려하여 적용하면 된다.
단수 | 복수 | |||
남성명사 | 어성명사 | 중성명사 | ||
Я | мій | моя | моє | мої |
Ти | твій | твоя | твоє | твої |
Він/Вона/Воно | його, її, його | |||
Ми | наш | наша | наше | наші |
Ви | ваш | ваша | ваше | ваші |
Вони | їхній | їхня | їхнє | їхні |
그/그것의(його), 그녀의(її)는 뒤에 따르는 명사의 성과 단/복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형태로 존재한다.
-
його брат (дружина, ім'я, сестри)
그의 형(아내, 이름, 자매들) - її школа (автобус, батько, гроші)
그녀의 학교(버스, 아버지, 돈)
4.3. 의문대명사
우크라이나어의 의문대명사 종류는 чий, який, хто, що 등이 있다. 이 의문대명사는 성과 수, 격에 따라 나뉘어진다. 소유의 관계를 규명하는 чий[14]를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성과 수에 따라 변하는 표를 보자.단수 | 복수 | ||
남성 | 여성 | 중성 | |
чий | чия | чиє | чиї |
5. 형용사
우크라이나어의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그리고 종류별로 성질 형용사, 관계 형용사, 소유 형용사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추가로 특별용법인 비교급과 최상급이 있다.5.1. 성질 형용사
성질 형용사는 문장에서 명사의 성질[15]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성질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아래와 같이 어미 변화의 방식에 따라 다음 두가지로 나뉜다.
-
경변화 형용사: 경변화 형용사는 형용사의 어근이 경음으로 끝나 어미에 -ий, -а, -е 어미가 붙는다.
ex) гарний, гарна, гарне -
연변화 형용사: 연변화 형용사는 형용사의 어근이 연음으로 끝나 어미에 -ій, -я, -є 어미가 붙는다.
ex) синій, синя, синє
분류 | 단수 | 복수 | ||
남성 | 여성 | 중성 | ||
성질 | який | яка | яке | які |
경변화 형용사 | гарний будинок | гарна дівчина | гарне небо | гарні люди |
зелений олівець | зелена лампа | зелене поле | зелені яблуки | |
연변화 형용사 | синій олівець | синя лампа | синє небо | сині плащі |
- 위의 표에서 гарний와 синій의 어근이 -н로 끝나지만 발음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경음[16]과 연음[17]으로 나뉘어진다.[18]
-
보통 형용사는 명사의 앞에 위치하나 명사 뒤에 위치하면 서술적 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ex) Гарна дівчина(아름다운 소녀) -> Дівчина гарна(소녀는 아름답다)
6. 수사
우크라이나어의 수는 수를 세는 수량수사와 집합수사, 분수사가 있으며, 수량수사에는 개수를 셀 때 쓰는 기수와 순서를 셀 때 쓰는 서수로 나뉜다.6.1. 수량수사
6.1.1. 기수
수 | 기수 | 명사의 격 분류 | 예시 |
1 | один (남성) | 단수 주격 | один стілець |
одна (여성) | одна кімната гривня | ||
одне (중성) | одне вікно | ||
2 | два (남성/중성) | 복수 주격 | два стільці, два вікна |
дві (여성) | дві кімнати | ||
3 | три | три брати, три гривні | |
4 | чотири | чотири вікна, чотири сестри | |
5 | п'ять | 복수 생격 | п'ять стільців |
6 | шість | шість кімнат | |
7 | сім | сім вікон | |
8 | вісім | вісім гривень | |
9 | дев'ять | дев'ять братів | |
10 | десять | десять сестер |
- 우크라이나어에서 기수 1은 남성, 여성, 중성으로 나뉘며 뒤에 오는 명사의 성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항상 주격 단수명사가 뒤따른다.
- 기수 2는 두가지 형태인 남성과 중성, 그리고 여성이 있으며 또한 명사의 성에 따라 바뀐다.
- 기수 3 부터는 명사의 성과는 관계없이 한가지 형태를 띈다.
- 기수 2, 3, 4는 항상 주격 복수 명사와 결합한다.
- 기수 5 이상부터는 항상 복수 생격 명사와 결합한다.
- 기수는 Скільки(얼마 또는 몇개라는 의미)의 의문문의 답에 사용된다.
- 기수 11부터 20까지는 복수 생격이 온다.
-
21부터 한 자리수 1은 단수 주격, 2부터 4까지는 복수 주격, 5부터 복수 생격이 적용된다.
ex) 11 кімнат, 12 кімнат, 14 кімнат, 15 кімнат, 21 кімната, 22 кімнати, 25 кімнат - 11부터 19까지는 일자리 수에 -надцять가 붙는다.
- 20, 30은 -дцять가 붙어 나타낸다.
수 | 기수 | 수 | 기수 |
11 | одинадцять | 21 | двадцять один |
12 | дванадцять | 22 | двадцять два |
13 | тринадцять | 23 | двадцять три |
14 | чотирнадцять | 24 | двадцять чотири |
15 | п'ятнадцять | 25 | двадцять п'ять |
16 | шістнадцять | 26 | двадцять шість |
17 | сімнадцять | 27 | двадцять сім |
18 | вісімнадцять | 28 | двадцять вісім |
19 | дев'ятнадцять | 29 | двадцять дев'ять |
20 | двадцять | 30 | тридцять |
- 40은 20, 30과 달리 적용되지 않는 예외가 있다.
- 50부터 -десят를 붙여 나타낸다.
- 90은 50, 60, 70, 80과 달리 예외적으로 적용된다.
- 십 단위부터 쓰고 뒤에 일 단위를 붙여 나타낸다. ex) 89 = 80+9 = вісімдесят + дев'ять
수 | 기수 | 수 | 기수 |
40 | сорок | 70 | сімдесят |
50 | п'ятдесят | 80 | вісімдесят |
60 | шістдесят | 90 | дев'яносто |
-
백 단위 자리에 일 단위를 쓰고 백을 명사라 생각하고 쓰면 된다.
ex) 백 = сто, 2부터 4까지: -ста, 5부터: -сот를 붙인다. -
천 단위도 마찬가지로 위와 같이 쓴다.
ex) 천 = тисяча, 2부터 4까지: -тисячі, 5부터: -тисяч를 붙인다. - 우크라이나어는 만(10 000)을 10천이라 하고 십만(100 000)을 100천이라 한다.
100 | сто | 800 | вісімсот |
200 | двісті | 900 | дев'ятсот |
300 | триста | 1000 | тисяча |
400 | чотириста | 2000 | дві тисячі |
500 | п'ятсот | 3000 | три тисячі |
600 | шістсот | 4000 | чотири тисячі |
700 | сімсот | 5000 | п'ять тисяч |
- 백만(1 000 000)은 один мільйон, 천만(10 000 000)은 десять мільйонів, 일억(100 000 000)은 сто мільйонів라고 부른다.
- 십억은 один мільярд라고 부른다. [19]
6.1.2. 서수
- 서수는 순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시간이나 순서 등에 사용된다.
-
котрий/котра/котре/котрі (몇 번째)의문문에 대한 답을 표현할 때 서수로 표현한다.
ex) о котрий годині? (몇시에?), в якому році? (몇년도에?)
첫번째부터 열번째까지 서수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수 | 서수 | 뜻 | 수 | 서수 | 뜻 |
1 | перший (-а, -е, -і) | 첫번째 | 6 | шостий | 여섯번째 |
2 | другий | 두번째 | 7 | сьомий | 일곱번째 |
3 | третій | 세번째 | 8 | восьмий | 여덟번째 |
4 | четвертий | 네번째 | 9 | дев'ятий | 아홉번째 |
5 | п'ятий | 다섯번째 | 10 | десятий | 열번째 |
11부터 20까지 서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수 | 서수 | 뜻 | 수 | 서수 | 뜻 |
11 | одинадцятий | 열한번째 | 16 | шістнадцятий | 열여섯번째 |
12 | дванадцятий | 열두번째 | 17 | сімнадцятий | 열일곱번째 |
13 | тринадцятий | 열세번째 | 18 | вісімнадцятий | 열여덟번째 |
14 | чотирнадцятий | 열네번째 | 19 | дев'ятнадцятий | 열아홉번째 |
15 | п'ятнадцятий | 열다섯번째 | 20 | двадцятий | 스무번째 |
30이상부터 100까지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수 | 서수 | 뜻 | 수 | 서수 | 뜻 |
30 | тридцятий | 서른번째 | 70 | сімдесятий | 일흔째 |
40 | сороковий | 마흔째 | 80 | вісімдесятий | 여든번째 |
50 | п'ятдесятий | 쉰번째 | 90 | дев'яностий | 아흔번째 |
60 | шістдесятий | 예순번째 | 100 | сотий | 백번째 |
- 11에서 19와 20, 30은 모두 어미에 -дцятий를 붙여 만들며, д는 발음되지 않는다.
- 16, 60에서 자음 사이에 낀 т는 발음되지 않는다.
200부터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수 | 서수 | 뜻 | 수 | 서수 | 뜻 |
200 | двохсотий | 이백번째 | 600 | шестисотий | 육백번째 |
300 | трьохсотий | 삼백번째 | 700 | семисотий | 칠백번째 |
400 | чотирьохсотий | 사백번째 | 800 | восьмисотий | 팔백번째 |
500 | п'ятисотий | 오백번째 | 900 | дев'ятисотий | 구백번째 |
천 단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수 | 서수 | 뜻 |
1000 | тисячний | 천번째 |
2000 | двохтисячний | 이천번째 |
5000 | п'ятитисячний | 오천번째 |
100000 | мільйонний | 백만번째 |
1000000000 | мільярдний | 십억번째 |
-
21번째, 101번째와 같이 표현가고자 할 경우 십이상(만, 천, 백, 십)단위는 기수로, 마지막 일단위만 서수로 표현된다.
ex) двадцятий перший(21번째), сто перший(101번째) - 서수는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격을 변화시키는데, 이때 변화는 형용사의 어미 변화와 동일하게 일어난다.
격 | 예시(1991년) | 예시(2015년) |
주격, 대격 | тисяча дев'ятсот дев'яносто перший рік | дві тисяча п'ятнадцятий рік |
생격 | тисяча дев'ятсот дев'яносто першого року | дві тисяча п'ятнадцятого року |
여격 | тисяча дев'ятсот дев'яносто першому року | дві тисяча п'ятнадцятому року |
조격 | тисяча дев'ятсот дев'яносто першим роком | дві тисяча п'ятнадцятим роком |
전치격 | тисяча дев'ятсот дев'яносто першому році | дві тисяча п'ятнадцятому році |
6.2. 집합수사
집합수사는 집합적인 수라는 개념이며, '남자 두명', '여자 세명' 할 때 '기수 2 + 남자', '기수 3 + 여자'를 쓰는 것이 아닌 '(집합)두명 + 남자', '(집합)세명 + 여자'처럼 쓰며 수사로 취급하는 것이다.집합 수사 다음에 복수 생격명사를 쓰며, 형용사와 같이 뒤에 있는 명사의 수와 격에 따라 어미 변화한다.
수 | 집합수 |
2 | двоє |
3 | троє |
4 | четверо |
5 | п'ятеро |
6 | шестеро |
7 | семеро |
8 | восьмеро |
9 | дев'ятеро |
10 | десятеро |
집합수사 말 그대로 집합이기 때문에 2를 묶어 집합수사를 나타낸다해도 1의 집합수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7. 동사
우크라이나어의 동사는 시제, 형태, 종류, 용법으로 나누어서 볼 수 있으며,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진행, 완료형, 불완료형으로 나뉘며, 형태는 정태와 부정태로 나뉜다. 그리고 종류적으로는 무인칭동사와 운동동사, 부동사 등으로 나뉘며, 동사의 용법은 부정법,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으로 나눌 수 있다.우크라이나어어의 동사는 인칭에 따라서 어미가 변화한다. 이 특징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대화를 하면서 주어 생략이 가능하다. 그러나 과거나 미래를 나타낼 때에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 또한 강조할 때에 사용된다.
우크라이나어의 동사는 동사 어근의 끝부분에 따라 동사의 인칭변화를 한다. 예외적으로 동사는 모든 것이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아니다.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어미에 앞에 -в가 붙는 식으로 변화하거나 불규칙동사라 하여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어는 슬라브어처럼 시제에 완료형과 불완료형이 존재한다.
7.1. 현재형 동사
모든 동사의 원형은 -ти로 끝난다.ex) заходити(to come in), сідати(to sit)
우크라이나어 동사의 현재형은 현재의 상태나 동작을 나타내며, 동사의 현재형은 주어[20]에 따라 변화한다.
우크라이나어 동사는 규칙적으로 제 1 식 변화와 제 2 식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에도 자음 등이 추가되는 예외가 존재[21]하기도 하며 그 외에도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동사도 있다.
7.1.1. 현재형 동사 제 1 식 변화
우크라이나어 현재형 동사의 제 1 식변화(-е/-уть, -є/-ють)는 е(є) 유형동사라고도 한다.제 1 식 변화의 중요한 특징은 동사 원형에서 어미 -ти 앞에 붙어있는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면 -у, -еш, -е, -емо, -ете, -уть가 붙으며, 자음으로 끝나면 -ю, -єш, -є, -ємо, -єте, -ють가 붙는다.
1인칭 | 어미변화 | 2인칭 | 어미변화 | 3인칭 | 어미변화 | |
단수 | Я | -у / -ю | Ти | -еш / -єш | він, вона, воно | -е / -є |
복수 | Ми | -емо / -ємо | Ви | -ете / -єте | Вони | -уть / -ють |
동사의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е/-уть):
수 | 인칭 | 어미 | нести[22] | везти[23] | пасти[24] | |
단수 | 1인칭 | Я | -у | несу | везу | пасу |
2인칭 | Ти | -еш | несеш | весеш | пасеш | |
3인칭 | Він/Вона/Воно | -е | несе | везе | пасе | |
복수 | 1인칭 | Ми | -емо | несемо | веземо | пасемо |
2인칭 | Ви | -ете | несете | везете | пасете | |
3인칭 | Вони | -уть | несуть | везуть | пасуть |
동사의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є/-ють):
수 | 인칭 | 어미 | 예: знати[25] | сідати[26] | дякувати[27] | |
단수 | 1인칭 | Я | -ю | знаю | сідаю | дякую |
2인칭 | Ти | -єш | знаєш | сідаєш | дякуєш | |
3인칭 | Він/Вона/Воно | -є | знає | сідає | дякує | |
복수 | 1인칭 | Ми | -ємо | знаємо | сідаємо | дякуємо |
2인칭 | Ви | -єте | знаєте | сідаєте | дякуєте | |
3인칭 | Вони | -ють | знають | сідають | дякують |
7.1.2. 현재형 동사 제 2 식 변화
우크라이나어 현재형 동사의 제 2 식변화(-и/-ять, -ї/-ать)는 и(ї) 유형동사라고도 한다.이 동사 원형 대부분은 -ити, -іти, -яти로 끝난다.
제 2 식 변화의 중요한 특징은 동사 원형에서 어미 -ти 앞에 붙어있는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면 -у, -иш, -ить, -имо, -ите, -ять가 붙으며, 자음으로 끝나면 -ю, -їш, -їть, -їмо, -їте, -ать가 붙는다.
1인칭 | 어미변화 | 2인칭 | 어미변화 | 3인칭 | 어미변화 | |
단수 | Я | -у / -ю | Ти | -иш / -їш | він, вона, воно | -и / -ї |
복수 | Ми | -имо / -їмо | Ви | -ите / -їте | Вони | -ять / -ать |
7.1.3. 현재형 동사 불규칙 변화
7.2. 과거형 동사
그리고 우크라이나어의 과거형은 현재형보다 더 단순하다. 동사의 주격의 수와 성에 따라 달라진다.주격형태 | 어미 | 예: сказати(말하다) |
단수 남성 | -в | сказав |
단수 여성 | -ла | сказала |
단수 중성 | -ло | сказало |
복수 | -ли | сказали |
7.3. 미래형 동사
동사의 미래는 두가지 용법이 존재하는데 다음과 같다.1. бути동사를 인칭변화한 후 뒤에 불완료형의 동사 원형을 붙인다.
2. 동사를 완료형으로 바꾼 다음 인칭변화를 한다.
아래의 표로 예를 들어보자. читати(읽다)
불완료형 | 완료형 |
буду читати | читатиму |
будеш читати | читатимеш |
буде читати | читатиме |
будемо читати | читатимемо |
будете читати | читатимете |
будуть читати | читатимуть |
7.4. 불완료상과 완료상
우크라이나어에서 불완료상과 완료상이 존재한다. 이는 미래에 어떨게 될 것인지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그림을 그리고 있다. 그리고 내일 완성될 예정이면 완료상을 써서 미래(계획)를 나타내며, 지금 쉬고 있고 좀 있다가 할 것이라면 불완료상을 써서 나타낸다.
7.4.1. 불완료상
이것은 주로 I am going.처럼 현재 하고 있는 일을 나타낸다.그리고 "나는 학교에 등교한다."처럼 반복되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그리고 "미래에 나는 책을 읽고 있을 것이다."라고 할 수 있다.
7.4.2. 완료상
현재 상에서는 표현될 수 없으며, 과거와 미래를 나타내는 시제로 활용된다."나는 학교에 (딱 한번) 갔다."처럼 반복되지 않는 일회성을 나타낸다.
또한 "미래에 나는 책을 다 읽을 것이다."라고 완료를 나타낼 수 있다.
8. 부사
부사란 동사를 수식하여 정도를 나타낸다.[28]우크라이나어의 부사는 종류와 기능에 따라 술어부사, 관계부사, 지시부사, 정해지지 않은 부정부사, 아니라고 부정할 때 쓰는 부정부사, 장소의 부사, 시간부사로 나뉜다.
우크라이나어의 부사는 형용사 어미 -ий(а, е)를 제거하고 -о나 -е를 붙여 만든다.
-
어미 -о가 붙는 경우:
гарний -> гарно, приємний -> приємно
ex) Він гарно говорить українською мовою. -
어미 -е가 붙는 경우:
добрий -> добре
ex) Як справи? Дуже добре.
9. 전치사
우크라이나어의 전치사 뒤에 오는 명사는 전치사가 무슨 격을 취하는지에 따라서 격변화를 한다.10. 접속사
두 문장을 연결해주는 품사다.11. 소사
개개의 낱말이나 문장 전체에 여러가지 뉘앙스를 붙여주는 보조어다.12. 감탄사
[1]
사실 이는
슬라브어파 언어들 전체의 특징이다.
[2]
사전에 표기되는 형태다.
[3]
부정문에서는 목적어로서 사용된다.
[4]
예를 들어 선물을 누구에게 준다고 할 때 사용된다.
[5]
긍정문의 목적어에 사용된다.
[6]
젓가락(도구)을 집어서 무언가를(목적) 집는다고(동사) 생각하면 쉽다.
[7]
당연히 비생물명사는 호격이 없다. 왜냐하면 "축구공아!"라고 부를 수 없기 때문이다.
[8]
타동사는 무엇을/누구를 '동사'한다는 의미의 동사다.
[9]
ex) будинок -> будинки, олівець -> олівці
[10]
어근이 경음으로 끝날 경우
[11]
어근이 연음으로 끝날 경우
[12]
пані는 영어로 Mrs. 또는 Ms.를 의미하며, 호격 변화하지 않는다.
[13]
이름에서 성은 호격 변화하지 않는다.
[14]
영어로 whose(누구의)
[15]
예: 좋은, 나쁜, 아름다운, 작은, 푸른 등
[16]
гарний에서 -н는 경음으로 혀를 윗니에 대고 내는 소리다.
[17]
синій의 -н는 연음으로 입천장 중간 부분을 향해 혀를 둥그렇게 대고 입을 강하게 긴장시키면서 발음한다.
[18]
구분 방법은 위에서 얘기한대로 어미가 -ий로 끝나는지 -ій로 끝나는지를 보면 된다.
[19]
1조(1 000 000 000 000)는 один трильйон.
[20]
я, ти, він, вона, воно, ми, ви, вони
[21]
수가 극히 적다.
[22]
들고 가다, 나르다
[23]
운반하다
[24]
방목하다
[25]
알다
[26]
앉다
[27]
고마워하다
[28]
그는 우크라이나어를 잘 말한다에서 '잘'이 바로 부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