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4 12:48:27

역학(의학)/질병과 사망의 측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역학(의학)
예방의학
Preventive Medicin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c6><colcolor=#fff> 역학
(疫學)
감염( 돌파감염 · 수직감염) · 검역 · 면역 · 방역 · 병원체 · 봉쇄 ·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품) · 생물 안전도 · 생물재해 · 손 씻기 · 슈퍼전파자 · 역학조사 · 예방접종( 백신) · 음압병실 · 자가격리 · 전염병(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 범유행전염병 · 법정 감염병)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코호트 격리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관련도와 영향도의 측정 · 질병과 사망의 측정 · 힐의 기준 · 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
역사적 사건
14세기 흑사병 · 1918-1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 2003년 SARS 유행 ·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 2014년 에볼라 유행 · 2015년 MERS 유행 · 2019-23년 코로나-19 범유행
환경보건학
공해병( 미나마타병 · 온산병 · 이타이이타이병 · 카네미 유증사건)
의료관리학
간호관리학 }}}}}}}}}


1. 연령표준화
1.1. 필요성1.2. 직접표준화
1.2.1. 예시
1.3. 간접표준화
1.3.1. 예시
2. 사망 통계3. 출생 통계4. 질병 통계
4.1. 유병률4.2. 발생률
4.2.1. 예시
4.3. 발병률4.4. 치명률

1. 연령표준화

1.1. 필요성

국가 A[1] 국가 B[2]
조사망률(1000명당) 10.3 7.3
기대수명 81.6세 70.1세
위 표에서 조사망률(crude death rate)[3]은 국가 B가 더 낮은데, 기대수명은 국가 A가 더 길다. 이러한 모순된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사망률을 비롯한 질병/사망 통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인구 구조이기 때문이다. 국가 A의 인구 구조가 더 고령화되어있기 때문에, 기대수명이 보여주듯이 보건 수준이 더 높더라도 조사망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지역이나 서로 다른 시점의 질병/사망 통계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그 값을 연령표준화해야 한다. 연령표준화의 방법에는 직접표준화와 간접표준화가 있다.

1.2. 직접표준화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분율[4]과 기준이 되는 표준 인구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1.2.1. 예시

연령 집단 A 집단 B 표준 인구
인구 사망자 수 사망률 인구 사망자 수 사망률 인구
40~54세 2000 5 0.0025 4000 15 0.00375 30000
55~69세 4000 30 0.0075 2000 15 0.0075 40000
합계 6000 35 0.0058 6000 30 0.005 70000
위 표에서 집단 A, 집단 B의 표준 인구에서 연령별 기대 사망자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 집단 A 집단 B
40~54세 30000×0.0025=75 30000×0.00375=112.5
55~69세 40000×0.0075=300 40000×0.0075=300
합계 375 412.5
따라서, 두 집단의 직접표준화 사망률은 각각 375/70000≈0.0054, 412.5/70000≈0.0059가 된다. 조사망률(crude death rate)는 집단 A가 더 높았지만, 이는 집단 A에 고령 인구가 더 많았기 때문이며, 연령 표준화 사망률은 집단 A가 더 낮다.

1.3. 간접표준화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분포와 비교하려는 집단의 전체 분율, 표준 인구의 연령별 분율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1.3.1. 예시

연령 집단 A 집단 B 표준 인구
인구 사망률 사망자 수 사망률 사망자 수 사망률
40~54세 2000 - 4000 - 30000 0.002
55~69세 4000 - 2000 - 40000 0.005
합계 6000 35 6000 30 70000 0.0037
위 표에서 집단 A, 집단 B의 기대사망자수와 간접 표준화 사망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 A 집단 B
기대사망자수 2000×0.002+4000×0.005=24 4000×0.002+2000×0.005=18
간접 표준화 사망비 35/24≈1.4583 30/18≈1.6667
따라서, 두 집단의 간접표준화 사망률은 각각 0.0037×1.4583≈0.0054, 0.0037×1.6667≈0.0062로 계산된다.

2. 사망 통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죽음/통계 문서
번 문단을
사망 통계의 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출생 통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출산율 문서
번 문단을
개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질병 통계

4.1. 유병률

어느 한 기간(시점)에서 특정 인구 집단에서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유병률(prevalence)라고 한다. 2019년 기준으로 암 평생 유병률은 35.5%이다.[5]

4.2. 발생률

발생률(Incidence rate)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인구 집단에서 새로 발생한 환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4.2.1. 예시

파일:발생률.png
위 그림에서 관찰 기간 동안 12명 중 3명에게 질병이 발생했으므로, 누적발생률은 3/12=25%이다.
각 개인의 관찰 기간의 합을 구하면, 102인년이며, 평균발생률은 3/102PY으로, 1000인년 당 약 29명이다.

4.3. 발병률

4.4. 치명률

치명률(Case fatality rate)은 특정한 질환으로 인한 사망 수를 환자 수로 나눈 값이다. 인구 집단에서 사망의 수를 측정하는 사망률(mortality)와 구별되는 개념이다. 치사율(致死率)이라고도 한다.
[1] 핀란드 [2] 캄보디아 [3] 1년의 사망자 수를 그 해의 인구로 나눈 값 [4] 사망률, 발병률, 유병률 등 [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64993 [6] 각 개인의 관찰 기간의 합. 예를 들어, 5명을 3년간 관찰했다면 15인년이 된다. [7] 질병에 감수성이 있는 인구만 분모에 포함한다. 즉, 예방접종자나 과겨력이 있어서 면역이 있는 경우 분모에 포함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