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5:39:04

왕성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귀의군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왕우 왕조
숭의전 봉사손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왕순례 왕천계 왕적 왕희
<rowcolor=#670000> 제5대 제6대 제?대 제?대
왕훈 왕곤 왕성원 왕세빈
<rowcolor=#670000> 제?대 제?대 제?대 제?대
왕경효 왕윤동 왕경수 왕재기
<rowcolor=#670000> 제?대 제?대 제?대 제?대
왕사희 왕익수 왕재준 왕재소
<rowcolor=#670000> 제?대 제?대 제?대 제?대
왕응종 왕재하 왕회종 왕재형
고려 국왕 }}}}}}}}}}}}



王聖元
1670년( 현종 11) 1월 28일 ~ 1736년( 영조 12) 4월 22일 (향년 66세)

1. 개요2. 생애

1. 개요

조선 중·후기의 인물. 숙종부터 영조 시기의 고려 봉사손이다. 본관은 개성(開城)[1], 자는 선장(善長).

고려 봉사손이었던 왕곤의 장증손자이다.

2. 생애

1670년 1월 28일 숭의전감(崇義殿監)이던 아버지 왕목(王穆, 1634. 11. 6 ~ ?)[2]과 어머니 성주 이씨[3] 사이에서 1남 2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숙종 말인 1717년경 숭의전감에서 숭의전령으로 승급했고, 10년 뒤인 1727년 승정원 좌부승지(左副承旨) 이정필(李廷弼)의 요청에 따라 숭의전수로 승급했다.

1731년 7월에 영조가 승정원 도승지 박문수로 하여금 숭의전에 치제(致祭)하게 했다. 수리되지 못한 채 덩그러니 놓여 있는 태조의 사당에서 제사를 내린 뒤 경기도 마전군에서 한성부로 돌아간 박문수는 영조에게 왕성원과 왕씨 봉사손들의 어려움을 알렸다. 왕성원은 박문수의 요청에 따라 증조부 왕곤 이후 100여년 만에 숭의전부사로 승급했고, 왕성원의 4촌 동생 왕정원(王鼎元, 1678. 12. 13 ~ 1755. 2. 11)[4]은 초사(初仕)에 조용(調用)하기로 결정되어 1737년(영조 13) 9월 16일 동부(東部) 참봉 임명되었다.[5]

1736년 4월 22일 사망했다.

[1] 동양군파(東陽君派)-부사공파(府使公派) 23세 원(元) 항렬. [2] 자는 화백(和伯). [3] 이긍우(李亘宇)의 딸이다. [4] 자는 자삼(子三). [5] 이후 1747년(영조 23)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 종7품)에까지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