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03 14:10:42

연계·융합전공


교과목 이수구분
주전공 심화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융합전공 학생설계전공 교직과정 교양필수/교양선택

1. 개요2. 상세3. 여담

1. 개요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9조(학생의 전공이수등) ①대학의 학생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공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전공을 학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선택하여 이수한다.
1. 학과 또는 학부가 제공하는 전공
2.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연계·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
3. 대학이 제13조제1항에 따른 교육과정 공동운영을 통하여 국내대학 또는 외국대학과 연계·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
4. 학생이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대학의 인정을 받은 전공
②대학의 장은 학생이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전공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학칙으로 전공인정을 위한 최소학점을 정할 수 있다.

연계전공 또는 융합전공은 '둘 이상의 학과', '둘 이상의 학부' 또는 '학과와 학부'가 연계·융합하여 제공하는 전공이다. 연계전공과 융합전공은 매우 유사하지만, 둘을 구분하는 가장 큰 차이는 바로 독립된 전공과목의 유무다. 연계전공은 연계전공만의 전공과목이 없이 기존에 개설된 과목들을 연계시켜 하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지만, 융합전공은 기존에 개설된 과목 외에도 융합전공만의 새로운 전공과목을 개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2. 상세

연계·융합전공은 모집단위가 없어 신·편입생을 받을 수 없고, 대신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원을 선발한다. 2017년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학칙에 따라서 본인이 속한 학과의 전공을 이수하지 않고, 연계·융합전공만 이수하여도 졸업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일부 학교에서는 연계·융합전공을 주전공(제1전공)으로 선택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에선 주전공(제1전공)으로 연계·융합전공을 선택할 수 없고, 학교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복수전공(제2전공) 혹은 부전공으로만 이수 가능하기 때문에, 주전공과 연계·융합전공의 졸업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졸업할 수 있다.

주관학과와 참여학과로 구성되며, 연계·융합전공을 구성하고 있는 학과의 학생들만 신청이 가능하거나, 반대로 연계·융합전공을 구성하고 있는 학과의 학생들은 신청이 불가능하게 자격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1] 연계·융합전공자가 본인이 소속된 학과에 개설된 연계·융합전공 과목을 이수했을 때는 학점을 중복으로 인정해 주기도 한다.[2] 단, 졸업요구학점에는 중복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특이 케이스로 같은 계열의 학과가 교과목을 공유하는데 연계전공에 동시에 속해있는 경우에는 계열과목 대부분이 학점인정대상외가 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담당자가 학점표를 정확히 인지하지 않거나 워낙 마이너해 모집요강에 없던 조항이 졸업할때 나오기도 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대체적으로 일반 학과들에 비해 마이너한 부류가 많기에 복수전공을 하는 인원이 정말 극소수고, 자기 학교에 그런 전공이 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때문에 수강인원 최소치인 8명에도 미달하여 폐강 위기가 생기기도 한다. 폐강된다면 이수학점 미달로 복수전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과사에서 폐강 유보 신청을 하여 어떻게든 개설은 시켜준다. 이런 과목을 듣는 학생들은 대부분 3~4학년 고학년이기 때문에 ′내년에 열어줄게요~′라고 나오면 매우 곤란해지기 때문. 폐강을 막기 위해 해당 학과가 아닌 사람에게 홍보를 해서 수강인원으로 끌어들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학생들은 그냥 교양선택/자유선택/일반선택(학교마다 용어가 다르다) 학점으로 들어간다. 그럼에도 인원이 기준치보다 적으니 대부분 절대평가로 성적이 매겨진다.

3. 여담

국내 대학 최초로 1999년에 서강대학교[3]에서 개설되었다.

대학마다 부르는 명칭이 달라서 학사과에 자세히 확인해봐야 한다. 서울대는 연합전공, 연계전공, 교직연합전공 등, 성균관대는 연계전공, 심화형복수전공, 자기설계융합전공, 카이스트는 자유융합전공, 연세대는 연계전공, 마이크로전공 등, 고려대는 융합전공 등이 있다.
[1] 예를들면 인문대 대상의 IT융합학과일 경우 참여학과에 이공계학과가 있으나, 이수는 인문계 학생만 가능한 식의 경우가 많다. [2] 예를들어 3학점 전공과목을 하나 들었다면, 주전공(제1전공) 3학점, 연계·융합전공(제2전공) 3학점이 동시에 인정되는 것이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보통 9학점까지 중복으로 인정해주는 경우가 많다. [3] 서강대학교 연계전공제도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