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0:17:01

여·철자형 주거지

{{{+1 {{{#fff 옥저 · 동예 {{{#c5b356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c5b35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5b356><colcolor=#000> 역사 비류수 전투 | 독성산성 전투
정치 읍군·삼로
외교 고구려-옥저 관계 | 고구려-동예 관계
구성 부족국가 예맥의 국가
문화 부여어족 | 온돌 | 여·철자형 주거지 | 무천 | 민며느리 | 책화 | 족외혼
기타 위말갈 }}}}}}}}}}}}}}}

진국 · 삼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7f59e9> 역사 <colcolor=#000,#fff> 진국 · 준왕 ( 준왕의 마한 정복) · 삼한 ( 마한 · 진한 · 변한) · 삼한정통론
정치·외교 삼한의 군장 · 고조선-진국 관계
수장국 만경강 유역 소국 · 건마국 · 목지국
구성국 마한의 국가 · 진한의 국가 · 변한의 국가
건축 고인돌 · 소도 · 여·철자형 주거지
문화 비파형 동검 · 세형 동검 · 팔주령 · 정문경 · 거친무늬거울 · 상투 · 솟대 · 덩이쇠 · 계절제
}}}}}}}}} ||

呂字形住居址, 凸字形住居址

1. 개요2. 설명3. 여담

1. 개요

고대 철기 시대, 원삼국시대 중부 지방의 주거지 유적들이다. 또다른 이름으로는 "여자(呂字)모양집자리", "철자(凸字)모양집자리"라고도 부른다.

2. 설명

주거지 형태가 위아래로 구분되어 있거나 위로 튀어나온 네모 모양 형태로 이루어진게 특징이며, 아래에 주공간이 있으며, 위에는 주로 입구가 있었다. 이 당시 중부지역에서는 주로 네모 모양에 출입로가 있는 집들이 많이 나온 적이 있었다. 내부에 화로, 구들이 있는 주거지가 발견될 때도 있었으나 최근 발굴결과 상 기원전 10세기 초반으로 올라가는 경우도 있었다.[1][2][3][4][5][6][7]

주공간의 종류는 주로 사각형 모양이나 경우에 따라 오각형이나 육각형 형태로도 나타났다. 그래서 "육각형주거지"로도 불린다.

중부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이 주거지는 고대 원삼국시대 중부 일대에 있었던 나라들인 마한 백제( 한성백제), 동예에서 볼 수 있었으며 그래서 주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에 이 유적들이 많이 발굴된다. 백제의 경우 주로 고위층 또는 상류층들이 이 주거지를 많이 사용했다.

장방형 위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주거지는 '철자형주거지'로, 큰 공간과 작은 공간 사이에 좁은 공간이 있는 주거지는 '여자형주거지'로 분류된다.

중부 지방에서 발견되지만 지역마다 형태가 다른 것도 있는데, 예를 들면 영동 지역에서는 구들이 없는 여, 철자형 주거지들이 발견되며, 서울 및 경기도 일대에서는 육각형 형태의 주거지들이 많이 나온다. 이는 문화적으로 다른 분포일대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본다.

3. 여담

국사 교과서에서 주로 동예와 관련된 사진이나 기록에서 여자형 또는 철자형 주거지가 언급이 된다.

[1] 그래서인지 옥저의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와도 연관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2] 강원도사 2권 선사시대, 제6장 철기시대, 표 3. 강원지역 남한강유역 철기시대 주거지 연대측정 현황, 원주 태장동 유적 1호, 철자형 주거지, 부석식 노자유형, 기원전 905년 ~ 기원전 805년, 기원전 1000년 ~ 기원전 780년, 박성희, 2009 [3] 진인진, 김재윤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254쪽, 표 23. 얀콥스키 문화와 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주거지 특징, 올레니A, 상층 2호, 크로우노프카 문화, 평면형태가 철자형, 주거지 크기가 32, 북서에서 남동 사이의 장축, 노지3.ㄱ자형 가능성, 돌과 소토가 바닥깔림, 동쪽 돌출출입 [4] 진인진, 김재윤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255쪽, 표 23. 얀콥스키 문화와 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주거지 특징, 올레니A, 상층 4호, 크로우노프카 문화, 평면형태가 철자형, 주거지 크기가 19, 남북 장축,ㄱ자형 판석, 동쪽 돌출출입 [5] 진인진, 김재윤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255쪽, 표 23. 얀콥스키 문화와 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주거지 특징, 말라야 포두세치카, 1호, 얀콥스키 문화, 평면형태가 철자형, 주거지 크기가 50, 북서에서 남북 장축, 주거지 중앙에 숯, 남쪽벽에 부석 [6] 진인진, 김재윤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246쪽, 표21.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절대연대(김재윤 2016 재인용),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올레니A, B.C.830 ~ A.D.380, B.C.50 ~ A.D.530 [7] 진인진, 김재윤 "연해주 선사고고학 개론" 246쪽, 표21.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절대연대(김재윤 2016 재인용), 얀콥스키 문화, 말라야 포두세치카, 770-410cal 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