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7-22 11:35:08

용산성당

파일:용산성당전경0.jpg 파일:용산성당전경2.jpg
현재 모습 이전 모습
천주교 서울대교구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성심
용산성당
기본 정보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5길 37
교구 서울관구 서울대교구
주임사제 윤성호 아우구스티노 신부(2019~)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건축 정보
설계 미상[1]
감독 조창희 베네딕도 신부
건축 기간 1953.여름~1954.12
시공자 미상[2]
건축 면적 129평
건물 외곽 총길이 14.5m(폭) x 36.5m(길이)
건물 높이 11.5m(본당), 22.5m(종탑)
문화유산 정보 성모순례지 지정(2010년)
1. 개요2. 연혁3. 상세 설명

[clearfix]

1. 개요

용산성당은 용산구 산천동의 용산 정상에 위치한 성당이다. 실제 이름은 천주교 서울대교구 용산성당이며, 1954년 12월 완공되어 [age(1954-12-01)]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성당이다.

2. 연혁

1887.03 교구 성직자 묘지 삼호정(三湖亭) 일대 대지 매입 및 조성
1890.05 삼호정 공소 설립(옛 삼호정 정자 안채, 신자 수 약 150명)
1891.11 약현본당(현 중림동 본당) 설립으로, 삼호정 공소 약현본당 소속이 됨
1942.01 본당 설립, 초대 주임 아드리앙 조셉 라리보(A. Larribeau, 元亨根)[3] 주교 부임
1948.08 사제관 겸 강당 완공(건평 40평, 용산분원 맞은편)
1952 본당 소실( 6.25 전쟁 중 폭격)
1953 여름부터 현 성당 건물 착공
1954.12 준공
1963 본당 증축. 개조
1974 사제관 신축(2층 양옥, 건평 61평)
1980 성직자 묘지 확장 공사

3. 상세 설명

건물은 대성전과 소성전, 그리고 각종 교리터와 쉼터, 강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초대 교구장 브뤼기에르 주교 등의 시신이 묻혀있는 공동묘지도 있다. 용산성당은 [age(1890-05-01)]년 전 삼호정 공소 신자들이 스스로 복음의 터전을 일궈 지금까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성당의 주 진입은 원효로에서부터 북쪽으로 가파른 경사로를 통해 오르나, 도화동이나 용문동의 꾸불꾸불한 고갯길과도 연결이 된다. 서울에서는 비교적 가난한 달동네인지라 주변 여건이 좋지 못하고, 특히 성당 건물의 건축적 질은 그 역사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넓은 마당과 녹지를 가지고 있어, 공원과 같은 환경으로 사람들에게 좋은 휴식처 구실을 해주기도 하는 것은 용산성당의 장점이다.

초기 사제들과 무명 치명자 등 70여 기의 유해가 안장된 교구 성직자 묘지가 있어서 전국의 성직자- 수도자들과 신자들이 찾아오는 준성지와도 같은 곳이다.

또한, 2010년 이탈리아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리베리오 교황 성모 대성전)과 '특별한 영적 유대'로 결합된 성모 순례지 전대사 특전을 부여받았다. 이에 따라 성모 공경을 위해 용산성당을 순례하는 이들에게는 로마 리베리오 교황 성모 대성전(제 36대 리베리오 교황 재위 352-366년에 건립되어 지극히 거룩하신 하느님의 어머니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된 첫 성전)을 순례한 것과 동일한 전대사가 수여된다.

용산성당은 교구성직자 묘지가 있는 산천동의 용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어, 용산 일대의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중심적이고 우월한 모습을 하고 있다. 혜화동 본당(1927), 영등포본당(1936)에 이어 서울에서 6번째 창설된 용산본당의 부지는 1890년 교구 성직자 묘지가 설립되면서부터 가톨릭과 끊을 수 없는 역사적인 장소가 되었다. 당시 이 일대는 인가가 별로 없는 후미진 산림지대였는데, 1920년경 부근의 옛 정자(삼호정)가 중림동 본당의 공소가 되면서 성당의 터전을 닦게 된 것이다.

용산성당의 구조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장방형 평면을 한 건물이지만, 제대부가 증축되면서 타우 십자가의 구성을 하고 있다. 외벽은 시멘트 벽돌 위 몰탈 마감인데, 일부 인조석 바릅으로 석재와 같은 효과를 내고 있다. 종탑은 정면 모서리에 위치하고, 중탑 하부가 포인티드아치의 주 Porch가 된다. 종탑의 꼭대기는 8개의 원형기둥 위에 얹힌 8각총화형 돔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천주교 인천교구 주교좌 답동성당(1937)의 그것과 비슷하다.

내부공간은 Nave와 Aisle의 구별이 없고, 2층 성가대석을 받치는 원형기둥이 있을 뿐 매우 자유스러운 강당의 구성을 하고 있다. 창은 모두 장방형이지만 종탑부와 정면만은 포인티드아치로 되어 있다. 처마에 코오니스의 단순한 돌출 장식이 있을 뿐, 디테일이 거칠고 단순하게 취급되었다. 중간에 증축된 관계로 일관된 계획 의도가 결여되었으며, 정면외관이 불안정하다.
[1] 신원은 미상이지만 한국인이다. [2] 신원은 미상이지만 한국인이다. [3]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9대 교구장 및 천주교 대전교구 초대 교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