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역학(의학)
예방의학 Preventive Medicin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c6><colcolor=#fff>
역학 (疫學) |
감염( 돌파감염 · 수직감염) · 검역 · 면역 · 방역 · 병원체 · 봉쇄 · 사회적 거리두기( 사회적 거품) · 생물 안전도 · 생물재해 · 손 씻기 · 슈퍼전파자 · 역학조사 · 예방접종( 백신) · 음압병실 · 자가격리 · 전염병(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 범유행전염병 · 법정 감염병) · 온실 면역(방역의 역설) / 혼합 면역(하이브리드 면역) · 집단 면역 · 코호트 격리 · 항원 결정기 / 항원 결합부 / 항원의 원죄 |
관련도와 영향도의 측정 · 질병과 사망의 측정 · 힐의 기준 · 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향 | ||
역사적 사건
|
14세기 흑사병 · 1918-1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 2003년 SARS 유행 ·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 2014년 에볼라 유행 · 2015년 MERS 유행 · 2019-23년 코로나-19 범유행 |
환경보건학
|
공해병( 미나마타병 · 온산병 · 이타이이타이병 · 카네미 유증사건) | |
의료관리학
|
간호관리학 | }}}}}}}}} |
1. 연령표준화
1.1. 필요성
국가 A[1] | 국가 B[2] | |
조사망률(1000명당) | 10.3 | 7.3 |
기대수명 | 81.6세 | 70.1세 |
1.2. 직접표준화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분율[4]과 기준이 되는 표준 인구의 연령별 인구 분포를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표준 인구의 연령별 인구 수와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사망률을 곱한다.
- 앞의 값을 더하고, 표준 인구의 총 인구수로 나누어 직접 표준화 사망률을 구한다.
1.2.1. 예시
연령 | 집단 A | 집단 B | 표준 인구 | ||||
인구 | 사망자 수 | 사망률 | 인구 | 사망자 수 | 사망률 | 인구 | |
40~54세 | 2000 | 5 | 0.0025 | 4000 | 15 | 0.00375 | 30000 |
55~69세 | 4000 | 30 | 0.0075 | 2000 | 15 | 0.0075 | 40000 |
합계 | 6000 | 35 | 0.0058 | 6000 | 30 | 0.005 | 70000 |
연령 | 집단 A | 집단 B |
40~54세 | 30000×0.0025=75 | 30000×0.00375=112.5 |
55~69세 | 40000×0.0075=300 | 40000×0.0075=300 |
합계 | 375 | 412.5 |
1.3. 간접표준화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분포와 비교하려는 집단의 전체 분율, 표준 인구의 연령별 분율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상 사망 통계를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지표에 대해서도 표준화율을 구할 수 있다.- 표준 인구의 연령별 사망률과 비교하려는 집단의 연령별 인구 수를 곱한다.
- 앞의 값을 더한 값이 비교하려는 집단의 기대사망자수가 된다.
- 비교하려는 집단의 사망자 수를 기대사망자수로 나누어 간접 표준화 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를 구한다.
- SMR에 표준 인구의 조사망률을 곱해 간접 표준화 사망률을 구한다.
1.3.1. 예시
연령 | 집단 A | 집단 B | 표준 인구 | |||
인구 | 사망률 | 사망자 수 | 사망률 | 사망자 수 | 사망률 | |
40~54세 | 2000 | - | 4000 | - | 30000 | 0.002 |
55~69세 | 4000 | - | 2000 | - | 40000 | 0.005 |
합계 | 6000 | 35 | 6000 | 30 | 70000 | 0.0037 |
집단 A | 집단 B | |
기대사망자수 | 2000×0.002+4000×0.005=24 | 4000×0.002+2000×0.005=18 |
간접 표준화 사망비 | 35/24≈1.4583 | 30/18≈1.6667 |
2. 사망 통계
자세한 내용은 죽음/통계 문서의
사망 통계의 종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출생 통계
자세한 내용은 출산율 문서의
개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질병 통계
4.1. 유병률
어느 한 기간(시점)에서 특정 인구 집단에서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는 인구의 비율을 유병률(prevalence)라고 한다.- 시점 유병률(Point prevalence): 어느 시점의 환자 수를 그 시점의 총 인구 수로 나눈 값.
- 기간 유병률(Period prevalence): 어느 기간 동안의 환자 수를 그 기간의 중앙 시점 인구 수로 나눈 값.
- 평생 유병률(Lifetime prevalence): 평생 한 번이라도 해당 질병에 이환된 비율.
4.2. 발생률
발생률(Incidence rate)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인구 집단에서 새로 발생한 환자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누적발생률(Cumulative incidence):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환자 수를 발생 위험이 있는 인구 수로 나눈 값.
- 평균발생률(Incidence density):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환자 수를 총 관찰 인년(person-year)[6]으로 나눈 값.
4.2.1. 예시
위 그림에서 관찰 기간 동안 12명 중 3명에게 질병이 발생했으므로, 누적발생률은 3/12=25%이다.
각 개인의 관찰 기간의 합을 구하면, 102인년이며, 평균발생률은 3/102PY으로, 1000인년 당 약 29명이다.
4.3. 발병률
- 발병률(Attack rate)은 감염병의 전파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원인 요인과 접촉하거나 원인 요인에 노출된 인구 중 질병이 발병한 환자의 수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 이차 발병률(Secondary attack rate)은 일차 환자(primary case)에 노출된 인구[7] 중 해당 질병이 발병한 환자의 수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질병의 감염력, 전염력을 측정하는데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