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덴바움 왕조 은하제국 황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8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대제 루돌프 |
지기스문트 1세 | 리하르트 1세 | 오토프리트 1세 | 카스퍼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율리우스 |
치우제 지기스문트 2세 |
재건제 오토프리트 2세 |
아우구스트 1세 | 에리히 1세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리하르트 2세 | 오토 하인츠 1세 | 리하르트 3세 |
유혈제 아우구스트 2세 |
지혈제 에리히 2세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프리드리히 1세 | 레온하르트 1세 | 프리드리히 2세 | 레온하르트 2세 |
패군제 프리드리히 3세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막시밀리안 요제프 1세 |
백일제 구스타프 |
청안제 막시밀리안 요제프 2세 |
원수양산제 코르넬리우스 1세 |
만프레트 1세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헬무트 |
망명제 만프레트 2세 |
빌헬름 1세 | 빌헬름 2세 | 코르넬리우스 2세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오토프리트 3세 | 에르빈 요제프 1세 |
강정제 오토프리트 4세 |
오토 하인츠 2세 | 오토프리트 5세 | |
36대 | 37대 | 38대 | |||
프리드리히 4세 | 에르빈 요제프 2세 | 카타린 케트헨 1세 | → 로엔그람 왕조 | }}}}}}}}} |
에리히 2세 Erich II · エーリッヒ2世 |
|
인물 정보 | |
<colbgcolor=#eee,#222> 신체 정보 | 남성, ???cm, ?형 |
생몰년 | ? |
재위 | SE 562 ~ ? |
가족 관계 | 안드레아스(아버지), 아우구스트(사촌형) |
국적 및 소속 | 은하제국 골덴바움 왕조 |
최종 직위 | 은하제국 황제 |
최종 작위 | 후작 |
별칭 | 지혈제,止血帝, |
골덴바움 왕조 역대 황제 | ||||
아우구스트 2세 | → | 에리히 2세 | → | 프리드리히 1세 |
1. 개요
Kaiser Erich von Goldenbaum IIThe Blood-Stopper(유혈을 멈춘 황제)
은하영웅전설 본편 이전의 인물로 은하제국 골덴바움 왕조의 제15대 황제다. 이타카판에서는 지혈제(止血帝)로 번역되었다.
2. 재위
아우구스트 2세의 사촌동생으로[1] 본래는 에리히 폰 린더호프 후작이었다. 일찌감치 제도 오딘에서 탈출하여 자신의 영지에 숨어있었기 때문에 아우구스트 2세의 눈길을 피할 수 있었다.[2] 하지만 아우구스트 2세는 오딘에서 죽일 만한 인물을 싹 죽여서 심심해하던 와중에, 지방으로 도망친 사촌동생의 존재를 떠올리며 이 괘씸한 역적을 체포하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자 에리히는 이왕 죽을 바에야 발버둥이라도 쳐보다 죽기로 결심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어차피 아우구스투스 2세에게 저항하다가 붙잡혀서 끌려가건 순순히 끌려가건 황제 앞에서 처참하게 고문당하다가 죽는 결말을 맞는 건 매한가지였기 때문이다.[3]사실 반란을 일으키기로 결정했어도 에리히의 편을 들어줄 세력이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에리히는 어차피 이러나 저러나 죽을 판인데 뭔들 못해보겠냐는 심정으로 인근 제국군 부대에게 반란 동참을 호소하였고, 이러고도 확신이 없었기에 만약을 대비하여 자살할 독약까지 준비해둔 상황이었다.
하지만 아우구스트 2세가 일으키는 막장 폭정에 진저리를 내고 있던 제국의 모든 이들은 누군가가 도화선에 불을 당겨주기만 기다리던 처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에리히가 총대를 메고 난을 일으키자 인근의 제국군 부대가 에리히의 호소에 응하여 봉기했고, 근처의 제국군들이 차례로 합류하면서 에리히의 세력이 점차 증가되었다. 특히 콘라트 하인츠 폰 로엔그람 백작을 위시한 3명의 장군이 합류하여 충성을 맹세하고 활약한 덕분에 에리히에게 큰 힘이 실렸다. 심지어 이 장군들 중에는 아우구스트 2세의 폭정으로 가족들을 잃은 사람도 있었기 때문에, 급조한 반란군에게 으레 있기 마련인 약점인 정부군에게 내통자가 생기는 일 자체를 방지할 수 있었다.
물론 에리히를 토벌하기 위해 파견된 제국 함대들에게도 막장 폭군 따위를 위해 싸워줄 의리 같은 건 전혀 없었으므로, 에리히의 부대와 마주치면 싸우는 시늉도 하지 않고 투항하여 합류해 버렸다. 이후 아우구스트 2세와 에리히의 최종 결전인 트라바흐 성역 전투에서 에리히의 군대가 아우구스트 2세의 토벌군과 맞서 싸워 대승을 거둠으로써 아우구스트 2세의 통치도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됐다. 당연하지만 이 전투에서도 황제군은 제대로 싸우지 않았는데, 항복한 병력이 전사자의 약 20배에 달했다.
아우구스트 2세는 결국 유각견에게 먹이를 주다가 심복 샴버크 준장의 배신으로 유각견 우리에 떨어져 뜯겨 죽었고, 에리히 2세는 제도 오딘에 입성하여 황제로 즉위했다. 폭군을 두려워하던 제국 민중이나 귀족들은 다같이 새로운 카이저 만세라고 진심을 담아 환호하고 기뻐했다. 가장 먼저 에리히 2세는 폭군을 처단한 공을 세운 샴버크 준장을 치하하며 제국군 대장으로 3계급 특진시켰다. 기뻐하던 샴버크 준장이었지만 에리히 2세는 곧바로 폭군을 제거한 공은 특진으로 보답했으니 이번에는 그동안 폭군을 비호한 죄를 물어 샴버크 대장을 총살형에 처할 것을 명했다. 이후 전 황제가 망쳐놓은 국가를 재건하면서 수도 오딘과 은하제국을 되살리는데 전력을 다했다. 에리히 2세는 딱히 특출난 선정을 펼치지는 않았으나 아우구스트 2세가 워낙 역대급 폭군이라 비교우위로 성군으로 칭송받았다. 재건제(再建帝) 오토프리트 2세와 비슷한 처지다.[4]
[1]
아우구스트 2세의 아버지인 선제 리하르트 3세의 동생 안드레아스 대공의 아들이다. 보통 작위는 그대로 세습되는 것과 은하제국에서 작위는 연장자에게 돌아가는 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장남은 아니었던 모양.
[2]
이 점을 보면 눈치는 잘 돌아가는 인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3]
당시 은하제국은 그 존재를 눈치채지 못했지만
자유행성동맹이라는 인류사회의 다른 국가가 있었다. 만일 자유행성동맹의 존재와 위치를 알았다면 반란을 일으키기보다는 망명을 택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다 아우구스트 2세가 자유행성동맹의 존재를 알았으면 어쩌려고? 허나 에리히 2세에 의해 아우구스트 2세가 몰락한 것을 보면 공격해 봤자 역관광 당해 은하제국 전체가 자유행성동맹에 의해 병탄되었을지도 모른다. 이 경우에는 군주제의 문제점이랍시고 자유행성동맹에서 계속 이걸 선전했을지도?
[4]
다만 똑같이 고생했어도 지기스문트 2세는 그저 사치가 심하고 재산이 많은 거상들을 잡아다 처형하고, 자산을 압류한 정도라 오토프리트 2세는 성군이라고 칭송받지는 못했다. 심지어 오토프리트 2세는 과로로 6년만에 사망하기까지 했다.